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6 No.2 pp.182-186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7.16.2.182

Microenvironmental time-activity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on Korean adults

Hyojung Yoon1, Jian-Fei Shuai2, Taksoo Kim1, Jungkwan Seo2, Dayoung Jung2, Hyeonsu Ryu2, Wonho Yang2*
1Department of Risk Assess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Department of Occupational Health,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Corresponding author +82-53-850-3739whyang@cu.ac.kr
May 3, 2017 May 29, 2017 May 30, 2017

Abstract

Information about time spent in microenvironments plays a critical role in exposure assessment of the person concerned, considering that personal exposure relies on the characterization of time-activity patterns of the population at risk as human activities impact the timing, location, and level of personal pollutant expos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the time-activity patterns of Korean adults from a population-based study, and to determine the time spent each day in microenvironments. The population-based study collected time-activity data of about 46,000 adults for two consecutive days on weekdays (n=28,152) and weekends (n=18,800). The mean times spent at one’s own house, workplace or school, other’s house house, restaurant or bar, other places, and transportation related to the whole sample of 28,152 people were 14.90 hrs (62.08%), 4.28 hrs (17.81%), 0.24 hrs (1.01%), 0.51 hrs (2.14%), 2.45 hrs (10.21%), and 1.62 hrs (6.74%) on weekdays, respectively. Looking at the total time spent indoors by adults in different countries, the following four countries were ranked as follows, from lowest to highest: USA > Canada > Korea > Hong Kong. Due to cultural, socioeconomic and climatic differences,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directly apply statistical data of other countries to the Korean situation. This paper provides information on how the proportion of persons in different locations changes by time of day, on weekdays and weekends. Here, we can see that over 90% of respondents were in a residence from about 11 PM to 5 AM, and the largest proportion of respondents in workplaces or schools and other places is found between 8 AM and 5 PM.


한국 성인의 평일 및 주말의 시간활동 양상 평가

윤 효정1, 솨이 지엔페이2, 김 탁수1, 서 정관2, 정 다영2, 류 현수2, 양 원호2*
1국립환경과학원 위해성평가과
2대구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초록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서 론

    사람의 시간활동 양상(time-activity pattern)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환경 유해인자의 노출을 평가하기 위한 위해도 관리 측면에서 핵심적 부분이며, 특히 공기오염 물질 노출평가 및 노출 예측 모델에서 중요하게 적용 될 수 있다(Liu et al., 2007; Sexton et al., 2007). 세계 보건기구(WHO)에서는 공기질, 인구집단 노출 및 건강 영향을 평가할 때 모델링(modeling)은 주요 방법 중 한 가지로 인식하고 있으며, 시간활동 양상은 노출 모델링 을 이용할 때 필수적인 요인이라고 보고하였다(WHO, 2000). 이런 중요성으로 미국의 TEAM (Total Exposure Assessment Methodology), NHEXAS (National Human Exposure Assessment Survey), 유럽 EXPOLIS에서 시 간활동 양상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으 나, 국내에서는 일부 연구가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국의 시간활동 양상의 연구에 의하면 9,196명을 대상으로 1일 24시간 동안 대략 주택실내에서 68.7%, 사무실 및 공장 5.4%, 기타 실내환경 11%, 차량 실내 5.5%, 실외환경 7.6%, 술집 및 음식점 1.8%로 대부분 의 시간을 실내환경(90% 이상)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lepeis et al., 2001). 캐나다와 영국에서 수 행된 연구에서도 비슷한 시간활동 양상(캐나다: 주택실 내 65.9%, 영국: 주택실내 68.6%)이 보고되었다(Leech et al., 2002; Lai et al., 2004). 국내에서는 Yang et al. (2009)이 만 10세 이상 31,634명을 대상으로 1일 동안 조사한 시간활동 양상 보고에 의하면 평일 주택실내 (59.27%), 기타실내(28.29%), 실외(5.16%), 차량(7.28%) 이었고, 주말 주택실내(67.20%), 기타실내(4.87%), 실 외(5.55%), 차량(7.00%) 이었다.

    반면 홍콩에서 396명을 대상으로 조사된 시간활동 양상은 1일 중 주택실내 58%, 기타 실내환경 31%, 차 량실내 7%, 실외환경 4%로 우리나라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Chau et al., 2002). 이것은 사람의 시간활동 양상이 인구학적 및 생활환경 특성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Graham and McCurdy, 2004). McCurdy and Graham (2003) 에 의하면 시간활 동 양상은 계절, 날씨, 평일 또는 주말, 도시화 정도, 연령, 성별, 민족, 유전자 구성, 건강상태, 비만도, 임신, 수입, 교육, 직장유무, 직업 종류, 개인성향, 주택종류, 결혼여부 등에 영향을 받는다. 유럽 7개 도시에서 수행 된 연구에서는 시간활동에 주요 영향 요인은 직업종류, 직장유무, 성별, 계절 등 이었다(Schweizer et al., 2007).

    사람들은 매일의 활동에서 유해 공기오염물질에 노 출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계속적으로 활동 및 이동하기 때문에 노출평가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은 시간활동 양상이다. 시간활동 양상은 다양한 요인 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한국인은 기존에 보고된 외국 의 결과와 같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 인의 일일 시간활동 양상 및 시간대별 활동을 평일과 주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2.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에 시간활동 자료는 통계청의 2014년 생활시 간조사(time-use survey)를 이용하였다(Statistics Korea, 2015). 통계청 생활시간조사는 전국 800개 조사구의 12,000 가구 중 만 10세 이상 으로 국민들이 주어진 하 루 24시간을 어떤 형태로 보내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국민의 생활방식과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기초자 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은 2014년 7월, 9월, 12월 이었으며, 조사항목은 설문지와 시간일지(timediary) 이었다. 설문지는 가구관련사항(10 항목)과 개인 관련사항(13 항목) 이었다. 시간일지는 하루 24시간의 활동행태를 10분 간격으로 주행동 및 동시행동을 구분 하였고, 장소 및 이동수단은 10개 항목(장소: 본인 집, 직장 또는 학교, 남의 집, 식당 또는 주점, 기타 장소, 이동: 걸어서, 자전거, 개인 교통수단, 공공 교통수단, 기타 교통수단)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자 중 성인(만 19세 이상)을 추출하여 시간활동 양상을 분석 하였다.

    3.결과 및 고찰

    3.1.평일과 주말의 실내 및 실외활동 시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Statistics Korea, 2014)자료의 평일과 주말, 성별, 연령별 구분하여 참여자수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평일 전체 참여자 28,152명 중 남성 13,018명 및 여성 15,134명 이었고, 주말 전체 참여자 18,800명 중 남성 8,706명 및 여성 10,094명 이었다. 활동공간으로 구분할 때, 평일 본인 집에서 보낸 시간 은 14.90 ± 4.77 hr, 직장 또는 학교 4.28 ± 4.64 hr, 식당 또는 주점 0.51 ± 0.90 hr, 기타 장소 2.45 ± 3.01 hr이었 다. 반면 주말 본인 집에서 보낸 시간은 16.46 ± 5.05 hr, 직장 또는 학교 1.79 ± 3.69 hr, 식당 또는 주점 0.59 ± 2.22 hr, 기타 장소 3.07 ± 3.22 hr이었다. 이 결과는 Yang et al. (2009)이 우리나라 국민의 만 10세 이상이 주택실내에서 보낸 시간 14.23 ± 4.56 hr 보다 다소 증 가한 것이지만, 본 연구가 만 19세 이상인 성인임을 고 려할 때 직접적 비교는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Yang et al. (2009)의 결과는 실내환경을 주택내와 주택외, 실 외, 이동으로만 구분되어 제시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새롭게 직장 또는 학교, 식당 또는 주점, 기타 장소로 구분하여 제시되었다. 이것은 국소환경을 좀 더 세분화 한 것으로 유해물질 노출평가시 유용할 수 있다. Lim et al. (2012)의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PM2.5) 노출시 재실시간을 상대적으로 적지만 식당 및 주점에서 노출 이 1일 전체에서 기여하는 정도가 높음을 보고하였다. 이것은 이번 결과가 기존 보고보다 노출평가에서 유용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국외 결과와 비 교할 때, 비교적 최근 발표된 캐나다 성인(20~59세)이 평일 주택실내에서 보낸 시간인 16.0 hr (도시) 및 15.5 hr (시골), 그리고 성인(60세 이상)이 주택실내에 서 보낸 시간인 18.6 hr (도시) 및 18.4 hr (시골)임을 고려할 때 한국 성인이 서구에 비해 주택 재실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음을 알 수 있다(Matz et al., 2015). 반 면 홍콩의 경우 주택실내에서 보낸 시간이 1일 중 58%로 본 결과보다 다소 낮았으며, 이것은 외식문화가 발달하여 주택재실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을 고려 할 수 있다(Chau et al., 2002). 이런 결과들은 국가별 로 생활양식, 문화, 기후, 인구특성, 산업구조 등의 요 인이 시간활동 양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동시간 중 개인교통이 가장 높았으며 평일 0.66 ± 1.04 hr과 주말 0.76 ± 1.14 hr이었다. 대중교통은 평일 0.38 ± 0.80 hr, 주말 0.29 ± 0.80 hr이었다. 평일과 주중의 총 이동 소요시간은 각각 1.62 hr, 1.53 hr이었 으며 이 결과는 Robinson and Thomas (1991)이 조사 한 12세 이상의 이동 소요시간 1.45~1.63 hr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시간활동 양상 자료는 2014년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결과이다. 통계청의 생활시간조 사는 5년 주기로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시간을 조사한 것으로, 2009년에서는 국소환경을 본인 집과 본인 집 외, 그리고 이동으로만 구분하였다. 하지만 2014년은 국소환경을 좀 더 세분화하여 본인 집, 직장 또는 학교, 남의 집, 식당 또는 주점, 기타 장소와 이동으로 구분 하여, 유해물질 노출평가에 이용 가능성을 좀 더 높였 다. 하지만 각 장소의 실내 및 실외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노출평가시 각 국소환경의 실내 및 실외 유해 물질의 농도가 같지 않음을 고려할 때 이용 가능성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 라 국민의 시간활동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노출평가 이 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Table 2Fig. 1Fig. 2

    3.2.시간대별 활동 분석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참여자 전체의 1일 시간대(0시 ~24시)별 활동을 분석하여 Fig. 1에 나타냈다. 평일의 시간대별 국소환경(본인 집, 직장 또는 학교, 남의 집, 식당 또는 주점, 기타 장소과 이동)별로 보낸 시간을 분석한 결과,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에는 이동(차량)율 이 높았으며, 오전 9시~오후 5시까지는 점심시간을 제 외하고 직장 또는 학교에서 보낸 시간이 높았다. 유의 할 점은 주목할 것은 오후 7시부터 10시 사이의 식당 또는 주점, 기타 실내활동율이 외국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알 수 있다. Klepeis et al. (2001)이 1992년부터 1994년 동안 9,386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미국인 시간 활동 양상과 비교하면 오후 7시에 주택실내에서 대략 70%, 오후 10시 90%가 보내는 반면, 한국은 오후 7시 에 주택 실내에서 대략 55%, 오후 10시에는 대략 77% 가 보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한국인의 행 동양상은 집밖의 행동분류 빈도 분포 결과로 설명될 수 있다. 이것은 OECD 통계자료(OECD, 2014)에 따 르면 근로자의 연평균 근무시간은 2.124 hrs으로 미국 의 1,789 hrs에 비해 18.73% 더 많으며 직장인 등이 교 제 및 가족 외 사람과의 식사 등으로 인한 기타 실내환 경 활동이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주말의 경우 주택실내에서의 활 동율이 평일에 비해 높았으며, 이것은 주 5일제로 인한 직장인과 학생들의 주택 재실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Briggs et al. (2003)이 영국에서 연구한 결과에서도 미국과 비슷한 시간대별 양상을 보이고 있 다. 시간대별 활동 양상 분석은 실내환경 측정 때 사람 들이 가장 많이 재실하는 시간을 고려하여야 함을 나 타내며, 노출모델 적용시 유용할 수 있다.

    4.결 론

    한국 성인은 평일 1일 중 평균 본인 집 14.90 hr (62.08%), 직장 또는 학교 4.28 hr (17.81%), 다른 사람 의 집 0.24 hr (1.01%), 식당 또는 주점 0.51 hr (2.14%), 기타 장소 2.45 hr (10.21%), 이동 1.62 hr (6.74%)을 나타내었다. 주택실내에서 보낸 시간은 미국, 영국, 독 일에서 보고된 결과와 비교할 때 낮았으며, 상대적으로 본인 집 외에서 보내는 시간이 높았다. 반면 홍콩의 경 우 주택실내에서 보낸 시간은 본 결과보다 다소 낮았 으며, 이것은 국가별로 생활양식, 문화, 기후, 인구특성, 산업구조 등의 요인이 시간활동 양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우리나라 성인의 본인 집 이외 에서 보낸 시간이 많은 것은 근로시간의 높음과 함께 한국의 사회적문화적 요인인 사람들과의 교제 및 가족 외 사람들과의 식사 때문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런 한 국인의 시간활동 양상은 유해 공기오염물질 노출에서 기타 실내환경의 기여도가 높을 수 있을 가능성을 나 타낸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통계청의 생활시간조사 자 료는 각 장소의 실내 및 실외를 구분하지 않았기 때문 에 노출평가시 각 국소환경의 실내 및 실외 유해물질 의 농도가 같지 않음을 고려할 때 적용 가능성에 한계 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국 민의 대표적 시간활동 양상을 제시함으로써 노출평가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JOIE-16-182_F1.gif

    Percentage of participants in each of five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the time-of-day in weekday.

    JOIE-16-182_F2.gif

    Percentage of participants in each of five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the time-of-day in weekend.

    Table

    Age distribution of participants in this study (unit of age: years)

    Time (hr) spent in each microenvironment

    Reference

    1. Briggs D J , Denman A R , Gulliver J , Marley R F , Kennedy C A , Philips P S , Field K , Crockett R M (2003) Time activity modelling of domestic exposures to ra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67 (2) ; pp.107-120
    2. Chau C K , Tu E Y , Chan D W T , Burnett J (2002) Estimating the tot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for different population age groups in Hong Kong ,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27 (8) ; pp.617-630
    3. Graham S E , McCurdy T (2004) Developing meaningful cohorts for human expsure models , Journal of Exposure Analysis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14 (1) ; pp.23-43
    4. Klepeis N E , Nelson W C , Ott W R , Robinson J P , Tsang A M , Switzer P , Behar J V , Hern S C , Engelmann W H (2001) The national human activity pattern survey (NHAPS): a resource for assessing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11 (3) ; pp.231-252
    5. Lai H K , Kendall M , Ferrier H , Lindup I , Alm S , Hnninen O , Jantunen M , Mathys P , Colvile R , Ashmore M R , Cullinan P , Nieuwenhuijsen M J (2004) Personal exposures and microenvironment concentrations of PM25, VOC, NO2 and CO in Oxford, UK , Atmospheric Environment, Vol.38 (37) ; pp.6399-6410
    6. Leech J A , Nelson W C , Burnett R T , Aaron S , Raizenne M E (2002) It's about time: A comparison of Canadian and American time-activity patterns ,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12 (6) ; pp.427-432
    7. Lim S , Kim J , Kim T , Lee K , Yang W , Jun S , Yu S (2012) Personal exposure to PM2.5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microenvironmental concentrations , Atmospheric Environment, Vol.47 ; pp.407-412
    8. Liu W , Zhang J J , Korn L R , Zhang L , Weisel C P , Turpin B , Morandi M , Stock T , Colome S (2007) Predicting personal exposure to airborne carbonyls using residential measurements and time/activity data , Atmospheric Environment, Vol.41 (25) ; pp.5280-5288
    9. Matz C J , Stieb D M , Brion O (2015) Urban-rural differences in daily time-activity patterns, occupational activity and housing characteristics , Environmental Health, Vol.14 (1) ; pp.1-11
    10. McCurdy T , Graham S E (2003) Using human activity data in exposure models : Analysis of discriminating factors ,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13 (4) ; pp.294-317
    11. (2014) Average annual hours actually worked per worker 2014 ,
    12. Robinson J P , Thomas J (1991) Time spent in activities, locations, and microenvironments: a California-national comparison, General Sciences Corp, Project report (No. PB-92-140789/XAB)
    13. Schweizer C , Edwards R D , Bayer-oglesby L , Gauderman W J , Ilacqua V , Jantunen M J , Lai H K , Nieuwenhuijsen M , Kunzli N (2007) Indoor timemicroenvironment- activity patterns in seven regions of Europe , Journal of Exposure Science and Environmental Epidemiology, Vol.17 (2) ; pp.170-181
    14. Sexton K , Mongin S J , Adgate J L , Pratt G C , Ramachandran G , Stock T H , Morandi M T (2007) Estim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s in selected microenvironments using time-activity and personal exposure data ,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Vol.70 (5) ; pp.465-476
    15. (2004) Time-use survey,
    16. (2015) Time-use survey,
    17. (2000) Guideline for air quality, WHO/SED/OEH/,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document
    18. Yang W , Lee K , Park K H , Yoon C , Son B S , Jeon J M , Lee H , Choi W H , Yu S D , Han J S (2009) Microenvironmental time activity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on Kore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Vol.6 (4) ; pp.267-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