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6 No.3 pp.242-249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7.16.3.242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raining program and certification system for the training of experts in indoor radon measurement & mitigation field

Cheol Min Lee*
Department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82-2-940-2924cheolmin@skuniv.ac.kr
July 3, 2017 August 24, 2017 September 3, 2017

Abstract

Despite increasing public concern following mass media coverage regarding the risk of radon to human health and the need to control it, there remains a lack of infrastructure for measuring and mitigating rad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s part of an effort to formulate an environment-management framework that can help resolve environmental issues relating to radon, ease fears regarding the associated risks, and provide radon-specific quality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locally applicable measures for training experts specializing in the fields of measuring and mitigating radon mainly based on US cases in which radon measurement and mitigation certification programs have been systematically run and supervised. Given the lack of both awareness on radon and experts in Korean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scheme to develop a radon-specific education program and a framework for expert accreditation. Thus, as groundwork for their introduction considering local circumstances, top-down measures led by the relevant department of government-led organizations, which will act as the control tower, should first be implemented to best utilize the insufficient human resources in this area. In addition, more systematic and detailed educational programs and an expert certification system need to be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established foundations, and to support their consistent operation, a relevant administrative system should be constructed.


실내라돈 측정 저감 분야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체계 구축을 위한 소고

이 철 민*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서 론

    국내 라돈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1980년대 말 Kang and Kim (1988)에 의해 토양 중 라돈농도 측정으로부 터 시작하여 대기, 수질 그리고 토양의 각 매체 내 라 돈농도 조사(Kim, 1990; Takao, 2002; Kim et al., 2003; Lee et al., 2006; Cho et al., 2007; Cho et al., 2011; Lee et al., 2014)가 매년 수행되어져 오고 있다. 최근에는 라돈의 발생원으로 알려져 있는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라돈 방출량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들(Kim et al., 2014; Park et al., 2014; Lee et al., 2015)도 이루어 지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매체 내 라돈농도분포 조 사 및 발생원에 대한 라돈 방출량 조사 등에 관한 연구 가 1980년대 말 이후 매년 간헐적으로 일부 연구자에 국한되어 수행되어지고 있다(Kim, 1989; Jeon et al., 2017). 또한 최근 들어 매스컴을 통한 라돈 위해성에 대한 보도 이후 국민들의 라돈 노출에 의한 건강위해 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고조 및 관리에 대한 필요성 이 증대됨에 따라 환경부는 라돈 노출에 의한 폐암과 의 인과관계 규명 및 위해도의 평가를 통한 국내 라돈 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 및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환경 보건기술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역학적 연구를 2015년 부터 2018년까지의 4차년의 연구를 계획하고 수행하 여오고 있다(Jeon et al., 2017).

    1990년대 말 중량청의 범람으로 인한 지하철 역사 침수 사건으로 인하여 역사 내 라돈농도의 조사 및 관 리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제시된 이후 일부 지역 및 지 하 공간 등과 같이 국한된 실내 환경을 대상으로 일부 연구자들에 의해 라돈농도 조사가 이루어져 왔다(Kim, 1989). 또한 2010년대 초 라돈 노출이 폐암발병에 크 게 기여한다는 매스컴의 보도는 전 국민의 라돈에 관 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진을 가져왔으며 전국단 위의 다양한 실내환경에 대한 라돈농도 조사와 라돈 저감 기술의 개발 및 적용 등과 같은 보다 적극적인 국 가 라돈 관련 연구 및 정책 수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 었다(Kim et al., 2016).

    라돈과 같이 환경오염물질의 노출로 인한 국민 건강 의 악영향에 관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환경문제의 성공적 해결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제의 공동적 발전이 이루어질 때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국가적 규정 및 관리와, 국민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국민의 의식 증진 및 자발적 참여, 마지막으로 전 문가의 양성을 통한 국민의 의식 증진 등에 과학적이 며 실현 가능한 기술의 제공 등이 공동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현재 환경부는 라 돈관리를 위한 국가적 규정 및 관리 강화를 위해 2004 년 제정 공포하여 시행중인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관리법’에 2016년 말에 라돈 등에 관한 법 조항 의 개정 및 신설을 통해 ‘실내공기질관리법’으로 개명 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또한 2010년부터 2년 마다 전 국 주택 내 라돈 농도 실태조사 및 무료 저감사업 등의 관리 정책을 수행하여 오고 있다(Cho et al., 2016). 또 한 국민과의 의사소통을 통한 국민의 의식 증진 및 자 발적 참여를 위한 방안으로 환경부는 라돈위해 의사소 통 개발을 위한 홍보 영상과 책자 등을 개발하여 국민 들을 대상으로 배포 및 홍보에 노력하고 있다(Kim et al., 2016). 이에 반해 전문가의 양성을 통한 국민의 의 식 증진 등에 과학적이며 실현 가능한 기술 제공에 관 한 주제는 앞에서 살펴본 다른 두 주제에 비해 매우 미 진하다 할 수 있다. 현재 국내 라돈 전문가 양성을 위 한 교육 프로그램 및 교육의 수행은 전무한 실정이며, 또한 대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관계 전문가 양성을 위한 관련 학과 역시 전무하다. 나아가 환경 및 방사선 관련 학과에서 라돈 관련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못 한 실정으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할 때 국내 라돈 관련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과 전문가 양성 방안 및 체계 구축이 절실히 요구되어진다.

    이에 본 고에서는 라돈 노출에 의한 건강위해성에 대한 국민의 인식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 라 돈 측정 및 저감 분야의 사회기반이 미비한 실정으로, 라돈 관련 환경문제 해소 및 국민의 라돈 위해에 대한 불안감 해소와 양질의 라돈 관련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환경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일환으로 라돈 전 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관련한 문헌과 국외 관련기관 전문가들에게 이메일, 현장방문을 통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국외 사례 내용을 바탕으 로 국내 적용 가능한 라돈 측정저감 전문가 양성 방안 을 제안하고자 한다.

    2.국외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사례 분석

    국외 라돈 측정·저감 전문가 양성 체계 구축 사례를 살펴보기 전에 라돈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 램 운영하고 있는 국가 현황과 운영 중인 교육 프로그 램들 간의 내용의 비교를 통해 국내 전문가 양성을 위 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교과 내용을 제안 하였다. 또한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국가 들 중 전문가 양성을 위한 인증 체계를 연계하여 운영 중인 국가 사 례 조사를 통해 국내 전문가 양성 인증 체계도입의 필 요성을 검토하였다.

    라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국가와 이들 국가에 서 수행 중에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종류 즉, 측정교육 과 저감 교육의 실시 여부를 요약하여 정리하면 다음 의 표와 같다(Table 1).

    현재 라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국가는 미국, 캐나다, 벨기에, 체코, 핀란드, 프랑스, 그리스, 아일랜 드, 이탈리아, 스위스 및 영국으로 총 11개 국가에서 라돈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라돈 지도 등의 작성 등 국가적으로 라돈과 관련된 연 구 및 관리방안을 수립 운영하고 있는 선진외국 국가 로 알려져 있는 오스트리아, 독일, 노르웨이, 포루트갈 및 스페인 등은 라돈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 고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US EPA, 1992, 1995; Holmgren and Arvela, 2012).

    국외에서 수행되어지고 있는 라돈 교육 프로그램들 은 측정 교육과 저감 교육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운 영되어지고 있으며, 두 교육을 모두 실시하는 국가로는 미국, 캐나다, 벨기에, 핀란드, 프랑스, 아일랜드, 이탈 리아, 스위스, 영국인 반면 측정 교육만을 수행하는 국 가로는 체코와 그리스인 것으로 조사되었다(US EPA, 1992, 1995; Holmgren and Arvela, 2012). 체코와 그리 스는 측정 교육프로그램만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 교육 프로그램 내에 저감에 대한 교육 내용을 포함하여 운 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Holmgren and Arvela, 2012). 측정 교육 프로그램 없이 저감 교육 프로그램만 운영하는 국가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측정 교육 프로그램과 저감 교육 프로그램을 분리하여 수행하는 국가들 모두 저감 교육 프로그램 내에 저감에 활용되 는 측정에 대한 교육 내용을 포함하고 있었다. 이는 라 돈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 기본적으로 측 정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필수적임이며, 저감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려되어 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국외에서 수행되어지고 있는 라돈 교육 프로그램에 서의 주요 교육 내용은 측정 교육 프로그램과 저감 교 육 프로그램 별로 2가지씩의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다. 라돈 측정 교육과정의 경우 첫째, 대상 건물에서 측정 된 라돈 수준이 라돈 저감 조치가 필요로 한지의 확인 과 저감 조치 이후 저감 시공의 성공 여부의 평가에 관 한 목적 하의 건물 조사의 내용과 둘째, 일반 거주환경 의 라돈 농도 평가를 비롯한 국가 단위 조사 등 다양한 실내환경분야에서의 라돈농도 측정 및 분석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른 라돈 측정의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라돈 저감 교육과정의 경우는 첫째, 기존건물에 대한 라돈 저감을 위한 접근법, 저감법의 선정 및 시공의 내 용과 둘째, 신축 건물에 대한 라돈 저감을 위한 건물 구상 단계에서의 라돈 예방법의 내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교육 프로그램들은 이론교육과 실습교육을 병 행하여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US EPA, 1992, 1995; Holmgren and Arvela, 2012). 측정 교육프 로그램의 경우 강의실(실험실)에서 측정기기를 다루는 실습을 교육 내용에 포함하고 있으며, 저감 교육 프로 그램의 경우 저감 설비가 설치된 건물에 대한 견학을 통한 현장 실습과정 및 테스트 베드를 이용한 현장 실 습과정을 교육 프로그램 내에 포함하고 있어 측정 교 육과는 달리 저감 교육의 경우 현장에서 실무 적용 능 력 배양을 매우 중요시 다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 다. 다음의 표는 국외에서 수행되어지고 있는 측정 및 저감 교육프로그램 내 교육내용을 요약하여 정리한 것 이다(NRSB, 1996; AARST-NRPP, 2008; C-NRPP, 2014) (Table 2).

    조사 대상 국가 대부분이 국가 및 공공기관에서 라 돈 교육 프로그램을 주관하여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일부 사립기관에서 수행하는 국가 역시 정부기관에서 지정한 사립기관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핀란드를 제외한 교 육 프로그램 운영 국가들은 자국의 라돈 교육 프로그 램을 이수한 교육생들에게 교육 과정을 이수하였다는 확인을 위한 수료증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미국, 체코, 프랑스(측정부분에 국한됨), 아일랜드 등에서는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일정 자 격시험을 통해 시험에 통과한 교육생들에 대하여 전문 가 인증 자격을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한 이러한 자격을 인증 받은 교육생들이 라돈 관련 사 업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 의 국가 행정상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Table 3).

    3.국외 전문가 인증 체계 사례 분석

    미국, 캐나다, 체코, 프랑스(측정분야) 및 아일랜드에 서는 자국에서 개발된 라돈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수행 후 전문가 자격 인증 프로그램을 수 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US EPA, 1992, 1995; Holmgren and Arvela, 2012), 본 고에서는 이들 여러 국가의 전문가 자격 인증 프로그램 중 라돈 측정 저감 전문가 자격 인증 체계에 관한 핸드북 등을 작성 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증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운영 관리하고 있는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국외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의 경우 1980년대 중반, 라돈 노출에 의한 건강 위협에 관한 국민의 인식이 증대됨에 따라 라돈 서비 스 제공자들의 역량(전문가)에 대한 표준화가 요구되 어졌다. 이에 환경보호청(US EPA)에서는 1986년 2월 에 신뢰할 수 있고 라돈 측정 분석 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조직을 식별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한 목적으로 라돈 측정 전문가 프로그램(Radon Measurement Proficiency (RMP))를 개발했으며, 1989년에는 거주지 내 라돈 저감에 대한 전문가의 평가와 숙련된 저감 전문가에 대한 정보를 대중에게 제공하기 위한 Radon Contractor Proficiency Program (RCP)을 개발 하였다. 또한 1991년에는 거주지에서 라돈 측정 서비 스를 제공하는 측정 기술자의 전문성을 평가하는 구성 요소를 추가하여 RMP 프로그램을 확대하였다. 최종적 으로 US EPA에서는 1995년에 이들 두 개의 프로그램 즉, RMP와 RCP를 통합하여 Radon Proficiency Program (RPP)을 개발하여 개인과 조직에 대해 라돈 측정 과 저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의 제공 능력을 평가하고, 본 평가를 통과한 전문가들의 정보를 US EPA 홈페이지에 공개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하여 오고 있다(US EPA, 1997, 2001).

    US EPA의 RPP은 크게 측정 서비스 제공 전문가와 저감 서비스 제공 전문가로 구분하고, 측정 서비스 제 공 전문가의 경우 분석 측정 서비스 제공자와 거주지 측정 서비스 제공자로 구분한다(US EPA, 1992, 1995). 분석 측정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분석 도구와 결과의 해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유 장비의 정확도를 유지하 는 책임을 가지게 되고, 거주지 측정 서비스 제공자는 측정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거주지 내 거주자들을 만나 라돈 농도의 측정, 컨설팅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저 감 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저감 시공이 요구되는 거주 지에 가장 적합한 저감방법의 선택 및 시공 등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RPP는 거주자에게 제공 되어지는 라돈 관련 서비스 즉, 측정 서비스와 저감 서 비스로 구분되며, 측정 서비스는 분석 서비스와 거주지 측정 서비스의 범주로 구분되어지고 이들 각 범주에 적합한 전문가를 양성한 후 이들에게 전문가 자격을 인증하고 있다. 이들 서비스 범부별 전문가들의 역할과 활동 범위을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의 표와 같다 (Table 4).

    RPP에서 제공하고 있는 3가지 서비스 범주별 전문 가 인증 부여 대상은 서비스 범주별로 구분되어진다. 분석 측정 서비스 범주는 분석 측정 서비스에서 요구 하는 일정 자격 조건을 통과한 개인, 조직 또는 기관을 대상으로 전문가 인증을 부여하고 있으며, 거주지 측정 서비스 범주는 요구하는 일정 자격 조건을 통과한 개 인에게만 전문가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저감 서비스 범주 역시 요구하는 일정 자격 조건을 통과한 개인에 게만 전문가 인증을 부여하고 있다. RPP의 각 분야별 전문가 인증 절차를 도식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 1).

    현재 US EPA의 RPP는 한 개의 민간기관인 AARST (American Association of Radon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와 한 개의 국립 기관인 NRSB (National Radon Safety Board)에서 운영 중에 있다. 1998년 민 간 기관인 AARST는 US EPA로부터 RPP에 대한 업 무를 이관 받아 수행 중에 있으며, 미국 대부분의 주에 서 이 기관에서 부여된 전문가 인증에 대해 인정을 하 고 있다(AARST-NRPP, 2008). NRSB 역시 국가적으 로 라돈 전문가의 인증을 부여하는 인증기관으로 라돈 측정 전문가 및 기술자에 대한 인증, 라돈 저감 전문가 에 대한 인증, 라돈 연구소에 대한 인증, 라돈 챔버에 대한 인증 및 라돈 측정 장치에 대한 승인 등을 수행하 고 있다(NRSB, 1996). 이들 라돈 전문가 인증기관은 ‘Indoor Radon Abatement Act’에 근거하여 설립한 지 역라돈교육센터(Regional Radon Training Center)와 서 로 밀접하게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지역라돈교육 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교육 이수자들은 인증기관인 AARST와 NRSB에서 제공하는 인증자격 시험에 응시 할 수 있으며, 응시한 자들은 각 지역 라돈교육센터에 서 인증에 필요한 시험 후 일정 기준을 통과한 자는 인 증기관에 인증서 발급 신청을 통해 라돈 전문가 인증 을 부여받게 된다. 또한 라돈 전문가로서의 자격을 인 증 받은 사람들은 인증기관과 US EPA 등의 관련 기관 홈페이지에 분야별 라돈 전문가 명단에 등재되며, 라돈 전문가 인증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2년 주 기로 보수 교육을 이수해야만 한다. 다음의 그림(Fig. 2)은 라돈인증기관과 지역라돈교육센터와의 관계를 도 식화하여 제시한 것이다.

    4.결론 및 제언

    최근 매스컴 등을 통한 라돈 위해와 관련된 정보 전 달이 이루어진 이후 국민들의 라돈의 위해 인식도가 증가되었으나 국내 라돈 측정 및 저감 분야의 기술 개 발 및 발전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고에서는 라돈 관련 환경문제 해소 및 국민의 라돈 위해에 대한 불안감 해소와 양질의 라돈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관리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국외 사례를 중심 으로 국내 적용 가능 라돈 측정·저감 전문가 양성 방 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미국을 비롯한 캐나다와 유럽 선진국의 경우 자국의 환경을 고려하여 라돈 측정 및 저감 전문가 양성을 위 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 중에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에서 2009년 말부터 매 2년 마다 전국에 위치한 거주지를 만 세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 하여 오고 있으며, 국방부 역시 전국 병영시설 내 라돈 실태조사를 수행한 바 있다. 뿐만 아니라 2016년 말부 터 개정·공포된 실내공기질 법에서 라돈에 대한 실태 조사 등이 강화 권고됨에 따라 측정 분야의 전문가 양 성이 시급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또한 라돈 저감 사업 분야 역시 환경부의 고농도 지역 라돈 고농도 거주지 에 대한 무료 저감사업이 확대되어지고 있으며, 민간 기업들의 라돈 저감사업 시장으로의 진출을 꽤하고 있 어 라돈 저감 분야의 전문가 인력인프라의 구축 및 확 대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국내 환경을 고려 할 때 라돈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전문가 인증 제도의 도입에 대해 고려하고 나아가 도 입이 이루어져야할 시기라 판단된다.

    미국의 라돈 전문가 인증 체계의 경우 2개의 전문가 (측정 분야와 저감 분야) 양성을 위한 이원화된 인증체 계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 국가들 역시 많은 국가에서 측정 분야 및 저감 분야로 분리된 교육 프로그램 및 인 증 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 의 라돈 관련 사업 역시 측정 분야와 저감 분야로 이원 화된 사업이 추진 중에 있으며, 앞으로도 두 사업간의 분리된 사업 추진이 예상되어진다. 이러한 국내외 상황 을 고려할 때 국내 역시 측정분야와 저감분야로 이원 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체계의 구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되며, 이원화된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체계의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 라돈 교육 프로그램 및 전문가 인증 체계 개발 안에 대한 제안은 현재 라돈 관련 전문가 인력 인프라의 부족을 고려할 때 시기상조라 할 수 있다. 이에 국내 환 경에 적합한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체계 개발과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 및 인증체계의 운영은 국가 정부기관의 관련부서(환경부)를 control tower로 한 탑-다운(topdown) 방식의 사업 추진을 통해 부족한 국가 라돈 전문 가 인력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 는 것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렇게 구축 된 기반을 바탕으로 보다 체계적이며, 구체적인 교육 프 로그램 및 전문가 인증체계가 개발되어져야 할 것이며, 개발된 프로그램 및 인증 체계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질 수 있는 행정적 체계가 구축되어지길 기대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환경부 및 환경부의 생활공감 환경보건기 술개발사업에서 지원받았습니다(과제번호 : 2016 0927813-00, 2015001350004).

    Figure

    JOIE-16-242_F1.gif

    The schema on Radon Proficiency Program path in USA (source: US EPA, 1997).

    JOIE-16-242_F2.gi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certifying board and regional radon training center in USA.

    Table

    Current status of training programs and methods in countries

    Contents of radon measurement/mitigation training programs

    The status on supervision institution and conferring professional certification in each countries

    The role and activity by RPP service categories

    Reference

    1. Canadian national radon proficiency program (C-NRPP) (2014) Trainers, [cited 2016 Dec 10]; Avaliable from: URL: http://www.c-nrpp.ca/trainers/
    2. Cho B.W. , Cho C.O. , Kim M.S. , Lee Y.J. , Yun U.K. , Lee B.D. (2011) Uranium and radon concentrations in groundwater near the Icheon granite ,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Vol.21 (3) ; pp.259-269
    3. Cho B.W. , Song I.H. , Cho S.Y. , Park S.K. (2007)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groudwater of South Korea ,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12 (5) ; pp.98-104
    4. Cho Y.S. , Jin Y.H. , Lee S.B. , Kang D.Y. , Lee C.M. (2016) Evaluation of the reduction rate of radon concentration, following free measurement of indoor radon and the alarm device installation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5 (2) ; pp.109-118
    5. Holmgren O. , Arvela H. (2012) Assessment of radon current techniques used for reduc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existing and new houses in European countries,
    6. Jeon H.J. , Kang D.R. , Go S.B. , Park T.H. , Park S.H. , Kwak J.E. , Lee C.M. (2017) A preliminary study for conducting a rational assessment of radon exposure levels , Environ. Sci. Pollut. Res. Int, Vol.24 (16) ; pp.14491-14498
    7. Kang D.W. , Kim H.G. (1998) Measurement of radon concentration in the near-surface soil gas by CR-39 detectors ,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Vol.13 (2) ; pp.57-66
    8. Kim C.B. , Ju Y.J. , Dong K.R. (2014)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radon/thoron radiated from construction materials ,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7 (3) ; pp.143-148
    9. Kim C.K. , Lee S.C. , Lee D.M. , Chang B.U. , Rho B.H. , Kang H.D. (2003) Nationwide survey of radon levels in Korea , Health Phys, Vol.84 (3) ; pp.354-360
    10. Kim H.T. , Lee C.M. , Kwon M.H. , Park T.H. , Park S.H. , Kwak J.E. , Kim S.D. (2016) Research on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risk communication program for radon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5 (4) ; pp.375-384
    11. Kim Y.S. (1989)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the Seoul a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15 (1) ; pp.11-18
    12. Kim Y.S. (1990) Indoor radon levels in four different areas in Ko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16 (1) ; pp.1-7
    13. Lee C.M. , Gwak Y.K. , Lee D.H. , Lee D.J. , Cho Y.S. (2015)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indoor concentration due to radon exhalation from domestic building materials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Vol.24 (9) ; pp.1131-1138
    14. Lee D.H. , Ryu S.H. , Jo J.H. , Seo S.C. (2014) Evaluation for effectiveness of radon mitigation on dwellings and public buildings in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24 (4) ; pp.518-527
    15. Lee J.D. , Kim Y.S. , Son B.S. , Kim D.S. (2006) A study of radon concentration in first floor and basement and prediction of annual exposure rate in Korea , J. Environ. Sci. (China), Vol.15 (4) ; pp.311-317
    16. (1996) For training providers, [cited 2016 Dec 10]; Avaliable from: URL : http://www.nrsb.org/training_providers.asp
    17. Park H.C. , Choi H.S. , Cho S.Y. , Kim S.H. (2014) Numerical study on indoor dispersion of radon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36 (5) ; pp.325-332
    18. Takao I. (2002) A survey of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by alpha track detector in Ko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ol.28 (5) ; pp.71-76
    19. (2008) Education & Training, [cited 2016 Dec 10]; Available from: URL : http://aarst-nrpp.com/wp/certification/radon-training/
    20. (2001) EPA QA/R-5, EPA Requirements for quality assurance project plans, (EPA/240/B-01/003),
    21. (1992) The national radon measurement proficiency(RMP) program (EPA 402-F-92-001),
    22. (1995) The national radon contractor proficiency (RCP) program: Proficiency report (EPA 402-R-95-007),
    23. (1997) National radon proficiency program: guidance on quality assurance (EPA 402-R-95-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