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2287-7509(Online)
국내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관한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Application on Extremely Low Frequency-Electric and Magnetic Fields (ELF-EMFs) Risk Communication Program in Korea
Abstract
- 5 9권1호_조용성(45-52).pdf382.4KB
1. 서론
국내의 전자파 관련 연구는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체계적으로 수행되지 못하고 노출실태조사와 방출현황 조사에 그치고 있어 점증하는 위해성 우려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는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전자파 인체영향의 경우 관련 전문가들의 연구결과가 단편적인 결과에 그치고 있고 장기적이며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연구의 경우에는 결과가 도출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이에 반해 과학적으로 확증되지 않은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관련 정보의 부재 및 매스컴 등에서의 잘못된 정보로 인해 전문가와 일반인 간의 전자파 지식 및 정보에 대한 격차(gap)가 발생되고 있어, 전자파 인체영향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정확하게 전달하고 공유할 수 있는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Risk Communication)의 필요성이 절실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위해 의사소통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화학물질 등의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위해 의사 소통 연구는 2003년 한국환경정책 평가연구원의 「화학물질 안전관리를 위한 위해정보전달 체계 구축」 (Park, 2003) 및 2008년 연세대학교 임영욱 교수 연구팀이 실시한「위해도 의사소 통 기법 연구 연구」 (Lim, 2008) 등이 진행되어 왔으나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에 사례로는 환경부에서 지원한 2007년 한양대학교 환경 및 산업의학연구소에서 제작한 전자파홍보자료 「생활속의 전자파와 인체보호」 가 있으며, 전자파의 정의와 특성, 전자파와 인체 영향 유해성 논란, 일상생활에서의 전자파 노출, 관리방안, 그리고 전자파 노출을 줄이기 위한 일반 방식으로 구성되어있다(Kim, 2007). 국외의 경우에는 WHO(세계보건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WHO 및 국가에서는 일반인들에 대한 정확한 전자파 관련 정보 및 이에 따른 올바른 전자파 인식을 위해 주기적으로 소책자, 팜플렛 및 홈페이지 등을 이용하여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www.who.int/emf). 또한 일 본의 경우 전자파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에 관한 정확한 지식이 국민에게 전해지지 않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위해 목적으로 정부 및 민간단체 사이의 중립적인 기관인 전자파 정보센터를 운영하고 있다(www.jeic-emf.jp).
본 사례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이 초등학생 및 성인에게 어느 정도의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 연구방법
2.1 위해 의사소통을 위한 설문지 개발
전자파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해 국외 연구결과에서 제시하는 신뢰성이 높은 환경보건서비스(EHS : Environmental Health Services) 관련 설문지(Stacy Eltiti, 2007) 등을 국내 실정에 맞 게 수정·개발하였다(Table 2).
또한 전자파 인체영향 및 과민증에 관한 연구결과를 고찰한 결과, 과민증의 증상은 피로, 두통 같은 신경계통의 증상과 가려움증 얼굴의 따가움과 같은 피부질환 증상들이 있으며, 이외 에도 안구질환, 열점, 발진, 근육통과 같은 여러 가지 증상들도 보고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국외 연구결과(Ware JE Jr, Sherbourne CD, SF-36,1992)를 바탕으로 전자파 과민증을 포함한 전 자파에 대한 건강자각증상에 관한 국내 실정에 맞는 설문지를 개발하였다(Table 2).
2.2 위해 의사소통 평가기법 개발
본 사례연구에서는 일반인들의 효율적인 의 사결정과 위해도 인식을 증진시키기 위한 평가 기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아래 Table 1과 같은 내용이 고려된 강의, 소책자, 그리고 주문형 비 디오 형태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Stacy Eltiti, 2007).
또한 초등학생 및 일반인에게 전자파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키고 전자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도구로서 교육 프로그램 전후의 인식도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의 내용은 전자파와 관련된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행동적 영역 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영역의 내용 및 설문지 의 신뢰도 결과는 아래 Table 2와 같다. 개발된 설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pretest로 동 일학교 3개 학급을 선정하여 신뢰도 검사를 실 시하였다. 각 문항은 Likert식 5단계 평점 척도 방식으로 되어 있어 긍정 질문 문항에서 매우 그렇다'는 5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1 점씩 계산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 18.0 통계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 데, 이 검사도구의 신뢰도는 크롬보 알파(Cronbach alpha) 값이 0.952로 검사지로서 양 호함이 검증되었다(Table 2).
Table 1. Summary on contents and method of educational program which developed and used in this case study.
Table 2. Summary o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which developed and used in this case
2.3 위해 의사소통 평가기법에 관한 효과 평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일차 예비조사를 실시 하여 문제점을 수정, 보완한 구조화 된 설문지 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남시 분당구 에 소재한 초등학교를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초 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식도를 평가하였다. 조사는 2010년 6월 8월에 걸쳐 기초설문조사와 1, 2차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으며, 기초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교육집단별로 전자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 였다. 성인의 경우에는 초등학생에 비해 설문 참여 및 교육에 시간 할애가 자유롭지 않은 성 인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2차년도 분석결과에서 비교적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던 설문결과를 제외하고, 총 18개 항목의 설문항목으로 집약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또한 성인을 전자파 관련 직업군과 일반인으로 구분하여 전자파 종사자 와 일반인들에 대한 전자파 인식도를 비교함과 동시에 본 사례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 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성인 중 전자파 관련 직업군은 한국전력공사의 도움을 받아 한 국전력공사 종사자로 선정하였으며, 직업군 대 상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한국전력내의 정 례적인 교육 프로그램 참여시에 본 조사를 함 께 수행하였다. 일반인의 경우 대학생, 주부모임, 평생교육원 참여자들을 활용하였다. 조사는 2011년 4월~8월에 걸쳐 교육전 설문조사를 실 시하였으며, 교육전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교육 집단별로 전자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교육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4 연구참여자
최종적으로 설문에 참여한 초등학생은 239명 이었으나, 이 중 7명은 설문입력에 있어서 오류 가 발생해 최종적으로 분석이 수행된 참여자는 232명이었다. 설문에 참여한 232명의 초등학생 중 남학생이 104명(44.83 %), 여학생이 128명 (55.17 %)였다. 성인의 경우에는 총 참여자는 332명이었으며, 이중 직업군이 105명, 일반인이 227명이었다. 최종적으로 초등학생 및 성인에 대한 교육 .전 후 및 프로그램별 설문참여자 수는 아래 Table 3과 같다.
Table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사례연구 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전에 참여 한 초등학생 중 교육 후 설문조사에 누락된 학 생은 총 34명으로 남학생이 18명, 여학생이 16 명으로 누락율은 각각 17.31 %와 12.5 %로 비 교적 양호한 참여율을 나타내었다. 각 교육 프로그램별 누락율은 강의, 소책자, 주문형 비디 오가 각각 1.49 %, 13.64 %, 28.28 %로 나타나 초등학생에게는 주문형 비디오 교육이 다소 설 문참여에 다소 어려움을 느낀 것으로 판단된다. 성인의 경우에는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전에 참여한 성인 중 교육 후 설문조사에 누락 된 성인은 단지 4명으로 직업군이 1명, 일반인 3명으로 누락율은 각각 0.95 %와 1.32 %로 매 우 양호한 참여율을 나타내었다. 각 교육 프로 그램별 누락율은 강의, 소책자, 그리고 주문형 비디오가 각각 1.00 %, 1.71 %, 그리고 0.87 % 이었다.
Table 3. Summary on the number of participant by educational program in this questionnaire.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초등학생 대상 위해 의사소통 기법에 관한 효과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의 전자파 교육 전과 후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점수화하여 평가한 결과, 인지적 영역에서는 교육 전과 교육 후의 평균점수가 각각 24.55±8.28점, 27.56±8.04점으로 교육 후 의 점수가 높게 조사되었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교육전과 교육후과 각각 17.80±5.83점, 18.48± 5.07점으로 교육 후의 점수가 높게 조사되었다 (P < 0.05). 행동적 영역에서는 교육 전과 후의 평균점수가 각각 63.17±16.93점, 66.63±16.55점 으로 교육 후의 점수가 높게 조사되었다(P < 0.05, Fig. 1).
Fig. 1. Change of perceptional scor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on EMF by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in primary-school children.
또한, 전자파에 대한 교육 방법별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인지적 영역에서 인식도 점수는 소책자(28.77±7.42점), 주문형 비디오(22.96±7.87 점), 그리고 강의(20.58±7.94점) 순으로 조사되 었고, 정의적과 행동적 영역에서도 모두 소책 자, 주문형 비디오, 그리고 강의 순으로 인식도 점수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 < 0.05, Fig. 2).
Fig. 2. Change of perceptional score by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and educational program on EMF in primaryschool children.
초등학생들의 전자파 문제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 후의 인식도 점수가 교육 전 에 비해 높을 것으로 조사되었고(P < 0.05), 이 는 교육으로 인한 효과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 다. 또한, 전자파 교육 방법별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소책자를 이용한 교육이 주문형 비디오와 강의에 비해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 < 0.05). 이는 다른 교육프로그램에 비해 소 책자는 학생에게 배포된 상태로 몇 차례 반복 학습의 효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 로, 본 사례연구에서 개발된 전자파 위해 의사 소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생을 대상 으로 조사하여, 전자파 문제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 교육 후의 인식도 점수가 교육 전 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소책자를 이 용한 교육이 주문형 비디오와 강의에 비해 인 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올바른 전자파 인식에 효과가 있 었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특히 본 조사에서 활 용한 교육 프로그램 중에서는 소책자가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미루어 지속적인 교육이 올 바른 전자파 인식에 더욱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3.2 성인 대상 위해 의사소통 기법에 관한 효과 분석 결과
성인에 대한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 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설문항목 중 전자파 인식과 관련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 는 5개 설문항목(전기에 대한 설명, 전계와 자 계에 대한 설명, 전자파와 극저주파 전자계의 차이, 송전탑으로부터 발생하는 전자파가 인체 에 미치는 영향, 인체에 해롭지 않은 송전탑과의 최소거리)을 선정하여 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
Fig. 3은 성인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를 수치화하여 본 사례연구에서 개발한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 프로그램인 강의, 소책자, 주문 형 비디오에 대한 직업군과 일반인의 교육 전 과 교육 후의 전자파 인식도를 비교한 그림이 다. 교육 수단 모두에 있어서 전자파 교육을 수행 한 후 설문항목 중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에 대한 인식도 변화를 분석한 결과로서, 그림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직업군과 일반인 모두에 있어서 교육 후에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다’라고 응답한 지수가 더 높 아짐을 알 수 있으며(P < 0.05), 특히 직업군 에 비해 일반인에서 지수 증가폭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의 개선효과가 본 사례연구에서 개발한 강 의 교육수단이 직업군과 일반인 모두에 있어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며, 특히 직업군 보다는 일반인에서 그 효과가 더 높았고(P < 0.05), 기본적으로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은 이미 직업적으로 교육이 잘 되어 있는 직업군 이 일반인에 비해 높은 상태임을 확인한 결과 라 할 수 있다.
Fig. 3. Change of perceptional score before and after the educational program between occupational group and general group related to EMF by the contents of questionnaire in the adult.
4. 결 론
본 사례연구는 국내 실정에 맞는 전자파 위 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만들고 이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이 초등학생 및 성인에게 어느 정도 의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 다. 개발된 전자파 위해 의사소통 프로그램을 초등학생과 성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초등 학생과 성인 모두에 있어서 교육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직업군에 비해 일반인에서 지수 증가폭이 높았음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기 본적으로 전자파에 대한 인식이 직업군의 경우 이미 직업적으로 교육이 잘 되어 있기 때문으 로 추정된다. 따라서 향후 전자파 위해 의소소 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일반인에 대한 교육 홍보가 더욱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This article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ELF EMF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Planning on Power Facility'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Reference
2.Jung-Kyu Park, (2003) Establishment on Risk Communication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of Chemical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3.Stacy Eltiti, (2007)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Electromagnetic Hypersensitivity Questionnaire, Bioelectromagnetics 28:137-151.
4.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I.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 Care 30:473-483, 1992.
5.WHO. International EMF Project. http://www.who.int/emf
6.Yoon Shin Kim, (2007) Health Effect and Electromagnetic Fields in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7.Young-Wook Lim, (2008) A Study on Approaches for Risk Communic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