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7 No.4 pp.337-345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8.17.4.337

Concentration and risk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day care centers and postnatal care centers

Jihee An1, Yujin Oh1, Ji Young Im2, Mun Seob Ahn3, Eunju Hong1, Bu-Soon Son1*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2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Ministry of Environment
3Samsung Sdi Co,Lte
Corresponding author Tel :+82-41-530-1270 E-mail :sonbss@sch.ac.kr
22/10/2018 01/11/2018 12/11/2018

Abstrac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PM10), Formaldehyde(HCHO), and Total Bacteria Count (TBC) at two facilities: day care centers, and postnatal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ies of Gyeonggi, Gangwon, Jeolla and Gyeongsang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5. PM10 concentration was similar to the day care centers and postnatal care centers.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postnatal care centers.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Comparing the different cities,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Gyeonggi,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Gyeonggi, and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Gyeonggi. As a result of HCHO’s risk assessment, it was found that adults exceeded the carcinogenicity tolerance of 10−6 specified by the US EP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reventing damage to health from the contaminated indoor air at sensitive facilit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보육시설, 산후조리원의 실내공기질 농도 및 위해성평가

안 지희1, 오 유진1, 임 지영2, 안 문섭3, 홍 은주1, 손 부순1*
1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2화학물질 안전원
3삼성에스디아이(주)

초록


    Soonchunhyang University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한국인은 1일 중 20시간 이상을 실외 보다는 실내에 서 생활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환자, 노인, 유아 등 건강 취약계층은 대부분 하루 중 90%를 실내에서 보낸다 (NIER, 2010).

    실내공기 오염물질 발생원은 실내 환경, 인간의 활 동, 외부공기의 유입 등 매우 다양하며,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실내오염물질의 종류 및 그 농도는 개별 시 설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실외오염물질의 유입에 의해서도 실내공기질은 오염될 수 있으며, 오염된 실내공기질은 쉽게 정화되지 않아 저농도라 하더라도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위해성이 증 가하게 된다(Cho et al., 2017).

    기밀화된 현대식 건축물은 적절한 환기 및 환기시스 템의 도움 없이 내부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우며, 주방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된 입자상 오염물 질 등은 실내 재실자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Kim et al., 2014).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공기오염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연간 최대 650만 명, 실내공기오염에 의한 사망자 수는 280만 명으로 추정 하고 있다(WHO, 2012). 이에 국내에서는 다수의 사람 들이 재실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시설에 대한 오염물 질을 규제하고 있으며, 보육시설, 산후조리원, 노인요 양시설은 일반 성인보다 면역, 알레르기성 질환에 민감 함 건강취약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로(Shin, 2016) 실내오염물질 노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여성들의 사회진출 증가와 가족기능의 약화, 어린이 집 이용 가구에 대한 보육료 지원 확대 등에 따라 어린 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 며, 2011년 보육통계에 따르면 취학 전 절반 정도의 영·유아가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다(Shin and Ahn, 2012).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체중과 비교해 보면 더 빠르고 많이 호흡하게 되어 오염물질 노출에 더 취약 하고(Lee, 2012), 영·유아의 경우 성인과 동일한 오염 수준에 노출되었을 경우 상대적으로 더 큰 피해를 받 을 수 있으며, 한 번 훼손되면 복구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Kim et al., 2010). 산후조리원 또한 신생아와 산 모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으로 산후조리원 특성상 온도 와 습도가 높게 유지되는 반면에 환기가 잘 이루어지 지 않아 밀폐된 공간 안에서 다양한 실내공기오염물질 에 노출 될 수 있다(ME, 2012).

    이에 환경부에서는 2004년 5월에 다중이용시설등 의 실내공기질관리법을 제정시행하여 다수의 대중들 이 이용하는 시설에 대한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고 있으 며, 관리대상 항목은 폼알데하이드(HCHO)와 미세먼지 (PM10), 총부유세균(TBC), 이산화탄소(CO2), 일산화탄 소(CO)와 총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라돈(Rn), 석 면(Asbestos), 이산화질소(NO2), 오존(O3)으로 총10가 지 물질이며, 유지기준와 권고기준으로 구분된다(Won et al., 2012).

    그중 미세먼지는 심폐질환으로 인한 수명단축과 시 정감소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건강에 직간접적인 피해 를 주고 있으며, 천식, 폐질환 등 호흡기 관련 질환과 심혈관 질환의 발생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 다(Bae, 2014). 폼알데하이드는 자극성 냄새를 갖는 가 연성 무색 기체로 살균제나 방부제로 사용되며, 특히 주요 발생원으로는 단열재나 섬유옷감, 장롱, 싱크대, 바닥재, 난방연료의 연소과정, 흡연, 생활용품, 의약품, 접착제이다. 건축자재에서 발생된 폼알데하이드는 건 축자재의 수명, 실내온도 및 습도, 환기율에 따라 그 방출량이 영향을 받으며,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눈, 코, 목 등의 자극 증상이 있고, 동물 실험에서는 발암 성이 있다. 또한, 총부유세균은 실내환경에 존재하고 있는 미생물로 다습하고 환기가 불충분하며 공기질이 나쁠 경우 잘 증식하게 되는데 전염성 질환,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미생물성 물질의 발생은 인간의 활동 및 일반가정에서 사용되는 각종 살포제, 공기 정화기, 냉장고, 가습기 등으로부터 기인하며, 특히 시설 내부에서 음식 조리가 이루어지는 시설의 경우 총부유세균 관리에 열악한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저항력이 약한 노약자나 환자, 어린이에게 는 매우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KECO, 2011;Cho et al.,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감계층이용시설인 보육시설, 산후조리원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농도를 파악하고, 실내공기질에 대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 실내환경 개선 및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기간 및 대상

    본 연구의 대상지역 선정범위는 경기도, 강원도, 전 라도, 경상도를 선정하였다. 2012년 1월 1일부터 2015 년 12월 31일까지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 기질관리법에 정하고 있는 다중이용시설 중 민감취 약계층 이용시설인 보육시설(2,010개소), 산후조리원 (88개소) 2개 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인 미세먼지(PM10), 폼알데하이드(HCHO), 총부유세균 (TBC) 3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2 시료채취 및 분석

    시료채취는 대상 시설의 오염도를 대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곳(보육시설의 보육실 및 놀이방, 산후조리원 의 복도, 휴게실 및 체조실 등), 시료채취지점은 가능 한 시료채취지점의 중앙점에서 바닥면으로부터 1.2~ 1.5 m 높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측정지점에 자연환 기구나 기계환기설비의 급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 우에는 급배기구에서 가능한 멀리 떨어진 곳(최소한 1m 이상)에서 채취하였으며, 다수의 환기구 및 급배기 구가 존재할 경우에는 인접한 환기구 설치지점의 중간 지점을 채취지점으로 하였다. 시료채취는 주간시간대 (오전 8시~오후 8시)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실내공기오염물질의 측정 및 분석은 환경 부의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ME, 2010).

    2.3 위해성평가

    위해성평가는 유해성 확인, 노출평가, 용량-반응평가 및 위해도 결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단일 평가치 분 석(point estimate analysis)과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Monte-carlo simulation)을 이용한 확률론적 위해성 평 가(probabilistic risk assessment)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단일 평가치 분석에서는 CTE (central tendency exposure)와 RME (reasonable maximum exposure) 위해도 를 계산하였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확 률분포의 평균(mean), 최대(max), 최소(min) 및 50%, 70%, 90%, 95% 값을 산출하여 발암성 물질의 위해도 분포수준을 파악하였다.

    2.3.1 유해성 확인 및 용량-반응평가

    유해성 확인을 위하여 과거문헌 및 IARC의 분류에 따라 발암성 폼알데하이드를 확인하였다. 독성자료인 단위위해도(unit rick 이하; UR)와 발암잠재력(cacer potency factor 이하; CPF)을 조사하였고, 폼알데하이드 (Formaldehyde 이하; HCHO)는 USA EPA에서 제공하 는 IRIS를 참고하여 본 연구에 적용하였다.

    2.3.2 노출평가

    노출평가 단계에서는 조사 대상별 일일 호흡률(inhalation rate), 노출시간(exposure time), 노출빈도(exposure frequence), 노출기간(exposure duration), 체중 (body weight), 평균수명(lifetime) 등을 조사하였다. 각 각의 노출인자들은 문헌조사 및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값을 비교 검토하여 채택하였고, 노출빈도와 노 출기간은 각각 Lee et al. (2014b)의 연구자료와 Ryu (2010)의 연구자료를 이용하였으며, Table 1에 나타내 었다. 이를 토대로 평생 일일 평균 용량(LADDs)은 다 음의 식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L A D D s = C × I R × E D B W × L T

    여기서,

    • LADDs : lifetime average daily doses (mg/kg-day)

    • C : contaminant concentration in inhaled air (μg/m3)

    • IR : inhalation rate (m3/day)

    • ED : exposure duration (days)

    • BW : body weight (kg)

    • LT : lifetime (days)

    2.3.3 위해도 결정

    영·유아의 평균 체중 및 호흡량을 이용하여 US EPA IRIS의 단위 위해도 자료를 발암 잠재력으로 보 정한 후, 평생 일일 평균 용량과 곱하여 초과 발암위해 도(Excess cancer risk 이하; ECR)를 산출하였다. 발암 위해도는 US EPA 및 WHO에서 제시하고 있는 위해 도 허용 기준치인 10−6~10−4과 비교하였다(EPA, 2005). CPF 및 ECR의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Unit risk = C P F × C o n t a c t r a t e B W E C R = L A D D S × C P F

    여기서,

    • CPF : cacer potency factor (mg/kg/day)−1

    • Contact rate : Inhalation rate (m3/day)

    • BW : body weight (kg)

    • ECR : excess cancer risk

    • LADDs : lifetime average daily doses (mg/kg-day)

    2.4 통계분석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 프로그램은 미국 의 SPSS(ver.20.0)와 Oracle Crystal ball, fusion edition ver.11.1.2.3을 사용하였다. 농도분포를 조사하기 위하 여 정규분포 여부를 검정한 후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 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건강 위해성 평가는 Crystal ball program을 이용하여 노출시나리오에 따른 입력변 수(assumption)을 100,000회 적용하여 종속변수(forecast) 인 건강 위해성 확률분포를 나타내었다.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오염물질별 농도

    본 연구에서 측정한 오염물질 농도의 결과를 Table 2에 나타냈다.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는 46.1 μg/m3로, KEI (2008)에서 연구한 결과의 농도는 46.7 μg/m3로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실내 환경기준 인 100 μg/m3을 초과하지 않는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이 자연환기 방식으로 청소시 미세 먼지가 재비산 할 수 있어 물걸레를 이용한 청소관리 와 적절한 환기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폼알데하이드의 평균 농도는 23.3 μg/m3로 나타났다. 폼알데하이드는 주로 건축자재와 실내 가구 등에서 배 출되며(Kim et al., 2005), KEI (2008)의 연구에서 폼 알데하이드는 주로 신축시설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이는 신축 시 또는 시설 보수 때 사용되는 건축자재에 대한 영향인 것으로 생각되며, 폼알데하이드의 노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의 적용이 필요 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폼알데하이드가 방출될 우 려가 있는 장식품, 소독제, 세정제 등의 사용유무 등에 대한 조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Park et al., 2017) 합리적인 관리방안 도출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 된다.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533.9 CFU/m3로 나타났 다. 총부유세균은 각종 병원균을 포함할 수 있어 저항 력이 약한 시설이용자들에게는 특히 영향을 미칠 수 있어(Ryu, 2010), 환기를 통한 적절한 온습도 등의 실 내기상상태의 쾌적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3.2 시설별 오염물질별 농도

    3.2.1 시설별 미세먼지(PM10) 농도

    본 연구의 시설별 미세먼지 농도를 Table 3에 나타 냈다.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는 보육시설 46.1 μg/m3, 산후조리원은 46.2 μg/m3으로 두 시설이 거의 비슷한 농도를 보였다. 미세먼지의 1차적인 원인은 외부에서 들어오거나, 사람의 몸에 묻어 들어오며, 2차적인 원인 은 건축자재나 주방연소물질에서 주로 발생되고, 이 미 세먼지는 지속적으로 사람 몸에 붙어 다니거나 가구 및 전자제품에 붙어있게 되어 호흡에 의해 폐포로 흡 입되어 침전된 후 인체장기에 축적됨으로써 천식, 호흡 기 질환 및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KECO, 2011), 인체건강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실내바닥, 가구, 창문틀 등에 먼지가 쌓여있지 않도록 주단위 별 로 체크리스트를 갖추어 관리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3.2.2 시설별 폼알데하이드(HCHO) 농도

    본 연구의 시설별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의 폼알데하이드의 평균 농도 는 보육시설 22.4 μg/m3, 산후조리원 38.7 μg/m3로 산 후조리원이 높은 농도로 조사되었는데, 민감계층 이용 시설에 대한 농도에 대해 연구한 Park et al. (2017)의 연구결과는 보육시설 26.0 μg/m3, 53.2 μg/m3로 본 연 구의 농도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와 마찬 가지로 산후조리원의 폼알데하이드 농도가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이는 시설을 이용자들이 주로 산모와 신 생아로 면역력이 낮아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KOSIE, 2017) 환기가 원활하지 않아 폼 알데하이드의 농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된다. 특히, 신생아는 미숙한 조직과 면역체계를 가지고 있으 며, 체내 화학물질 제거 및 배출이 어려워 축적이 쉽기 때문에 내부 감염관리를 위한 소독 후에는 반드시 건 조를 시켜야 하며, 시설 특성상 환기가 원활하지 못하 기 때문에 사용되는 공기정화설비나 에어컨, 가습기 등 은 주기적으로 청소 및 필터를 교체하고, 가습기에 사 용되는 물에는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ME, 2012;Jeong et al., 2018). 또한, 폼알데하이드가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한 접촉을 최소화해야 할 유해물 질이라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3.2.3 시설별 총부유세균(TBC) 농도

    본 연구의 시설별 총부유세균의 농도를 Table 5에 나타내었다.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보육시설 543.9 CFU/m3, 산후조리원 306.6 CFU/m3으로 보육시 설이 높은 농도를 보였다. Ryu (2010)의 연구에서는 보육시설 및 산후조리원의 총부유세균 농도가 각각 469.0 CFU/m3, 293.9 CFU/m3로 나타났으며, 본 연구의 총부유세균 농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지만, 본 연구와 마찬가지로 보육시설의 총부유세균 농도가 비교적 높 게 나타났다. 이는, 보육시설의 경우 주방 시설 등으로 인해 습도가 높고, 인구밀도 또한 높아 관리가 쉽지 않 으며, 어린이의 활동 및 움직임이 많아(Lee et al., 2014a;Jeon and Hwang., 2015) 다소 높은 농도를 보 였다고 생각된다. 특히, 보육시설의 경우 실내 내부에 서 조리가 이루어져 습도가 높고 20~35°C 범위에서 빠 르게 번식하는 부유세균은(Cho, 2017)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에게 미치는 영향이 매우 치명적일 수 있기 때 문에 이러한 시설의 총부유세균의 농도를 줄이기 위해 서는 공간 사용 후에는 반드시 청소 및 세척을 해야 하 며, 충분한 환기를 의무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생각된 다. 또한, 보육시설은 다른 다중이용시설과 다른 규모 및 운영방식에 따른 특수성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 치기 때문에(Park, 2010) 이러한 특수성을 고려한 측정 및 기준강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3.3 지역별 오염물질의 농도

    3.3.1 지역별 미세먼지(PM10) 농도

    본 연구의 지역별 미세먼지 농도를 Table 6에 나타 냈다. 지역별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는 경기도 54.0 μg/ m3, 강원도 29.0 μg/m3, 전라도 43.9 μg/m3, 경상도 41.6 μg/m3로 경기도가 가장 높았고, 강원도가 다소 낮 은 농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미세먼지 농도는 경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경기도의 경우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면 서 수도권으로의 주거이동이 촉진 되었고, 그에 따라 서울시로의 출퇴근 통근통행량이 많아졌기 때문에(Lee and Lee, 2008) 미세먼지의 농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 다고 생각된다. 또한, 도시화에 따라 자동차나 사업장 이 아닌 생활 주변의 주유소, 인쇄소, 세탁소 등에서 오염물질이 배출된다(ME, 2016). 특히, 어린이들의 등 원은 교통량이 매우 집중되는 부모님의 출퇴근 시간대 에 이동이 많고 어린이집은 대부분 도로가에 인접하게 위치해 있기 때문에(Sohn et al., 2014) 경기도 지역에 서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게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3.3.2 지역별 폼알데하이드(HCHO) 농도

    본 연구의 지역별 폼알데하이드 농도를 Table 7에 나타냈다. 지역별 폼알데하이드의 평균 농도는 경기도 24.5 μg/m3, 강원도 22.6 μg/m3, 전라도 23.0 μg/m3, 경 상도 21.8 μg/m3로 나타났으며, 경기도가 가장 높았고, 경상도가 다소 낮은 농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았다.

    폼알데하이드는 빌딩건축자재물에 사용되는 실내인 테리어 접착제 등에 이용되며, 새 가구는 실내공기의 주된 오염원이 된다(Stock and Mendez, 1985;KOSIE, 2017). 본 연구에서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는 경기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경기도의 경우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면서 수도권으로의 주거이동으로 인하여 신도시 가 발전되어(Lee and Lee, 2008;KREA, 2017) 신축된 이용시설들이 증가하여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고 생각 된다. 또한, 폼알데하이드는 실내인테리어에 사용된 건 축자재의 종류와 양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데(Kang et al., 2014)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를 저감하기 위해서 는 건축자재를 사용할 때 폼알데하이드가 적게 방출되 는 제품을 사용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3.3.3 지역별 총부유세균(TBC) 농도

    본 연구의 지역별 총부유세균의 농도를 Table 8에 나타냈다. 지역별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경기도 631.9 CFU/m3, 강원도 513.9 CFU/m3, 전라도 493.8 CFU/m3, 경상도 502.9 CFU/m3로 경기도가 가장 높았 고, 전라도가 다소 낮은 농도를 보였다.

    신도시에 위치한 시설들의 경우 도로 인근에 위치한 상가건물 또는 아파트단지 내 입주하고 있고(Kim et al., 2017), 특히 수도권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주변 의 다양한 상업시설 및 교통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어 (ME, 2012), 도로변에서 배출된 오염물질에 영향을 쉽 게 받을 수 있으며, 이는 본 연구의 경기도에서의 총부 유세균의 농도가 높게 나타난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3.4 건강위해성평가 결과

    폼알데하이드의 발암위해도를 Table 9에 나타내었다. 폼알데하이드의 남녀 근무자의 발암위해도는 CTE에서 3.90 × 10−5으로 나타나 허용 위해도인 10−6을 초과하였 으며, RME는 1.38 × 10−4으로 나타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미만으로 조사되었다.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의 평 균값은 남성 근무자의 경우 5.69 × 10−5, 여성 근무자의 경우 4.80 × 10−5으로 나타나 허용 위해도를 초과하였 으며, 95th percentile은 남성의 경우 2.57 × 10−4, 여성의 경우 1.43 × 10−4으로 나타나 최대 허용기준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Shin et al. (2018)의 연구에서는 실내공기 오염 실태조사를 토대로 한 위해성평가 결과, 보육시설 에서의 폼알데하이드의 발암위해도가 근로자(성인) 및 이용자(0~7세)에 대해서 초과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발암 영향이 지속될 수 있는 폼알데하이드의 경우 더 욱 주의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폼알데하이드의 남아의 발암위해도는 CTE에서 2.97 × 10−6으로 나타나 허용 위해도인 10−6 미만이었으 며, RME는 1.44 × 10−5으로 나타나 최대 허용기준인 10−4미만으로 조사되었다.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의 평 균값은 3.64 × 10−6으로 나타나 허용 위해도 미만이었 으며, 95th percentile은 1.06 × 10−5으로 나타나 최대 허 용기준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1~6세에 해당하는 여아 도 모두 허용 위해도와 최대 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나 폼알데하이드의 발암위해도는 우려 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Kim et al. (2010)의 연구에서는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2~5세의 영·유아의 발암위해도의 범위가 10−5~10−3로 보고되었 다. 또한, 다중이용시설의 건강위해성평가에 대해 조사 한 Ryu (2010)의 연구결과에서도 보육시설 이용자 (2~7세)의 발암위해도는 CTE에서 1.55 × 10−5로 허용 위해도를 초과하였으며, 근무자(성인)의 발암위해도 또 한 CTE상태에서는 발암위해도를 초과하지 않았지만 RME상태에서는 기준을 초과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폼 알데하이드는 유전 독성을 동반한 발암성 물질로서 영·유아 및 어린 시기의 노출로 인한 잠재적 위해 가 능성이 성인보다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IERY, 2015). 또한, 폼알데하이드의 농도가 법적인 허용기준 치 이내의 경우라도 발암위해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현행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상 의 기준을 더욱 강화해야한다고 생각된다.

    4. 결 론

    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경기도, 강원도, 전라도, 경상도에 위치한 민감취약계층 이용시설인 보 육시설, 산후조리원 2개 시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PM10), 폼알데하이드(HCHO), 총부유세균(TBC) 오염 물질의 농도와 건강영향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미세먼지 농도는 46.1 μg/ m3, 폼알데하이드는 23.3 μg/m3, 총부유세균은 533.9 CFU/m3의 농도 분포를 보였다. 이는 “다중 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해당하는 기 준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본 연구결과 대상 시설은 다른 시설에 비해 오염물질에 대한 저항 력이 낮은 이용자들이기 때문에 유지 및 관리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2. 시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는 보육시설이 46.1 μg/m3, 산후조리원이 46.2 μg/m3으로 비슷한 농도 를 보였으며, 폼알데하이드의 시설별 농도분포는 산후조리원이 38.7 μg/m3, 보육시설이 22.4 μg/m3 으로 시설별 다소 큰 농도 차이를 보였다. 총부유 세균의 농도는 보육시설이 543.9 CFU/m3로 가장 높았고, 산후조리원이 306.6 CFU/m3으로 보육시 설이 높은 농도를 보였다. 산후조리원 및 보육시 설은 각각 시설 이용자의 특성이 다르며, 운영방 식 또한 다른 다중이용시설과 다르기 때문에 이 러한 특수성을 고려한 측정 및 기준이 필요하다 고 사료된다.

    3. 지역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는 경기도에서 가장 높 은 농도로 나타났으며,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54.0 μg/m3,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24.5 μg/m3, 총 부유세균 농도에서는 631.9 CFU/m3로 제시되었 다. 이는, 수도권으로의 주거이동으로 인한 신도 시발전 및 주변의 다양한 상업시설과 교통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어 오염도를 평가할 때, 지역환 경의 특수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4. HCHO의 CTE, RME 상태 및 몬테카를로 분석결 과 보육시설 근무자의 발암위해도는 3.90 × 10−5 으로 나타나 US EPA에서 제시하는 허용기준치인 10−6를 초과하였으며, 영·유아의 발암위해도는 US EPA에서 제시하는 허용기준치인 10−6를 초과 하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의 영·유아 대상의 위해 성평가에서 발암위해도가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것 으로 보고되어, 영·유아에 대한 허용기준치 및 현 행법상의 기준을 더욱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결과는 민감계층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오염된 실내공기질 의한 건강피해 예방과 실내공기질 관리 및 향상에 필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자료제공과 순천 향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Table

    Fixed assumptions and probability densities used as inputs to risk estimates

    Concentr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Concentration of PM10 by facilities

    Concentration of HCHO by facilities

    Concentration of TBC by facilities

    Concentration of PM10 by regions

    Concentration of HCHO by regions

    Concentration of TBC by regions

    Cancer risk for carcinogenic HCHO in adults, infants

    Reference

    1. Bae, H. J. ,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40(5), 346-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K. H. , Kwon, S. J. , Sung, M. K. , Kim, S. S. , 2017.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in vulnerable facilities according to building characteristics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23(2), 19-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Institute for Environmental Research Yonsei university (IERY), 2015.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indoor air quality based on risk assessment.
    4. Jeon, B. H. , Hwang, I. Y. , 2015. Concentrations of total culturable microorganisms and its identification in public facilities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16(1), 868-8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g, T. J. , Park, G. H. , Hur, J. , Koh, S. B. , Park, M. B. , Chang, S. J. , 2018. The effects of formaldehyde exposure on self-reported symptoms of respiratory-eye mucosa and integumentary system during anatomy practices among korean medical student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thropology31(1), 9-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ng, H. J. , Jung, G. H. , Jung, K. C. , Shin, C. H. , Kim, D. H. , 2014. An analysis of fine particles and aldehyde in air inside and outside the schools in sihwa industrial complex and neighboring area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3), 192-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H. H. , Yang, J. Y. , Lee, C. S. , Kim, S. D. , Yang, S. H. , Shin, D. C. , Lim, Y. W. , 2010. Health risk and exposure assessment of aldehydes in children's faciities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7(2), 89-1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 B. , Lee, G. , Ryu, S. H. , Lee, J. Y. , Woo, S. H. , Lee, S. B. , Yun, S. T. , Bae, G. N. , 2014. Diurnal variation of air pollutants at a day-care center near the heavy road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1), 28-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J. B. , Lee, S. B. , Lee, J. Y. , Lee, G. J. , Ryu, S. H. , Kim, K. H. , Bae, G. N. , 2017. Weekly variation of indoor air quality in a nursing room of a day-care center near the roadside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6(2), 113-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Y. S. , Roh, Y. M. , Hong, S. C. , Lee, C. M. , Jun, H. J. , Kim, J. C. , Cho, J. H. , 2005. A survey of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facilities. Indoor environment and technology 1(2), 14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 Environment Corporation (KECO), 2011. Multi-use indoor air quality consulting business: Elderly care facility, day care center, postnatal care center.
    12.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08. Survey on lowincome group health effects of environmental pollution.
    13. Korea Regional Economics Association (KREA) Korea Regional Economics (KRE), 2017. A basic study on the retrospect and prospect of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14.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KOSIE), 2017.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ehavior guidelines for the vulnerable layer of indoor air pollutants.
    15. Lee, H. Y. , Lee, S. M. , 2008. The influence of new town development on the changes of the migration and commuting patterns in the capital region .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43(4), 561-5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K. S. , 2012. A study on the indoor radon concentr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Korea.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17. Lee, S. W. , Heo, Y. M. , Han, S. Y. , Kim, D. K. , 2014a.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from household vacuum cleaners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4), 256-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W. Y. , Jeon, E. M. , Rho, Y. K. , Yoo, S. S. , Yun, J. S. , Eo, S. M. , Jung, K. , Kim, S. D. , 2014b. A study on health risk assessme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child-care center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4), 297-3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7. Korean exposure factor handbook.
    20.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0. Indoor air quality process test standard.
    2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2.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anual.
    2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What is fine dus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0. A study on individual exposure assessment according to daily activities.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6.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for children. Park, J. H., 2010. A study on the field survey of the IAQ in the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uty.
    24. Park, J. H., 2010. A study on the field survey of the IAQ in the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uty.
    25. Park, T. H. , Kim, K. R. , Kwon, S. M. , Eo, S. M. , Shin, J. H. , Jung, K. , Kwon, M. H. , Lee, C. M. , 2017.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in facilities for medically sensitive users in Seoul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6(4), 345-3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Ryu, I. C. , 2010. A study characteristic on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multi-use facilitie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27. ShinN. R. , Ahn, J. J. , 2012. Factors affecting the number of hours children spent in child care centers among dualworking families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21(5), 863-8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Shin, H. J. , 2016.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small-sized multi-use facilitie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9. Shin, H. J. , Park, W. S. , Kim, B. K. , Ji, K. H. , Kim. K. T. , 2018. Indoor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for un-regulated small-sized sensitive population facilities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44(4), 397-4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Sohn, J. R. , Kim, J. M. , Oh, H. J. , Nam, I. S. , Yang, J. H. , Lee, D. H. , Lee, B. Y. , 2014. Assessment of particles and bioaerosol concentration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1), 40-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Stock, T. H. , Mendez, S. R. , 1985. A survey of typical exposures to formaldehyde in Houston area residences.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46(6), 313-317.
    32.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2011. Exposure factors handbook, EPA/600/R-900/052F.
    33. Won, S. R. , Lim, J. Y. , Shin, I. K. , Kim, E. J. , Choi, A. R. , Han, H. S. , Lee, W. S. , 2012. Characterization of PM2.5 and PM10 concentration distribution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9(3), 229-2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2. Burden of disease from household air pollution for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