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9 No.4 pp.414-421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0.19.4.414

Evaluation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reduction efficiency by air conditioning system

Min-Jun Kim, Seung-Yeon Cho*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Yonsei University, Wonju
*Corresponding author Tel : +82-33-760-5007 E-mail : sy.cho@yonsei.ac.kr
19/11/2020 14/12/2020 17/12/2020

Abstract


This experiment evaluated the efficiency of mechanical ventilation, one of the measures to reduce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residential spaces. In the most popular ventilation rates of the air conditioning system, the most efficient air conditioning system was confirmed by checking the time when the radon concentration reached the lowest level, the radon reduction rate, and the radon concentration that could be lowered as much as possible. The results showed a reduction rate of up to 80% or more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experiment 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to reach the lowest concentration after starting the mechanical ventilation was about 6 hours to a maximum of 7 hours. Therefore, this study verified that indoor radon concentrations can be efficiently reduced by using a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공조기를 이용한 실내 라돈 저감 효율 평가

김민준, 조승연*
연세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8002440001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라돈(222Rn)은 우라늄(U-238) 방사능 계열의 원소 로서 라듐(Ra-226의 알파(α) 붕괴 시 자연 생성되는 가 스상 물질로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흡입했을 경우 폐 세포와 DNA에 충격을 주어 파괴 및 변형 과정이 세포 의 재생속도보다 현저히 빠를 경우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Collier et al., 2005). 세계보건 기구(WHO)는 라돈을 일상생활에서 노출되는 가장 유 의한 환경 방사선원이자 폐암 발생 원인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에 따르면 BEIR 모형 에 의한 라돈 노출로 인한 폐암 사망 위험을 추정해보 았을 때 겨울 중 우리나라 전체 폐암 사망 가운데 34.4%가 라돈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KEI, 2014). 주로 토양, 지하수, 건축자재로부터 대부분의 라 돈이 실내로 유입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실내 건축자재로 사용되는 암석, 자갈, 모래 등의 토양에 우 라늄 및 라듐의 함량이 높을 경우에는 이를 사용한 주 거공간의 실내 라돈 농도가 확연히 높아질 수 있다 (Chen et al., 1993).

    2018년 라돈 침대 사태를 시작으로 국내에서도 라돈 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실내 라돈 농도를 저감하 기 위한 노력이 여러 분야에서 진행 중이다. 현대인들 의 실내 활동은 점점 더 늘어가고 실내환경에 대한 관 심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Cho et al., 2017). 실 내활동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실내 환경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실내공간에서의 발생되는 라돈의 유입 및 방출을 차 단하여 실내공기 환경의 개선에 이용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환기이다. 미국의 경우 건물의 실내 라돈 저감은 환기 엔지니어의 핵심 영역이다. ASHRAE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Standard 62에서 는 오염물질이 있는 지역을 제외한 거주 지역에서 시 간당 0.35 ACH (Air Changes per Hour)의 자연 환기 율을 제안했다(ASHRAE, 2003). 그러나 이는 주로 이 산화탄소와 악취 제거에 대한 내용만 적용된 자연 환 기율이기 때문에 라돈 저감 목적을 위한 지침의 범위 를 검증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ASHRAE, 2004). 동 력을 사용하지 않고 창문 등 개구부를 열어 필터링 없 이 외기와 내기를 교환하는 방식은 현재 미세먼지 이 슈가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더 이상 제안할 수 없다. 에 너지 효율적인 측면과 라돈 저감을 고려한 자연 환기 율을 제안하고 그것을 지키며 건축을 하는 방안도 중 요하지만 기계식 환기의 가동시간 또는 공간마다 라돈 농도를 확인하여 적합한 환기장치 사용시간을 제시하 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공동주택 건설 시 친환경 건축자재를 사용하고 있지 만 실내 생활 중 다양한 활동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VOCs 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실내공기 는 외부환경보다 최대 10배까지 오염될 수 있다. 공동 주택의 실내에서는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라돈, CO2, VOCs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축적될 수 있어 적절한 환기가 필수적이다. 최근 사용률이 높아지고 있는 공기 청정기는 실내 미세먼지 제거 효과는 높지만 CO2 및 라돈 저감은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자연환기 및 기계식 환기설비의 적극적인 이용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국토 교통부에서는 ‘공동주택 환기설비 매뉴얼’을 제작하여 입주자 및 관리자 등에 기계식 환기설비 관리를 권고 하고 있다. 현재, 국토교통부에서는 2006년 이후 건축 되는 100세대 이상의 신축 공동주택은 실내공기의 원 활한 환기를 통해 청정한 실내환경을 확보할 수 있도 록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 11조 제1항 에 따라 환기설비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며 다수의 공동주택에는 기계식 환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최근 건축된 신축 공동주택에는 공조기가 세대마다 설치가 되어있어, 기계식 환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 공조기 를 이용하여 개개인이 라돈을 실질적으로 관리가 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미지수이다. 또한, 에너지 절감을 위해 건물의 밀폐도를 높여 자연환기율이 줄어들어 실 내 라돈 농도가 쉽게 오를 수 있다. 자연환기의 경우 외부 오염공기의 유입으로 실내공기 오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기계식 환기를 통한 실내 라돈 저감이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공조기와 같은 기계식 환기가 라돈 농도를 저감시키는 방법 중 하나 인 것은 분명하나, 공간 별, 환기장치 유량 별 라돈 농 도가 저감되는 정도는 분명히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식 환기 장비의 작동에 따른 실내 라돈 농도가 저 감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입주하지 않은 신축 공 동주택을 확보하여 가장 효율적인 위치를 찾기 위해 공조기를 직접 설치하고, 실내 라돈 농도를 진단한 뒤, 라돈 저감률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내공간에서의 방사 평형 및 최저 농도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확 인하여 기계식 환기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2. 실험방법

    2.1 실내공간 라돈 방출율 실험 체계 구축

    본 연구에서는 기존 공동주택에 일반적으로 설치되 어 있는 공조기의 라돈 저감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ㅇㅇ건설 동탄지구의 총면적 341.94 m2 총부피 244m3 신축 공동주택 세대를 대상으로 하여 기계식 환기 시 스템인 공조기의 모의실험 장치를 구성하고 측정 평가 하였다. 해당 공간의 경우 실거주 전의 상태로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없어, 장기간 공기유동이 없 는 상태를 만들어 배경농도를 높은 수준으로 올리는데 도 비교적 수월하였다.

    환풍기가 위치한 화장실의 경우 외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완전히 밀폐하여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실험 전 초기 농도 및 실내 라돈 방출량 측정 결과 700~1500 Bq/m3의 배경농도를 보였다. 2018년 4월 개 정된 공동주택 라돈 기준인 148 Bq/m3 (실내공기질 관 리법)보다 최대 약 10배 이상 높은 수치를 보였다.

    초기 농도 확인 후 공간 내 환기설비를 설치하고, 실 시간 측정장비를 통해 라돈 방출량 모니터링을 진행하 였다. 측정장비는 펄스이온화 방식의 형식 승인된 장비 FRD 1600, RD-200 (FT Lab, KOREA)를 사용하였으 며, 실험 시작 농도를 설정하고, 해당 장비에서 초기 농도 값인 약 740 Bq/m3 (20 pCi/L)이 되었을 때, 구획 별 총 17개의 측정기를 설치하여 측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내 구획된 공간에서 밀폐되어 있을 경우와 밀 폐되지 않은 경우의 환기율 차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방(Room) 문을 연 상태(Open), 문을 닫은 상태(Close) 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Open 및 Close 모두 초기 농도 값을 동일하게 맞추어 진행하였다. 공조기 유량은 미풍 (0.3 회/h) 모드로 시험을 진행하였으며, 흡·배기구 설 치는 거실에 흡기와 배기 2구씩, Room 1과 2는 각각 흡기와 배기 1구씩으로 총 흡기와 배기 4구가 설치하 였다. 측정기 설치 위치는 공간의 대푯값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의 중앙과 특성이 있는 위치(흡·배기구 등)에 설치하였다. Fig. 1과 같이 거실에 5지점, 방 1 에 4지 점, 방 2에 4지점, 주방에 3지점을 측정하였다.

    2.2 건축자재 라돈 방출율 측정 및 계산

    라돈은 토양으로부터 발생된다. 연구에 활용된 공간 의 경우 18층에 위치하여 토양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 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실내공간의 라돈은 대부 분 건축자재로부터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실내 공간 에서의 라돈 저감은 우선적으로 공간 내 정확한 라돈 농도 진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Awhida et al., 2016). 이에 따라, 저감 실험 전 먼저 건축자재에서 발 생하는 라돈 방출량 측정을 진행하였다.

    해당 공간의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의 방출량 의 확인을 위해, 특수 제작한 아크릴 챔버를 활용하여, 라돈 농도 측정을 진행하였다. 건축자재 표면에 Radon Eye (FT Lab, KOREA)를 위치시키고, 그 주변을 밀폐 시킴으로써 해당 표면에서의 라돈 방출율을 확인하였다.

    건축자재 방출량 측정에 사용된 Radon Eye (FT Lab, KOREA)의 경우 라돈(Rn222)과 토론(Rn220)이 모두 측정되어진다. 토론의 인체위해성의 경우 아직 명 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토론의 반감기는 55.6초로 짧고, 이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건축자재에서 발생되는 토론은 표면 부근에서 최대 농도가 발생된다. 실내공간 의 정확한 라돈의 측정은 중앙부, 벽면 등을 나누어 비 교하는 것이 효율적이다(Nguyễn-Thuỳ et al., 2019).

    연구를 위해 제작된 아크릴챔버를 건축자재 표면에 부착하여,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시간당 방출되는 라돈 의 양을 확인한다면, 일정 시간 후 해당 공간에 방출될 수 있는 라돈 농도를 예측 할 수 있을 것이다(Lee et al., 2015). 건축자재 방출량은 라돈 기체의 반감기를 고려하여 28일 이상 측정을 진행해야 라돈 농도가 평 형을 이루고 다음의 식으로 계산하여 방출량을 산정할 수 있다.

    R a d o n e x h a l a t i o n c a l c u l a t i o n E 222 = ( C C 0 e λ 222 t ) 1 e λ 222 t λ 222 V
    (1)

    • (1)식을 통해 방출량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C는 평형농도[Bqm-3], C0는 초기 라돈 농도 Bqm-3, λl222222Rn 붕괴상수 [h-1], V는 분석시스템의 총 부피[m3]를 말한다. t는 시간[h]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단순화된 공 식은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또한, 24시간의 실험에 적 용되었을 때 비슷한 결과를 제공한다(Tuccimei et al., 2009).

      E 222 = ( m + λ 222 C 0 ) V
      (2)

      • E222 : Equilibrium Concentration [Bq/m3]

      • m : Initial Slope of the Radon Growth Curve [Bq/m3h-1]

      • λl222 : 222Rn Decay Cons tant [h-1]

      • C0 : Initial Radon Concentration [Bq/m3]

      • V : Total Volume of the Analytical System [m3]

    • (2)식은 24시간 동안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측정하여 식을 통해 해당 자재의 라돈 방출량을 확인 하는 방법이다. 계산 값의 정확도가 어느 정도 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측정 시퀀스를 나누어 진행하였다. 24시간, 48시간, 72시간 기울기를 이용한 값들을 비교 하여 직접 확인해보았다.

    Fig. 3과 Fig. 4는 각각 다른 장소에서 콘크리트 벽면 에 챔버를 부착하여 측정한 데이터이다. 해당 공간의 건축자재의 경우 사용된 원자재들이 같지만, 정확한 데 이터를 위해 서로 다른장소에 위치하여 진행하였다. Fig. 3과 Fig. 4의 실험값은 계산을 위해 Radon exhalation calculation (1)식과 (2)식에 적용하였다.

    계산결과 48시간 측정이 91.3%의 높은 확률로 가장 정확한 결과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실험 을 진행할 공간의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 농도를 48시간 3회 측정하였고, 챔버 크기를 기준으로 방출량 (Bq/h·m2)을 계산했으며, 이후 각 공간의 표면적을 대 입하여 공간의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방출량(Bq/h)를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거실과 주방은 단위부피 당 4.2984 Bq/h, Room 1은 단위 부피 당 5.3335 Bq/h, Room 2는 단위 부피 당 8.6465 Bq/h로 확인되었다.

    건축자재 측정에 사용된 측정장비 Radon Eye (FT Lab, KOREA)는 국내최초 라돈실시간 측정기로서 형 식승인을 받은 장비이며 오차범위는 10% 이내이다. 실 시간으로 측정이 가능하고 높은 측정 감도를 통해 유 효측정값을 1시간 안에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 라돈(Rn222)과 토론(Rn220)이 분리되지 않고 합산되기 때문에 측정값에 혼돈을 야기 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토론의 실내 라돈측정데이터 측정값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 정시험법에 맞추어 위치를 선별하였다. 총 17대의 측 정기를 설치하여 비교하여 진행하였으며, 주어진 연구 여건상 최선의 조건으로 진행하였다고 할 수 있다. 실 내 공간 라돈측정에서 토론의 영향은 공정시험법 측정 법에 맞추어 측정 시 실제 기여도는 약 10% 미만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장비의 오차범위 10%를 넘지 않은 수치이기 때문에 실내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현재 진행하고 있는 추가연구에서는 건축자재 방출량 측정에 있어 보 다 더 정밀한 측정 및 분석 방법을 고안하여 위 문제를 해결할 예정이다.

    3. 결 과

    환기율의 경우 공조기의 유량 중 가장 낮은 미풍(0.3 회/h)로 설정하여 진행하였다. 미풍의 경우 주거공간 내 일상생활에서 소음 및 풍속을 느낄 수 없고,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하여 최초 실험값으로 설정하여 진 행하였다. 모든 공간 내 초기 농도 값 설정 후 Open 및 Close 상태로 나누어 라돈 농도 저감률과 최저 농 도 도달시간을 확인하였다. 아래의 그래프에서 공조기 의 작동 유무를 On/Off로 표기하여 구분하였다.

    3.1 Open test, 미풍(0.3회/h) 실험

    Open 상태에서 미풍(0.3 회/h) 환기율 실험 결과, 환 기설비 가동 후 가장 낮은 농도로 감소하는데까지 걸 린 시간은 약 11시간 소요되었으며, 거실 및 Room 2 의 경우는 농도가 감소하긴 했으나, 기준치 이하로 떨 어지지 않고 200 Bq/m3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3.2 Close test, 미풍(0.3회/h) 실험

    Close 상태에서 미풍(0.3 회/h) 환기율의 실험 결과, 가동 후 가장 낮은 농도로 감소하는데 걸린 시간은 약 11시간 소요되었다. 부엌과 거실을 제외한 두 방의 경 우, 저감 후에도 약 200 Bq/m3의 농도가 유지되었다.

    Table 3, Table 4에서 공조기의 실내 라돈 저감률을 확인할 수 있는데, Open의 경우 약 78%, Close의 경우 약 80%의 저감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총 34개의 데이 터 중 23개 데이터가 공조기를 가동하여도 권고기준치 (148 Bq/m3)를 초과하였고, 구획 공간별 종합 데이터로 확인해보면, 미풍(0.3 회/h) 상태에서 거실과 방 1, 방 2 에서 라돈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저감 되지 않은 것 으로 확인되었다.

    Table 5에서는 공조기 가동 후 실내 라돈 농도가 최 저치로 저감 되기까지의 시간을 나타낸다. Open과 Close 두 상태에서 각각 최저 농도 도달시간까지의 시 간은 평균 약 7시간 정도로 차이가 크게 나지 않은 것 을 확인할 수 있다.

    4. 결 론

    라돈은 화학적인 반응을 하지 않는 불활성 기체이며, 완전한 제거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실내공간에서 발생하는 라돈을 가장 쉽게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은 바 로 환기이다. 외부 공기를 그대로 유입시키는 자연환기 의 경우 오히려 외부의 오염된 물질이 실내로 유입되 어 실내공기를 더욱더 오염시킬 수 있다. 기계식 환기 의 경우 현재 건축되는 공동주택의 공조기 설치가 의 무화되어 있고, 물리적 저감 방법이 가장 최선이라고 할 수 있는 실내공간의 라돈 저감법에서 외부 공기의 필터링으로 정화가 가능하고, 사용법이 간단한 공조기 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환기 방법 중 하나인 기계 식 환기의 실내 라돈 저감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연구 를 진행 하였다.

    공조기의 효율평가 실험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조성한 생활환경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공조 기의 유량은 미풍(0.3 회/h) 설정하였으며, 추후 여러 구간의 유량을 설정 및 보완하여 연구를 진행할 예정 이다.

    연구결과, 공조기 가동 후 약 7시간 이후 공간 내 라 돈 농도가 저감 되기 시작하였고, 최초 저감 후 방사평 형 상태로 유지되었다. 공조기의 라돈 저감률의 경우 Open상태 약 78%, Close상태 약 80%의 저감률을 나타 냈다. 그러나, 총 34개 데이터 중 23개 데이터가 공조기 를 가동하여도 권고기준치(148 Bq/m3)를 초과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공간은 평균적으로 740 Bq/m3 정도의 고농도를 나타내는 공간이며, 생활환경 정보 센터 2018년 전국 실내 라돈 평균값인 72.4 Bq/m3 보다 약 10배 이상의 농도를 보이는 공간으로 결과적으로는 위 공조기만으로는 생활안전수치까지 농도를 저감시키지 는 못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록 생활안전수치까지 저 감은 되지 않았지만, 최대 85%까지 나타난 저감률은 매우 중요한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실제 공동주택에 효율적 기계식 환기를 위해 서는 주변 환경 및 변수 또한 확인하여야 한다. 기본적 으로 해당 공간의 라돈 방출량과 실내 체적, 공간 밀폐 율 등이 변수로 작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에너지 효율적인 측면과 라돈 저감을 고려한 자연 환기율을 제안하고 그것을 지키며 건축을 하는 방안도 중요하지만 기계식 환기의 가동시간 또는 공간마다 라 돈 농도를 확인하여 적합한 환기장치 사용시간을 제시 하는 것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추후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가 라돈 관리의 우선순위 를 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환경부의 “지중환경오염위해관리기술개발 사업(2018002440001)”으로 지원을 받았습니다.

    Figure

    JOIE-19-4-414_F1.gif

    Ventilation and measuring device installation location.

    JOIE-19-4-414_F2.gif

    Radon measurement in building materials.

    JOIE-19-4-414_F3.gif

    Radon concentration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1).

    JOIE-19-4-414_F4.gif

    Radon concentration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2).

    JOIE-19-4-414_F5.gif

    Living room conc. at open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6.gif

    Kitchen room conc. at open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7.gif

    Room 1 conc. at open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8.gif

    Room 2 conc. at open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9.gif

    Living room conc. at close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10.gif

    Kitchen conc. at close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11.gif

    Room 1 conc. at close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JOIE-19-4-414_F12.gif

    Room 2 conc. at close state with 0.3 times/h ventilation rate.

    Table

    Radon emission calculation result formula and time

    Construction material radon emission

    Dat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t each measuring point in open state

    Dat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t each measuring point in close state

    Time to reduce to the lowest radon concentration

    Reference

    1.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ASHRAE),2003. Ventilation and acceptable indoor air quality in Low-Rise residential buildings. Standard 62.2-2003.
    2. American Society of Heating, Refrigerating and Airconditioning Engineers Inc. (ASHRAE),2004. Thermal environmental conditions for human occupancy. Standard 55-2004.
    3. Awhida, A. , Ujic, P. , Vukanac, I. , Ðurasevic, M. , Kandic, A. , Celikovic, I. , Loncar, B. , Kolarz, P. ,2016. Novel method of measurement of radon exhalation from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164, 337- 343.
    4. Chen, C. J. , Weng, P. S. , Chu, T. C. ,1993. Radon exhalationrate from various building materials. Health Physics 64(6), 613-619.
    5. Collier, C. G. , Strong, J. C. , Humphreys, J. A. , Timpson, N. , Baker, S. T. , Eldred, T. , Cobb, L. , Papworth, D. , Haylock, R. ,2005. Carcinogenicity of radon/radon decay product inhalation inrats - effect of dose, dose rate and unattached fr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Biology 81(9), 631-647
    6. Cho, S. Y. , Kim, S. H. , Kim., M. J. ,2017. Effects of radon and its management.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4), 297-307.
    7.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2014. Estimation of the risk reduction and health benefit of regulating radon level in indoor air quality.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C. M. , Gwak, Y. K. , Lee, D. H. , Lee, D. J. , Cho. Y. S. ,2015.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indoor concentration due to radon exhalation from domestic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9), 1131-1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Nguyễn-Thuỳ, D. , Nguyễn-Văn, H. , Schimmelmann, J. P. , Nguyệt, N. T. , Doiron, K. , Schimmelmann, A. ,2019. 220Rn (Thoron) Geohazard in Room Air of Earthen Dwellings in Vietnam. Geofluids, 1-11. Article ID 7202616.
    10. Tuccimei, P. , Castelluccio, M. , Soligo, M. , Moroni, M. ,2009. Radon exhalation rates of building materials: Experimental, Analytical protocol and classification criteria. 2009 Nova Science Publishers, Inc.,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