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1 No.2 pp.95-103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2.21.2.95

Airborne bacteria control using active ions in indoor spaces for vulnerable human groups

Jiyou Kwoun1, Tae-Jung Lee1, Hyo-Jin Kim2, Chan-Woo Choi3, Young-Min Jo1*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Kyung Hee University
2Vekzon Ltd.
3NER Ltd.
* Corresponding Author: Tel: +82-31-201-2485 E-mail: ymjo@khu.ac.kr
18/05/2022 30/06/2022 30/06/2022

Abstract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airborne bacteria by supplying active ions to indoor spaces used by vulnerable human groups spending substantial amounts of time in places such as schools and hospitals. In an experiment conducted during school hours (8:00-15:00), the average number of airborne bacteria in classrooms was 345.53 CFU/m3 or more without active ions. However, ion supply reduced the airborne bacteria to an average of 113.23 CFU/m3, indicating an efficiency of 61.61%. As a result of tests in 33 rooms used for surgery in small and middle sized hospitals, ion supply for 2 to 4 hours reduced the average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 from 243.88 CFU/m3 to 104.34 CFU/m3, representing a 41.53% reduction. A laboratory test to confirm the ion activity has shown that the mortality rate of E. coli used as a test bacterium increased with exposure time to ions. The initial colony number of E. coli was 251 CFU, but decreased to 4 CFU after 60 minutes of exposure to active ion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supply of active ions can contribute to the control of airborne bacteria in the indoor environment of schools, hospitals and other public facilities.



활성이온을 이용한 민감계층 이용 실내공간 부유세균 저감연구

권지유1, 이태정1, 김효진2, 최찬우3, 조영민1*
1경희대학교 환경공학과
2㈜벡슨
3㈜엔이알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현대인은 하루의 80%~90% 이상을 가정이나 학교, 사무실 등에서 지내며, 차량이나 지하철, 대형쇼핑센 터 등 실내공간에서의 활동이 대부분이다. 노출강도 가 높은 실내공간에서의 체류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미세먼지를 비롯한 유해가스와 부유세균 등 다양한 화학적 및 생물학적 오염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 고 있는 추세이다. 이 가운데 부유세균은 입자가 작 고(0.001-100 μm)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공기중에서 쉽게 이동하는 특성이 있다(Ven Leuken et al., 2016). 실내공기 중 부유세균은 일반적으로 창문을 통한 자 연환기 또는 기계적 환기를 통하여 부유세균의 농도 를 줄일 수 있지만 실외에 존재하는 진균류를 비롯한 다른 세균이 유입될 가능성이 상존한다. 환경부에서 는 다중이용시설 및 신축공동주택 등에 대한 실내공 기질 관리법에 유지기준으로서 총부유세균은 800 CFU/ m3, 권고기준으로서 곰팡이를 500 CFU/m3로 지정하 고 있다.

    특히, 어린 학생들은 신체와 정신의 성장발육이 왕 성한 시기이기 때문에 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연구 집 단이며, 성인에 비해 단위체적당 활동량과 호흡량이 많으며 신체지수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 문에 공기오염물질에 대한 노출 및 건강위해성이 높 다. 하루 24시간 중 대부분의 시간을 집과 학교 실내 에서 학습 및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공기 오염물 질 노출 측면에서 8시간 이상 머물고 있는 학교의 실 내공기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Yang et al., 2009). 학 교에서 수행된 연구에 따르면, 교실의 열악한 실내공 기질(Indoor Air Quality; IAQ)는 천식 및 두뇌발달 등 에서의 위험성이 증가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ragoszewska et al., 2018). 또한, 다양 한 환자가 왕래하고, 입원해있는 대형병원의 경우, 병 원성 미생물로 인한 감염사례가 있다. 특히 수술실이 나 음압격리병실의 경우, 실내 공간을 음압으로 유지 하기 때문에 병실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들이 실 내에 체류할 가능성이 높은 우려도 있다.

    실내공간에 대한 부유미생물을 제거하기 위한 기 술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필터식, 전기집진식, 이온플라즈마 방식, UV 광촉매 방식 등이 현장에 적 용되고 있다(Hwang et al., 2010;Kim et al., 2018;Kang et al., 2020). 이 가운데 활성이온(Active air ion) 을 이용하는 DBD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원리의 공기청정살균방식은 인플루엔자, 세균, 곰팡 이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Laroussi, 2002;Sharma and Sharma, 2020). 이러한 DBD 방식은 바이오에어로졸 살균에 있 어 활성산소종과 활성질소종 이나 활성이온(Active air ion) 등을 생성하여 제거대상을 비활성화 시키는 대 표적인 플라즈마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DBD를 이용한 활성이온 제조방식은 DBD cell의 전극에 전기장이 가해지면 Excitation, Ionization, Dissociation 등의 1차 과정으로 에너지가 매우 높은 여기 된 전자와 활성종이 생성된 후, 활성종 사이의 2차 재 결합 과정과 이온의 재결합, 라디칼 간의 재결합 또 는 라디칼과 중성종간의 재결합 과정을 거쳐 최종적 으로 10-3 초 내에 활성이온과 플라즈마를 형성하는 방 식이다(Park and Jo, 2014;Santos et al., 2020). 실제로 DBD를 이용하여 박테리아를 99% 이상의 높은 제거 율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Kostova et al., 2010). 그러나 대부분의 플라즈마 연구는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기술 위주이고, 실내공간에 부 유하고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연구는 많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재실자들이 생활하는 실내 공간에서 DBD로부터 발생하는 이온들을 실내 공간에 살포함으로써 공간에 부유하는 세균을 제거 하는 효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학교 교실을 비롯 한 몇몇 다중이용시설의 생활환경에서 부유세균 시 료를 채취하여 분포현황을 고찰하고, 상온 DBD 장치 로부터 활성이온을 발생시켜 실내공기중 부유세균을 감소시키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실내공기질 관 리법에서 지정하는 오존의 농도기준치(0.06 ppm)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의 저전압 조건을 유지하였으며, 실험실과 실제 현장에서 그 효용성을 고찰하였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현장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8개교, 중학교 2개교, 고 등학교 4개교의 총 42개 교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 질 공정시험방법’에 의하여 실내·외 부유세균과 미세 먼지의 현황을 측정하였다. 현장의 시료 채취 및 측 정기간은 2020년 6월~7월, 9월~12월, 2021년 3월~6월 까지 총 10개월이며, 학기중에 진행되었다. 부유세균 은 학생들의 활동시간과 활동량을 고려하여 등교 전, 점심시간, 하교 후 3차례에 걸쳐 진행하였고, 시료 채 취와 측정은 ‘활동상태 미간섭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수업의 형태와 학생의 활동, 환기 상태 및 공기정화 장치 가동 등의 활동을 자유롭게 운영하도록 하였다. 시료는 각 학교에서 2개 교실을 선정하여 ‘실내공기 질공정시험방법’에 따라 1.2~1.5 m 높이에서 채취하 였고, 그림 1(a)에서 볼 수 있듯이 1개 교실에 DBD 장 치를 설치하여 실내 부유세균 저감효과를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수도 권 소재의 34개 산부인과, 정형외과, 외과 및 일반병 원의 수술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료 채 취는 각 병원 수술실에서 당일 의료 업무가 종료되었 거나 병원휴무일에 실시하여 환자나 재실자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하였다. 이온발생장치의 가동 전, 중, 후 조건 별로 각 2회씩 동일한 위치에서 일정 간격(10분 ~20분)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그림 1(b)).

    2.2 실험방법

    2.2.1 챔버실험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재실자들이 생활하는 실내 공간에서 DBD로부터 발생하는 이온이 주변공간에 부유하는 세균을 저감시키는 효용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따라서 활성이온들의 효과를 고찰하기 위하여 우선 그림 1에서와 같은 항온항습조 내에서 몇 가지 조건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활성이온에 의한 살균 실험에 사용된 균종으로는 그람음성간균으로 대장균 (Escherichia coli, KACC 1005)을 사용하였다. 활성이온 에 의한 살균 시험을 위한 시험 균주는 Tryptic Soy Agar 배지(TSA, Samwoo, Korea)에 24시간 배양하여 얻은 단 일 colony를 액체 Luria Bertani medium(LB)배지에 18 시간~24시간동안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액체 LB 배 지에서 계대배양(5일~7일마다 주기적으로 새로운 배 지에 이식시켜 균주를 보관하고, 세포의 대를 이어가 는 방식)한 E.coli의 Optical Density 600값을 0.45~0.50 에 맞추어 만든 후, 3×104 배로 단계 희석하여 E.coli 균 액을 제조하였다. 균액의 20 μl씩 취하여 고체 TSA 배 지에 접종하고, 유리 스프레더(spreader)로 배지 전체 에 도말하였다.

    설정 온도(35°C)를 유지한 배양기(HB-103S, Hanbaeksci, Korea)내에 그림 2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cell 을 이용하여 활성이온을 공급하였다. 배양기 내부로 이온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plasma cell의 inlet 튜 브를 펌프와 연결하고, outlet 튜브를 배양기 내에 설 치하였다. 실험 시작 전 약 30분 동안 plasma cell에 전 력을 공급하여 배양기 내 활성이온이 충분히 분산되 도록 하였다. 활성이온에 대한 노출 시간으로 10분, 20 분, 30분, 40분, 50분, 60분으로 각각 설정하였다. 고체 Tryptic Soy Agar 배지에 E.coli를 도말한 후, 활성이온 이 분산되어 있는 챔버에 넣고, 방치시간별로 배지를 꺼내어 이온에 노출시킨 시료와 노출시키지 않은 대 조군을 함께 35°C에서 48 시간 배양하여 활성이온 공 급에 의한 세균농도의 감소량을 고찰하였다. 이때 배 양기 내에서 TSA 배지에 E.coli를 접종한 후, 세균이 이 온에 노출될 수 있도록 뚜껑을 열고 실험을 진행하였 다. 배양 후 생성된 E.coli 집락수를 계수하여 CFU/m3로 나타냈고, 감소효율은 Mitigation rate(%)으로 표기하였 다. 챔버 내 오존농도는 ozone monitor (AEROQUAL- 200, AEROQUAL, Korea)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고 찰하였다.

    2.2.2 현장시료채취 및 측정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의 시험기준에 따라 제 작된 부유세균 채취장비인 single-stage impactor sampler (KAS-110, KEMIK Corporation, Korea)를 이 용하여 실내 부유세균을 포집하고, 광산란식 입도분 석기(1.109, 11-A, 11D, Grimm, Germany)를 이용하여 미세먼지(PM10, PM2.5)의 농도,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부유세균을 포집할 때 일반세균의 동정 을 위한 TSA 배지에 채취하였다. 이후 35±1°C에서 48 시간 배양한 후 계수 및 보정을 통하여 공기 중 단위 부피당 집락수(CFU/m3)를 산정하였다.

    활성이온의 공급은 국내 DBD (Sona Breeze, Vekzon, Korea) 장치를 이용하였고, 설치 높이는 측정장비와 동일하게 바닥으로부터 1.0 m를 유지하였다(그림 1(a)). 학교현장 시료채취는 학생들의 등교 전 시간대(오전 7시~9시), 점심시간(낮12시~오후1시)과 하교 후 시간 대(오후 3시~5시)에 실시하여 재실자가 없는 상태에 서 진행하였다. 교실 내에서의 이온살포에 의한 부유 세균 저감효과 관찰은 학생들의 일과시간인 오전 8 시부터 오후 3시까지 약 7시간~8시간동안 15개 교실 에서 가동하였으며, 오존이 검출되지 않는 범위에서 학생들이 재실한 채 가동하였다. DBD 장치 가동 전 과 후, 즉, 활성이온의 공급 유무의 조건 별로 각 1-2 회씩 동일한 위치에서 일정 간격(10분)으로 시료를 채 취하였다. 활성이온에 의한 부유세균 감소 효용성을 나타내기 위해 시료채취를 한 교실 당 시료 수는 2개 ~4개로, 총 15개 교실에 대한 부유세균의 시료 수는 42개이다.

    한편, 수술실 면적 대비 DBD에서 생성되는 이온이 낮은 유량으로 불어나오는 풍량으로 인하여 수술실 내에서 활성이온들이 일정한 농도로 균일하게 확산 될 수 있도록 써큘레이터를 가동하여 이온의 확산을 촉진하였다. 시료 채취는 각 병원 수술실에서 당일 의 료 업무가 종료되었거나 병원휴무일에 실시하여 재 실자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하였다(그림 1(b)). DBD 장 치 가동 전, 중, 후 조건 별로 각 2 회씩 동일한 위치에 서 일정 간격(10분~20분)으로 시료를 채취하였다.

    2.3 통계분석

    시료가 충분한 학교 교실에 대하여 총부유세균 농 도와 실내공간의 PM10, PM2.5, CO2, 온도, 습도 등 영향 인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SPSS (IBM SPSS Statistics, SPSS Inc., Chicago, IL, USA)로 분석해보았 다. 총부유세균의 농도는 평균, 표준편차 및 범위로 나 타냈으며, 환경요인과의 관련성, 일반적인 시험변수 의 영향 등을 간단한 상관분석을 통하여 확인해보았다.

    3. 결과 및 고찰

    3.1 실험실 시험

    이온기술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하여 일정 규격의 챔버와 배양기 내에 DBD plasma 장치를 작은 규모로 별도로 제작하여 활성이온을 공급하는 Lab scale의 실 험을 진행하였다. 활성이온에 대한 E.coli의 노출시간 과 발생 이온의 수에 변화를 주며 E. coli의 사멸율을 고찰함으로써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을 예측해 보았다. 그림 3E. coli의 이온 노출에 따른 세균농도 감소량을 요약하였다.

    활성이온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 E. coli 평균 농도 는 251 CFU로 나타났다. 활성이온에 대한 노출이 10 분 되었을 때, 챔버 공간 내 부유세균은 200 CFU로 20% 가 감소하였고, 20분 경과 시 111 CFU, 30분 경과 시 41 CFU, 40분 경과 시 15 CFU, 50분 경과 시 7 CFU, 그리 고 60분 동안 이온에 노출시키면 4 CFU로 96%까지 감 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20분 이상 이온분위기 에 노출되면 개체수의 절반 이상이 살균되며, 50분 이 상 노출 시 90% 이상의 살균효율을 나타냄을 알 수 있 다. 이때 챔버 내에서 발생된 오존의 농도는 최소 0.308 ppm, 최대 0.591 ppm, 평균 0.448 ppm이었으며, 이온 공급 시간이 지속될수록 오존농도가 비례하여 증가 하였다. 챔버가 외부와 차단되어 있고, 공간도 매주 제 한된 적은 용적(150 L)이어서 이온발생과 함께 형성 되는 오존이 희석되거나 화학적으로 전환될 확률이 낮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로 발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험대상균주 E. coli를 6회 이상 같 은 조건으로 비노출 대조군과 노출군의 집락수 감소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플라즈마 살균효과를 평가하였 다. 활성이온에 노출 된 이후에도 생존해있는 E. coli 개체 농도에 대해서는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으로 분 석하였으나 감소율에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산술 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살균효과를 나타 내는 Mitigation rate(%)는 식 (1)에 정의한 바와 같이 활성이온에 의한 E. coli 살균 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값 으로서 이온에 노출되지 않은 대조군의 샘플의 집락 수와 이온에 노출된 샘플의 집락수 차이를 이용하여 환산하여 나타냈다.

    M i t i g a t i o n r a t e ( % ) = 대조군 - 활성이온노출군 대조군 × 100
    (1)

    3.2 현장 부유세균 분포 현황

    3.2.1 학교 교실

    학교교실에서 채취한 부유세균의 개수 농도를 환 산하여 환경조건별로 Table 1에 요약하였다. 측정 일 정의 계절적인 분포를 고려하였을 때 사계절에 걸쳐 서 이루어졌고, 강우기간이 포함되어 있어서 온도와 습도 분포가 다양하다. 전체적인 교실 내 부유세균 평 균 농도는 248.2 ± 205.0 CFU/m3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부 학교보건법과 환경부 실내공기질 오염 유지 기준치인 800 CFU/m3를 초과하지 않았다(ME, 2014). 또한, 학교보건법의 PM10 기준 75 μg/m3와 PM2.5 기준 35 μg/m3, CO2 기준 1,000 ppm에 따라 부유세균 외의 항목에 대해서도 기준치를 초과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실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재실자의 수와 창문 및 출입문의 여닫힘을 추정할 수 있는 참고자료로 활 용될 수 있다.

    측정한 농도 중 최대값은 1,164.2 CFU/m3로 나타났 다. 이는 부유세균 유지기준인 800 CFU/m3를 초과한 교실의 경우로서, 학생들이 등교하기 전(아침 7시)에 측정한 결과이다. 시료 채취일 전 날 대상 교실은 하 교시간부터 약 15시간동안 외기 창문과 복도측 창문, 주출입문 모두 닫혀 있던 상태였다. 일과시간동안 외 기로부터 유입되고, 학생들의 활동에 의해 발생되었 던 부유세균 및 입자상 물질들이 가라앉아 있는 상태 를 장시간동안 유지했지만, 측정장비 설치 및 관찰을 위한 잦은 출입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재비산하여 일 시적으로 부유세균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 하였다. 이와 같이 창문과 출입문을 통한 자연환기와 실내에서의 재실자의 움직임이 실내 부유세균 농도 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부유세균과 환경요인들이 비정규분포를 나 타내어 비모수 방법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Spearman test 법으로 통계적인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이때 교실내에 부유하는 세균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 소인 PM10, PM2.5, 온도, 습도, CO2 및 재실자 수에 대 한 영향인자 별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그림 4에 정 리한 바와 같이 부유세균에 대해 습도(r=0.433), 재실 자 수(r=0.419), CO2 (r=0.252), PM10 (r=0.205), 온도 (r=0.119), PM2.5 (r=0.084) 순으로 습도와 가장 높은 상 관관계를 보였다. 실제로 습도에 대한 상관성을 면밀 히 살펴보면, 40% 이하의 상대습도에서는 198.74 ± 203.72 CFU/m3였고, 50%~60%의 습도분위기에서 가 장 높은 부유세균의 평균농도값을 나타냈다 (372.92 ± 219.52 CFU/m3).

    3.2.2 병원

    수도권 중소형 병원의 수술실에서 시료 채취가 진 행되는 동안 환자의 출입은 없었고, 의료진과 연구원 들의 출입 또한 3회 이하로 통제하는 상태로 시험하 였다. 부유세균 시료의 채취지점은 수술 베드 위 또 는 수술실 가운데에 선반을 설치하고, 바닥으로부터 1.0 m~1.2 m 높이에서 진행하였다. 병원 운영이 종료 되거나, 수술이 없는 휴일에 측정한 결과, Table 2에서 볼 수 있듯이 부유세균의 평균농도는 243.88 CFU/m3 으로서 유지기준을 만족하였다. 동시에 측정한 PM10 과 PM2.5의 경우, 각각 13.67 ± 5.83 μg/m3과 5.62 ± 3.84 μg/m3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 시행규칙의 유지기준에서 의료기 관에 해당하는 농도기준PM10 : 75 μg/m3, PM2.5 : 35 μg/m3 이하를 만족하는 수준이다. 현장 시험 시 수술실 내 온도는 24.39°C, 습도는 평균 53.57%로 측 정되었다. 앞서 학교 교실현장의 통계자료에서 발견 한 습도의 영향에 따르면 상대습도가 53.57%인 조건 에서는 352~372 CFU/m3의 부유세균량을 보였지만, 병원은 평균 235.51 CFU/m3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 준을 유지하였다. 일반적으로 보건복지부령 제317호 에서 지정하는 의료법(의료법 시행규칙 ‘별표 3’ 및 ‘별 표 4’의 수술실 시설기준)에 따르면 수술실은 HEPA 필터를 내장한 환기시스템을 갖추어 시간당 3회 이 상의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시간당 20회 이상 실내 순 환을 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규격에 준 하여 수술실 내 공기질을 관리할 경우, 부유세균의 농 도를 매우 낮게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외 기의 상대습도가 실내보다 낮고, 미세먼지도 낮은 수 준이므로 외기와의 교환은 궁극적으로 부유세균 저 감에 기여할 수 있다.

    3.3 현장시험연구

    그림 5는 학교교실에서 활성이온에 의한 부유세균 농도의 감소효과를 고찰한 결과이다. 일과시간동안 (7.5시간 이상) 교실 내에 오존 농도가 검출되지 않을 정도의 낮은 수준으로 활성이온을 공급하였다. 참고 로 오존은 환경부와 교육부에서 제시하는 실내공기 질 유지기준의 항목으로 0.06 ppm 이하로 지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학교에서 두 개의 교실에서 동시 에 측정을 진행하였고, 한 반은 대조군, 다른 한 반은 실험군으로 관찰하였다. 이온 공급 전 부유세균 농도 는 평균 345.53 CFU/m3이었으며, 이온이 공급된 후의 농도는 평균 113.23 CFU/m3으로 약 61.61%의 부유세 균이 소멸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분 간의 활성이온 노출로 50% 이상의 부유세균이 소멸된 lab test 결과 에서 기대하였던 살균효율과는 다소 차이가 발생하 였다. 이는 해당 교실이 lab scale에 비해 4.5 m × 5.5 m × 2.7m 정도로 매우 크며, 실내 공간에서 재실자들의 움직임이 발생하였고, 모든 측정활동을 ‘활동상황 미 간섭’ 상태로 진행했으므로 출입문과 창문의 여닫음 을 제어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시간 이온을 공급하더 라도 실내공간에서 일정한 농도로 균일하게 유지되 지 않고 외부로 소실되거나 희석되는 효과가 있기 때 문이라고 사료된다.

    각 학교의 교실별 살균효율은 최소 28.23%에서 최 대 84.37%로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살균효율이 28.23% 로 나타난 교실의 경우, 초기농도가 189.17 CFU/m3로 절대농도가 평균보다 낮았으며, 이온공급 후의 농도 값 역시 130.13 CFU/m3로 평균값과 유사하였기 때문 에 살균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편, 중소형 병원의 수술실에서 활성이온이 부유 세균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고찰한 결과를 그림 6에 도시하였다. 수술실 내에서 이온공급 단계별로 구분 하여 측정하였다. 이온을 공급하기 전인 초기 평균농 도는 환경부 기준치보다 낮은 수준인 243.88 CFU/m3 이었으며, 이온을 공급 중일 때의 부유세균 농도는 104.34 CFU/m3로 약 41.53%의 살균효율을 나타냈다. 살균효율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은 시설도 관찰되었 으나, 공기혼합기 등으로 보조적으로 가동하여 실내 공간 공기유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이온의 혼합을 유 도하였다. 이온 공급 중단 직후(10분~20분 경과 후)의 부유세균 평균농도는 121.27 CFU/m3 으로 36.04%의 살균효율을 보였다. 이는 활성이온 공급을 중단하여 수술실 실내공간에 골고루 확산되지 못했던 활성이 온들이 다른 화학종들과 반응함으로써 소멸되거나, 다양한 미세입자상 물질과 결합하여 침강하여 실제 부유하는 이온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된다. 참고로 활성이온의 수명은 실내공간에서 약 142 초로 알려져 있다. 일부 병원에서 관찰된 마이너스 살 균효율은 공조기를 통한 외부 유입의 가능성과 습도 를 포함한 실내환경의 변화가 요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4. 결 론

    학교 교실의 부유세균은 수업내용, 학생 활동도, 환 기 유무에 따라 248.2±204.9 CFU/m3 로 측정되었는 바, 환경부나 교육부의 유지기준보다 낮은 수준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 등교 전의 농도는 171.71 ± 204.08 CFU/m3, 학생들의 일과시간에 해당하는 하교직후의 농도는 379.41±265.87 CFU/m3 로 나타났다. 학교 교실 내 공간 부유세균에 영향을 주는 요소인 PM10, PM2.5, 온도, 습도, CO2 및 재실자 수에 대한 영향인자 별 상 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유세균에 대해 습도(r=0.433), 재실자 수(r=0.419), CO2 (r=0.252), PM10 (r=0.205), 온 도(r=0.119), PM2.5 (r=0.084) 순으로 습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부유세균을 저감하기 위한 이온기술을 확인하기 위 하여 챔버 내에서의 E. coli 배양실험을 실시한 결과, 20 min 노출 시 50% 이상, 50분 이상 노출 시 90% 이 상 살균되는 것을 확인하였는 바, 이온에 대한 노출 이 증가할수록 살균효율이 증가하는 것을 고찰하였다.

    학교와 병원의 수술실 현장에서 시험해본 결과, 교 실의 환경여건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평균적으로 61.2% 의 부유세균 감소효율을 나타냈다. 병원은 평균 41.5% 의 살균효율을 보여줌으로써 활성이온이 실내공간 부유세균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장실험은 실내공간에 오존이 검출되지 않을 정도 의 낮은 전압조건을 유지하였는 바, 여전히 일정한 정 도의 부유세균 저감율을 보여주고 있었고, 이는 실내 부유세균 관리에 활성이온이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21년도 중소벤처기업부의 미세먼지 저 감 실용화 기술개발사업 지원에 의한 연구임.(S3123797) (NRF-2019S1A5A2A03049104).

    Figure

    JOIE-21-2-95_F1.gif

    Dispersion of active ions by DBD in (a) school classrooms and (b) hospital operation rooms.

    JOIE-21-2-95_F2.gif

    Configuration of experimental device for lab test.

    JOIE-21-2-95_F3.gif

    Colonies counted by surviving E. coli after active air ions treatment with exposure time from 10 min to 60 min.

    JOIE-21-2-95_F4.gif

    Correlation of airborne bacteria with environmental parameters for school classrooms.

    JOIE-21-2-95_F5.gif

    Concentration of bioaerosol with and without active ions in school classrooms.

    JOIE-21-2-95_F6.gif

    Concentration of airborne bacteria with and without ions in the hospitals.

    Table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PMs and CO2 in school classrooms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PMs and CO2 in operation rooms in hospitals

    Reference

    1. Brągoszewska, E. , Mainka, A. , Pastuszka, J. S. , Lizończyk, K. , Desta, Y. G. ,2018. Assessment of bacterial aerosol in a preschool, primary school and high school in Poland. Atmosphere 9(3), 87.
    2. Hwang, S. G. , Choi, H. K. , Song, Y. J. , Yoon, C. G. , Lee, J. E. , Shin, H. Y. ,2010. A study on the lighting fixture with sterilization feature about airborne bacteria. In Proceedings of KIIEE Autumn Annual Conference 19-21.
    3. Kang, J. , Ahn, H. , Song, J. ,2020. Simultaneous removals of VOCs and bioaerosol by oxida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using nano-silver composite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9(3), 297-306.
    4. Kim, K. , Paik, N. , Kim, Y. , Yoo, K. ,2018. Bactericidal efficacy of non-thermal DBD plasma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28(1), 61-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ostova, K. G. , Rochaa, V. , Koga-Itob, C. Y. , Matosb, B. M. , Algattia, M. A. , Hondaa, R. Y. , Kayamaa, M. E. , Motaa, R. P. ,2010. Bacterial sterilization by 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in air.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204(18-19), 2954-2959.
    6. Laroussi, M. ,2002. Nonthermal decontamination of biological media by atmospheric-pressure plasmas: review, analysis, and prospect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Transactions on plasma science 30(4), 1409-1415.
    7. Ministry of Environment (ME),2014. Indoor air quality control in public-use facilities, etc. act. [Act No.12216, 07. Jan, 2014].
    8. Park, M. J. , Jo, Y. M. ,2014. Decomposition of odorous VOCs ion-plasma proces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3(4), 251-255.
    9. Santos, C. A. , Phuong, N. H. , Park, M. J. , Kim, S. B. , Jo, Y. M. ,2020. Decomposition of indoor VOC pollutants using non-thermal plasma with gas recycling.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37(1), 120-129
    10. Sharma, S. K. , Sharma, A. ,2020. Sterilization of Microorganisms Contaminated Surfaces and its Treatment with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ransactions of the Indian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 5, 321-326.
    11. Van Leuken, J. P. G. , Swart, A. N. , Havelaar, A. H. , Van Pul, A. , Van der Hoek, W. , Heederik, D. ,2016. Atmospheric dispersion modeling of airborne bacteria that are pathogenic to humans and livestock–A review to inform risk assessment studies. Microbial Risk Analysis 1, 19-39.
    12. Yang, W. , Sohn, J. , Kim, J. , Son, B. , Park, J. ,2009. Indoor air quality investigation according to age of the school building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0(1), 348-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