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1 No.3 pp.154-161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2.21.3.154

Effects of air curtains in subway trains on indoor air quality

Hyo-Been An, Seung-Bu Park*
Schoo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Corresponding Author: Tel: +82-2-6490-2874 E-mail: sbpark3@uos.ac.kr
07/07/2022 09/08/2022 11/08/2022

Abstract


Air curtains, blowing air streams across a doorway, were installed in trial trains on subway line 7 in 2021 and they have been operated with dust collectors to improve the air quality of subway train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ir curtains on the indoor air quality in the trial subway trains. The concentrations of PM2.5 and carbon dioxide in the four selected cabins were measured in the morning hours (e.g., 7:30–11:30 am including the morning rush hour). The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 February 26, March 31, April 30, and May 14, 2021 and air curtain (AC)s and dust collector (DC)s in the four cabins were operated differently on those measuring days. All devices were turned off in the control cabin and only ACs, only DCs, and both the ACs and DCs were turned on in the other three cabins, respectively. The 4-h-averaged PM2.5 concentrations in the cabins, where only ACs and only DCs are turned on, are lower than in the control cabin by 18% and 26%,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joint operation of ACs and DCs can decrease the PM2.5 concentration by up to 42%. The time series of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on April 30, illustrate again that ACs block the intrusion of outside particulate matters. The 4-h-averag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four cabins do not show monotonic differences between the cabins because of the generation of carbon dioxides inside the cabins. When the weights of individual cars and thus the numbers of passengers are similar between the cabins,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in the ACs-operated cabins a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cabin. This indicates that ACs can block the outward emission of carbon dioxides and maybe other indoor air pollutants as well.



전동차 내 에어커튼이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

안 효빈, 박 승부*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현대인은 많은 시간을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이동 하는데 보내는데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2020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출근시간대 수도권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이동한 시간은 평균 1시간 27분 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KOTSA, 2021). 서울시의 2020년 대중교통 이용객 수는 일간 7,767,000 명이며 그 중 지하철을 이용한 사람은 3,791,000 명으로 지하 철 이용객 수는 대중교통 이용자 중 48.8% 정도로 높 은 비율을 차지한다(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2).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하기 전인 2017년부 터 2019년까지 일간 지하철 이용객 수는 증가하는 추 세를 보였으며 이와 같은 현상의 원인은 지하철의 편 리성 및 정시성으로 보인다(Lee et al., 2017). 다양한 장 점으로 인해 지하철 이용객 수가 증가하는 반면, 도 시철도의 경우 레일의 마찰로 인한 마모와 보수작업 등으로 입자상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며 폐 쇄적인 구조와 부족한 환기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터 널 내에 축적되고 있다. 터널 내 축적된 입자가 열차 풍으로 확산되어 역사 또는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현 상이 발생하며 이것으로 승객들의 건강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15). 특히 지하에 위치한 역 사의 경우 지상의 역사에 비해 PM10과 PM2.5 (직경이 각각 10 μm와 2.5 μm 이하인 먼지)의 농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역사 내 공기질의 철저한 관리 가 필요한 실정이다(Kim et al., 2008).

    현재는 전국 대부분의 지하역사에 실내공기질 자 동측정기기가 설치되어 PM2.5의 농도가 측정되고 있 으며 이와 더불어 승강장 내 공기질을 개선하기 위해 살수차, 환기 장치, 그리고 다양한 집진기가 가동되고 있다(Kim et al., 2016;Park et al., 2020). 이 뿐만 아니 라 승강장에 설치된 스크린도어의 경우 열차풍에 따 른 초미세먼지 유입을 차단하여 승강장의 공기질 개 선에 도움을 주고 있다(Son et al., 2013). 전동차 객실 의 경우 PM10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실내공기질관리 권고기준을 대체적으로 만족하지만 오염원이 존재하 거나 탑승자가 많은 일부 구간에서는 권고기준치를 초과한다(Lee et al., 2014). 특히 전동차가 지하를 통과 하는 경우 지상에서보다 객실 내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게 나오는 등 외부 유입에 의해 실내공기질이 악화 된다(Cheng et al., 2012). 최근에 제작되는 차량에서는 공기질개선장치가 장착되어 객실 내 입자상 오염물 질을 물리적으로 여과하여 제거하고 있으며 무필터 방식의 전기집진 등 다양한 집진 방법이 연구되고 있 다(Park et al., 2020). 오염물질의 객실 내 유입을 보다 적극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에어커튼(air curtain)을 활용하여 객실 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아이디어가 2019년 서울글로벌챌린지에 제시되었으 며, 서울교통공사에서는 2021년부터 2022년까지 지 하철 7호선의 일부 차량에 에어커튼을 설치하여 시 범운용하고 있다. 주로 건물의 출입구 가장자리에 설 치되어 출입구 방향으로 기류를 발생시켜 열과 오염 물질의 교환을 막는데 사용되는 에어커튼은 지하철 터널 공간의 환기량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제시된 바 있으며 오염물질의 전동차 내 유입을 차단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Han et al., 2011). 특히 에어커튼은 장 치의 구조가 간단하며 외부 오염물질의 유입을 물리 적으로 차단하므로 오존의 생성 등 2차 오염을 유발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들로 에어커 튼이 객실 내 PM2.5 농도를 낮추어 실내공기질을 개 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7호선 에어커튼 시범운용 차량의 객 실에서 PM2.5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고 에어커 튼과 공기질개선장치의 가동 조건에 따른 객실 간 농 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에어커튼이 전동차 내 공기질 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자료 및 방법

    2.1 에어커튼

    본 연구가 진행된 2021년 2~5월에는 서울교통공사 7호선의 전동차 중 장암행 747편성(8량)이 에어커튼 시범차량으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7호선은 인 천광역시에서부터 서울 서남부와 강남 그리고 동북 부를 거쳐 의정부시까지 광범위한 지역을 잇는 노선 이다. 그리고 7호선은 다른 역에 비해 평균 심도가 깊 고 지하역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92.9%로 매우 높아 오 염물질의 외부 배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 객실 내 공기질 관리가 필요하다(Oh et al., 2011). 시범차량에 는 공기질개선장치(dust collector 이하 집진기)를 상 시 가동하여 입자상 대기오염물질을 여과집진하며, 집진기와 함께 전동차가 역사에 정차하여 출입문이 열리고 닫힐 때 객실 출입문 옆 4개의 에어커튼이 작 동되어 외부 대기오염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Fig. 1a). 설치된 에어커튼의 풍속과 풍량은 각각 10 ± 1 m/s와 360 ± 36 m3/h이며 가동 시 67 dB 이하의 소음이 발생 한다. 집진기의 풍량은 150 m3/h이며 각 차량에 4대의 집진기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커튼과 집진기는 운전 실에 설치된 제어 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며, 공 기질 측정일에는 시범차량의 8량 중 공기질 측정 대 상인 3, 4, 5, 6호차에서 두 장치의 가동 조건을 달리 하 였다. 3호차에서는 모든 장치를 끄고, 4호차는 에어커 튼 그리고 5호차는 집진장치만 가동하였다. 6호차에 서는 에어커튼과 집진장치를 모두 가동하여 총 4가 지 조건의 객실(CTL, AC, DC, AC/DC)을 측정일에 운 영하였다(Table 1).

    2.2 측정 방법

    시범차량의 4가지 조건의 객실에서 2021년 2월 26 일, 3월 31일, 4월 30일, 5월 14일 총 4회에 걸쳐 객실 내 PM2.5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Fig. 1b). 측 정 장비는 MSTechEng 사의 ‘IoT 스마트센서-굿에어 VIEW(SGA-0203)’을 사용하였고, PM2.5 농도는 LLS (레이저 광산란법, Laser Light Scattering) 이산화탄소 농도는 NDIR (비분산 적외선법, Non–Dispersive Infrared Gas Analyzers)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20년 환경부가 고시한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대 중교통의 제작 및 운행 관리지침’을 최대한 준수하여 실내공기질을 측정하였다. 혼잡시간(7:30~9:30)과 비 혼잡시간(9:30~11:30)을 포함하는 시간대에 PM2.5와 이산화탄소 농도를 좌석 높이(~1.5 m)에서 30초 간격 으로 측정하였고, 자료 중 오전 7시 30분부터 11시 30 분까지 총 4시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객실 내 4시간 평균온도는 7.55°C~19.83°C이며, 4시간 평균 습도는 24.33%~56.33%로 2월 20일에는 객실이 다소 건조하 였다. 측정 기간 동안 객실 간의 온도와 습도 차이는 13°C와 32% 이하로 나타났다.

    3. 결과 및 고찰

    3.1 시간 평균 PM2.5와 이산화탄소 농도 비교

    에어커튼이 초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 4회에 걸쳐 측정한 PM2.5 농도를 각각 4시간 평균하여 Fig. 2에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 다. 대조군 차량(CTL)에 비해 에어커튼과 집진기를 따로 또는 함께 작동시켰을 경우 객실 내 PM2.5 농도 가 3 μg/m3에서 최대 12 μg/m3 낮아졌다. 집진기만 가 동한 DC 차량에서는 CTL 차량에 비해 PM2.5 농도가 17%~26% 감소하는 반면, 에어커튼만 가동한 AC 차 량에서는 PM2.5 농도가 15%~18% 감소하였다(Table 2). 시범차량에서 운영한 조건에서는 공기질개선장치의 여과집진 효과가 에어커튼의 차단 효과보다 강한 것 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에어커튼과 집진기를 동시에 가동한 AC/DC 차량에서는 PM2.5 농도가 CTL 차량에 비해 최대 42%까지 감소하였다. Table 2에 제시된 AC 차량과 DC 차량에서의 PM2.5 농도감소량을 산술적으 로 더한 값이 AC/DC 차량에서의 농도감소량과 7%의 오차범위 내로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커튼의 차단 효과와 공기질개선장치의 여과집진 효과가 다소 독립적으로 나타난다고 추측할 수 있으 나, 전산유체역학 모델 등을 이용한 추가연구가 필요 하다. 그리고 5월 14일의 객차 내 평균 PM2.5 농도는 배 경농도의 변화로 2월 26일과 3월 31일 PM2.5 농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가동 조건에 따른 PM2.5 농도 의 감소 패턴은 다른 기간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 를 통해 외부 환경이 변하더라도 에어커튼의 차단 효 과는 일정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Fig. 2c,d).

    Fig. 3은 4시간 평균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보여준 다. 초미세먼지와는 달리 이산화탄소는 전동차 객실 내에서 다량 발생하며 객실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승객 한 명이 증가함에 따라 약 8 ppm이 증가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Kwon et al., 2007). 따라서 자료 분석 에 앞서 차량 내 승객수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추정할 필요가 있으며(Park et al., 2006) 각 차량 내 승 객수를 추정할 수 있도록 4월 30일과 5월 14일에 측정 된 해당 차량의 시간(7:30~11:30)평균 중량을 Fig. 3c와 Fig. 3d에 각각 나타내었다. 에어커튼만 가동한 AC 차 량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5월 14일에는 CTL 차량보다 높게 그리고 나머지 기간에는 CTL 차량보다 40 ppm 이내로 조금 낮게 나타났다. AC 차량의 평균 중량이 CTL 차량보다 8.5% 낮은 4월 30일과 1.8% 낮은 5월 14 일에는 AC 차량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CTL 차량보다 1.9% 낮게 그리고 3.5%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두 차량의 중량이 같은 즉 객실 내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같은 경우에는 AC 차량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CTL 차 량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에어커튼이 차량 내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외부로의 배출을 차단 하여 CTL 차량보다 AC 차량에 보다 많은 이산화탄소 가 축적된 것으로 보인다. 에어커튼과 집진기를 모두 가동한 AC/DC 차량에서는 평균 이산화탄소 농도가 CTL 차량보다 4월 30일에는 99.16 ppm, 5월 14일에는 53.02 ppm 높게 나타났으며 이 역시 에어커튼의 차단 효과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집진기만 가동하는 DC 차량에서는 4월 30일과 5월 14일에 측정된 차량 중량 이 네 차량 중 가장 낮아 이산화탄소 농도가 나머지 차량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CTL 차량과 비 교하여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진기도 객실 내 기류를 변화시키는 등의 작용으로 객실 내 이산화탄 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이 에 대한 부분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3.2 PM2.5와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계열 분석

    에어커튼의 객차 내 초미세먼지 유입 차단 효과를 보다 상세히 파악하기 위하여 4월 30일에 측정된 PM2.5 농도 시계열과 전동차가 지나는 역사의 승강장에서 의 PM2.5 농도를 Fig. 4에 나타내었다. Fig. 2의 4시간 평 균한 PM2.5 농도 자료와 마찬가지로 시계열 자료에서 도 에어커튼이나 집진기를 가동하는 차량에서는 CTL 차량보다 PM2.5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11시 23 분 경을 제외한 모든 측정 시간대에서 에어커튼과 집 진기를 가동한 AC/DC 차량의 PM2.5 농도는 AC 차량 과 DC 차량보다 낮았으며 CTL 차량 내 PM2.5 농도보 다 평균 5 μg/m3 가량 낮게 나타났다. 오전 8시 38분부 터 9시까지 상봉역에서 장암역으로 가는 전동차 내 의 PM2.5 농도가 높아지다가 장암역에서 농도가 현저 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노원역 부근에서 객차 내 PM2.5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은 승강장의 농 도가 높아짐에 따라 터널 또는 승강장의 초미세먼지 가 객차 내부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실제로 Fig. 4에서 승강장의 PM2.5 농도가 높을수록 객차 내의 농 도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노원역을 지나 장 암역에서는 다시 농도가 낮아졌으며 도시철도공사의 도봉차량기지사업소를 지나 노원역으로 다시 나오는 구간에서는 농도가 다시 증가하다 ~10 μg/m3 수준으 로 감소하였다. 9시 48분 경에는 모든 차량 내 PM2.5 농 도가 다시 증가하였으며 이는 뚝섬유원지역와 청담 역 사이의 전동차가 지상에서 터널로 들어가는 구간 과 일치한다(Lim et al., 2014). 이수역을 지난 이후에 도 PM2.5 농도는 증감을 반복하며 차량 간 농도의 차 이는 에어커튼과 집진기의 가동 조건에 따라 다소 일 정하게 나타난다(Fig. 4).

    PM2.5와 마찬가지로 CTL 차량과 다른 세 조건 차량 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 시계열을 비교해보았다(Fig. 5). 차량 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대략적으로 파악하 기 위해 Fig. 5에 네 차량의 중량을 평균한 시계열 자 료를 제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승객수의 증감에 따라 대략 10분에서 20분 사이의 시간차를 두고 차량 내 이 산화탄소 농도의 증감이 나타났다(Cho et al., 2005). 특 히 오전 7시 30분과 9시 30분 사이의 혼잡시간대에는 종점인 온수역과 장암역에서 이산화탄소의 최저 농 도가 나타나며 출근 승객이 많은 이수역–청담역 구 간에는 2000 ppm 이상의 고농도가 나타났다. 오전 8 시 10분 전후로 CTL 차량에서는 3000 ppm 이상의 고 농도가 발생하는 등 나머지 차량보다 이산화탄소 농 도가 유독 높은 경향을 보였는데 같은 기간에 1호 차 량인 CTL 차량의 중량이 나머지 차량보다 대략 25% 높은 것으로 보아 이는 승객수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 한 것으로 추정된다. 오전 9시 30분 이후에는 전반적 으로 AC/DC 차량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CTL 차량보 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에어커튼이 이산화 탄소의 유출을 차단하는 효과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 된다. 4시간 평균 농도(Fig. 3)와 마찬가지로 각 차량 내 승객수와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차이로 인해 이산 화탄소 농도의 시계열 자료에서는 가동 조건에 따른 일관된 농도차를 파악하기 힘들며, 이를 보다 상세하 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승객수가 통제된 조건에서 측 정된 자료가 필요하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7호선 에어커튼 시범운용 차량에서 측정된 PM2.5와 이산화탄소 자료에서 에어커튼과 집 진기의 가동 조건에 따른 농도의 변화를 비교하여 에 어커튼이 전동차 내 공기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 였다. CTL 차량과 비교하여 에어커튼을 가동한 AC 차 량과 집진기를 가동한 DC 차량에서는 PM2.5 농도가 각각 최대 18%와 26% 감소하였고, 에어커튼과 집진 기를 동시에 가동한 AC/DC 차량에서는 PM2.5 농도가 최대 42%까지 감소하였다. 초미세먼지와는 다르게 이 산화탄소는 전동차 객실 내에서 다량 발생하므로 승 객 수에 따른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차이도 고려해야 하는데, CTL과 AC 두 차량의 평균중량(차량 내 이산 화탄소 발생량)이 비슷한 경우에는 AC 차량의 이산 화탄소 농도가 CTL 차량보다 높게 나타나며 이는 에 어커튼이 이산화탄소의 외부로의 배출을 차단한 것 으로 보인다. 4월 30일에 측정된 PM2.5 농도의 시계열 과 전동차가 지나는 역사의 승강장에서의 PM2.5 농도 를 확인한 결과, 승강장의 PM2.5 농도가 높을수록 객 차 내의 농도가 함께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에어 커튼이나 집진기 또는 둘 모두를 가동하는 차량에서 는 CTL 차량보다 PM2.5 농도가 낮게 나타났다. 네 차 량에서의 이산화탄소 농도의 시계열을 비교해보았을 때, 전체적으로 승객수의 증감에 따라 대략 10분에서 20분 사이의 시간차를 두고 차량 내 이산화탄소 농도 의 증감이 나타났지만 차량 간 승객 수와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차이로 인하여 가동 조건에 따른 차량 간의 일관된 농도차는 확인할 수 없었다. 9시 30분 이후의 비혼잡시간대에서는 차량 간 승객 수의 차이가 줄어 들었고 전반적으로 AC/DC 차량의 이산화탄소 농도 가 CTL 차량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에어 커튼이 이산화탄소의 유출을 차단하는 효과에 기인 한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전동차 내 에어커튼을 가동할 경우 초미세먼지의 유입이 차단되어 PM2.5농도는 저감되 었으나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다소 증가함을 확인하 였다. 이는 에어커튼이 환기를 차단하여 발생한 것으 로 추정되며 나아가 전동차 내 휘발성유기화합물 등 의 유해물질의 배출을 방해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 고 에어커튼 등의 장치는 객차 내 기류를 바꾸어 온 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며 유 해물질의 수평 그리고 연직 분포에도 영향을 미칠 것 으로 예상된다(Ahn, 2004). 따라서 에어커튼을 운영 하는 차량에서의 실내공기질에 대하여 전산유체역학 모델을 활용하는 등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에어커튼과 집진기 그리고 환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제올라이트계 흡착제나 활성탄 필터를 사 용하여 객차 내 이산화탄소와 각종 유해물질을 제거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Cho et al., 2011).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서울교통공사의 재원 및 지원을 받아 시 행하는 ‘전동차 에어커튼 시범운용에 따른 효과분석 및 승객영향성평가 용역’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 다. 자료 수집에 도움을 준 (재)한국산업전략연구원 김효근, 장범진 연구원님께 감사드립니다.

    Figure

    JOIE-21-3-154_F1.gif

    (a) Illustration of air curtains and a dust collector and (b) measuring instruments installed in a cabin.

    JOIE-21-3-154_F2.gif

    Time-averaged PM2.5 concentration in the four cases on (a) February 26, (b) March 31, (c) April 30, and (d) May 14.

    JOIE-21-3-154_F3.gif

    Time-averaged CO2 concentration in the four cases on (a) February 26, (b) March 31, (c) April 30, and (d) May 14. The blue lines in (c) and (d) represent the time-averaged car weights on April 30 and May 14, respectively.

    JOIE-21-3-154_F4.gif

    Time series of PM2.5 concentration on April 30. The blue dots indicate the PM2.5 concentrations measured at the platforms of nearby stations.

    JOIE-21-3-154_F5.gif

    Time series of CO2 concentration on April 30. The gray line represents the average weight of the four cars.

    Tabl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four cabins

    PM2.5 concentration differences (μg/m3) of the AC, DC, and AC/DC cars from the CTL car. The numbers in parentheses represent the reduced ratios of the PM2.5 concentration

    Reference

    1. Ahn, J. K. ,2004. Study on the effect of air-curtain installed at the entrance door of passenger coach on the blockage of thermal energy transfer into the cabin.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2. Cheng, Y. H. , Liu, Z. S. , Yan, J. W. ,2012. Comparisons of PM10, PM2.5, particle number, and CO2 levels inside metro trains traveling in underground tunnels and on elevated tracks.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2(5), 879-891.
    3. Cho, Y. M. , Park, D. S. , Kwon, S. B. , Lee, J. Y. , Hwang, Y. H. ,2011. Study on the removal of carbon dioxide in the subway cabin using zeolite type carbon dioxide adsorbent.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onference 14(1), 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 Y. S. , Kang, S. T. , Park, Y. H. ,2005. A survey of the optimal ventilation rate and the permissible CO2 concentration in the saloon.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onference 312-3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an, B. W. , Kim, H. J. , Kim, Y. J. , Jeong, S. H. , Kim, Y. M. , Kim, J. R. ,2011. The study on changes of exhaust efficiency and fine particle concentration at a ventilation opening by a air curtain flow in a subway model tunne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5), 614-6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KOTSA),2021. 2020 Public Transportation Status Survey (Comprehensive Result Report) Available from: URL: https://www.kotsa.or.kr/ptc/ptcData.do#
    7. Kim, K. Y. , Kim, Y. S. , Roh, Y. M. , Lee, C. M. , Kim, C. N. ,2008. Spatial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 (PM10 and PM2.5)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54(1-3), 440-443.
    8. Kim, M. , Woo, S. , Kim, J. B. , Bae, G. N. ,2016.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a single-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removal of dust in subway tunnel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5(2), 173-18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won, S. B. , Cho, Y. M. , Park, D. S. , Park, E. Y. ,2007.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of Subway - CO2 Concentrations and Number of Passengers.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onference 671-6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 B. , Kim, J. S. , Bae, S. J. , Kim, S. D. ,2014. Research Study on Indoor Air Quality (IAQ) inside of the Subway Cabin in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0(2), 175-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E. S. , Lee, T. J. , Park, M. B. , Park, D. S. , Kim, D. S. ,2017.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ntamination Patterns in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Tunnel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3(6), 593-6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T. J. , Lim, H. , Kim, S. D. , Park, D. S. , Kim, D. S. ,2015. Concentration and Properties of Particulate Matters (PM10 and PM2.5) in the Seoul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1(2), 164-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im, Y. , Lee, Y. , Jung, Y. , Han, J. , Jung, Y. , Park, J. ,2014. A study of improving the indoor air quality by EMU in Shinbundang Line.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onference, 740-7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Oh, M. S. , Park, D. S. , Park, E. Y. ,2011.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PM10 in the Subway Passenger Cabin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7(5), 523-5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M. , Choi, J. , Park, B. H. ,2020. Technology Trends of Indoor Air quality for Public transportation.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23(4), 13- 19.
    16. Park, W. M. , Roh, Y. M. , Lee, C. M. , Kim, Y. S Park, D. S. , Jang, B. K. , Won, Y. J. ,2006. A survey of CO2 Concentration Levels in Some Passenger Cabin of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3(1), 8- 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22. Public transportation usage status. [cited 2022 July]; Available from: URL: https://news.seoul.go.kr/traffic/?p=31616
    18. Son, Y. S. , Salama, A. , Jeong, H. S. , Kim, S. , Jeong, J. H. , Lee, J. , Sunwoo, Y. , Kim, J. C. ,2013. The effect of platform screen doors on PM10 levels in a subway station and a trial to reduce PM10 in tunnels.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7(1), 38-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