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Erwinia amylovora는 그람 음성균으로 막대 모양이 며 편모가 있어 운동성이 있는 세균이다. 이 세균은 사과, 배, 마르멜루, 블랙베리, 라즈베리 및 많은 야생 및 재배 장미과 식물에 화상병(fire blight)을 일으킨다 (Vanneste, 2000). 화상병은 산발적으로 발생하지만 때 때로 매우 파괴적이며 줄기나 대목을 침입하는 감염 으로 기주 식물을 완전히 죽일 수 있어서 특히 어린 과일나무에는 치명적인 병이다. 이 병은 19세기 뉴욕 시의 가까운 과수원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20세기에 는 유럽(Duffy et al., 2005;Lagonenko et al., 2008;Sletten et al., 2017), 아프리카 및 지중해 연안(El-Helaly et al., 1964;Fatmi et al., 2008;Shtienberg et al., 2015), 중앙아시아(Doolotkeldieva and Bobusheva, 2016;Drenova et al., 2013), 환태평양 연안 지역(Smits et al., 2014), 중국((Wang et al., 2021))까지 확산하여 매년 과수산업 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고 있다(Khan et al., 2012). 이렇듯 E. amylovora는 현재 널리 퍼져 있고 피 해가 크기 때문에 식물에 피해를 주는 중요한 식물병 원세균 top 10에 올라 있다(Mansfield et al., 2012). 이 에 더하여 E. amylovora는 한번 유입되면 박멸하기 어 려운 병원체이기 때문에 병이 발생한 국가 또는 지역 으로부터의 기주식물체의 이동에 대해 여러 나라에 서 식물검역대상 균으로 지정하여 엄격한 관리를 요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수입 금지되는 고위험 병원체로 관 리되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5년 안성 소 재 배 과원과 제천 소재 사과 과원에서 처음 화상병 이 발견된 이후(Park et al., 2016), 매년 경기도와 충청 도를 중심으로 사과와 배 과원에서 병 발생이 늘어나 고 있으며 2020년 전라북도 익산, 2021년 경상북도 안 동을 포함한 전국 22개 지역으로 확산하였다(Lee et al., 2022). 급속한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처음 발생한 지역의 경우 과원 전체의 기주식물을 제거하고 매몰 또는 소각처리 하도록 하여 왔다. 이 병의 방제를 위 해서는 감염식물체를 실험실로 가져와 병원균을 분 리하고 동정하는 작업 이외에도 병원체의 병원성 시 험, 유전 생리학적 시험 등이 요구되고 있으며 더 나 아가 방제 시험이 필요하다. 이 모두 실험실에서 병 원균을 다루어야 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현재 고위험 병원체로 취급되고 있지만 아직 국내에서 고 위험 식물병윈체의 연구를 위한 안전시설이 부재한 실정이다. 생물안전등급 2급 시설에서 여러 연구자에 의해 E. amylovora가 화상병 연구를 위해 취급되고 있 지만 아직 실험실 수준에서 안전관리를 위한 연구보 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예방 차원에서 연구실 안전관리를 위해 병원균을 다루면서 쉽게 오 염이 가능한 곳을 염두에 두고 병원균의 오염 여부나 정도를 인지할 수 있는지 모니터링 방법이 필요하다.
고위험 병원체 연구시설에는 능률적인 세척 및 소 독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강력한 환경 모니터링 프로 그램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미생물 검출 방 법은 잠재적인 병원균이 없는 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절대적인 요구 사항이다. 그러나 미생물 검출은 방법 에 따라 미생물을 배양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과 정을 보통 포함하고 있다. 대안으로서 즉각적인 청결 정도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었 으며 그중 한 가지 방법은 Adenosine triphosphate (ATP) 형광검출분석법이다. 이 분석법은 보건위생 상 태를 점검하는데 널리 인정되어 많이 사용되는 방법 이다(Aycicek et al., 2006). 미생물 배양 배지를 활용하 는 배양법과 달리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고, 장비 를 가지고 다니며 현장에서 모니터링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Kim et al., 2010). 이 검사법은 세 균이 가진 ATP가 반응액에 들어 있는 Luciferin 및 Luciferase와 반응하여 발광하는 것을 생물발광단위 (Relative Light Units, RLU)로 측정하여 ATP 양을 표시 하는 것이다(Chen and Godwin, 2006).
본 연구에서는 화상병균 감염 시료나 고위험 식물 병원균 취급 실험실에서 경우 가장 흔하게 또 빈번히 일어날 수 있는 오염 상황을 고려하여 ATP 형광검출 분석법의 활용을 위한 기초 정보를 얻고자 수행하였 다. 이를 위해서 운영기준실험구역 내 활동실험 종료 후 실험대 소독(또는 실험 중 오염 발생 시 즉시 소독) 시 소독효과 여부를 바로 파악하기 어려운 점, 식물 체에 병원균을 가위 접종 또는 분무 접종시 병원균 액 적이 실험대에 오염될 수 있다는 점, 또는 바닥에 액 적을 떨어뜨린 경우나 액적이 부유하다 바닥에 가라 앉을 수 있다는 점, 에어로졸 실험을 위해 챔버를 사 용시 챔버 내 바닥에 오염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 하여 화상병균 균수에 따른 ATP 형광검출기의 검출 정도를 조사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세균 균주 및 배양
본 연구의 모든 과정은 생물안전 2등급(BL2) 허가 를 받은 단국대학교 1과학관 생물안전실험실에서 수 행하였다. 실험수행에 대한 모든 과정은 식물방역법 에 기반한 고위험성 병원체의 취급에 대한 규정을 준 수하여 안전하게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화상 병균 균주는 2021년 국내 과수화상병 발병 과원에서 분리 동정한 Erwinia amylovora 균주(DUCC1005)로서 -70°C 초저온 냉동고에 보존하고 있는 균주를 사용하 였다. PDA (BD DifcoTM, All for LAB, Seoul)에 일차로 획선으로 접종하여 28°C 배양기에서 2일간 배양하여 세균의 생존 활성을 확인한 후 멸균 접종 루프로 1개 의 콜로니를 따서 50mL Falcon tube에 담겨 있는 20 mL LB broth (BD DifcoTM, All for LAB, Seoul)에 접종하였다. 접종된 액체 배지는 28°C 회전배양기에 서 2일간 배양 후 Bench Top Centrifuge 를 이용하여 2,000 × g에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은 버리고 침전된 균체를 수거하였다. 수거된 균체는 멸균한 0.1 mM PBS buffer (pH 7.0) 20 mL로 현탁 시킨 후 희석법을 이용 하여 PBS buffer로 serial dilution 한 후 각 희석액에서 100 μl 씩 취하여 PDA에 도말하였다. 도말한 PDA 배 지는 28°C 배양기에서 2일간 배양하여 자라나온 콜로 니를 계수하여 균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접종 실험을 위해 화상병균의 농도를 4.3 × 1011CFU/mL으로 조절 한 후 오염 시험에 사용하였다.
2.2. 실험실 내 표면 오염 주기
실험실에서 화상병 세균 분리, 배지 접종, 식물체 접 종, 에어로졸 분무 등의 작업 시 발생할 수 있는 곳으 로서 작업이 수행되는 생물안전작업대 표면(스테인 리스강 소재), 실험대 표면(목재 소재에 플라스틱 코 팅된 소재), 실험실 바닥면(모노륨의 플라스틱 코팅 소재), 에어로졸 실험 챔버(자외선등이 설치된 아크 릴 소재) 바닥면 등 4개 물체 표면을 오염 대상 선정 하였다. 표면 오염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오염 대상 표 면을 사전에 70% 알코올로 소독하고 건조해 준비하 였다. 화상병균을 접종할 위치는 가로 1 cm×세로 1 cm 크기로 3번 반복하여 매직펜으로 표시하여 준비하였 다. 표면 오염을 위해서는 농도별로 희석한 세균액 50 μl 를 마이크로파이펫으로 각각 접종하여 방치한 후 액 체가 건조된 시점에서 ATP 발광검출기 분석을 수행 하였다. 세균액의 농도는 50 μl 당 2.15 × 102 부터 2.15 × 1010 cells까지 저농도부터 고농도 까지 범위에 서 접종하였다. 음성대조군으로서는 PBS buffer 를 접 종 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서는 접종에 사용한 각 농 도 별 세균액을 직접 사용하였다. ATP 검출기기가 2 종인바 2세트로 모든 표면오염을 준비하여 사용하였다.
2.3 ATP 발광검출 분석
ATP 발광검출기의 범용성을 고려하여 2개 회사의 제품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하나는 표면 위생을 모 니터하는 휴대용 Lumitester Smart ATP 형광검출기 (Kikkoman A3, Kikkoman Biochemifa Company, Tokyo, Japan)로서 회사 자체에서 공급하는 LuciPac A3 Surface 반응시약을 사용하였다. 이 제품은 AOAC Research Institute Performance Tested MethodsSM Program으 로부터 스탠레스강 표면의 위생검사를 위해 검증받 은 제품이다(Tanaka et al., 2020). 반응 시약은 ATP+ ADP+AMP를 감지하여 표면 청결도를 확인할 수 있 는 용도로 제조된 것이다(Sakurai and Nishimoto, 2019). 다른 하나는 3MTM Clean-TraceTM Luminometer ATP 형광검출기(LM1, St. Paul, MN, USA) 이다. 반응 시약으로서 3MTM Clean-TraceTM ATP Test (ATP kiot) 과 함께 사용하여 ATP를 감지하여 미생물 오염을 확 인한다. 이 기기 또한 AOAC로부터 인증을 받은 제품 이다.
표면 오염 검출은 각 검출기기의 제조사에서 제공 하는 검출 요령에 따라 수행하였다. 제공된 측정용 시 약봉으로 가로 1 cm×세로 1 cm 크기에 농도별로 접 종된 세균을 충분히 좌우 위아래로 swab 하여 균체를 모두 채취 후 제공된 시약과 반응 후 검출기에 삽입 하여 측정된 ATP 의 RLU 값을 얻었다. 측정을 마친 후 세균 접종 표면은 모두 70% 알코올과 2% 락스로 멸 균하였다. 동시에 세균 검출실험에 사용한 모든 재료 는 생물안전실험실에서 고압멸균기로 살균하여 안전 관리를 수행하였다.
2.4 통계 분석
측정된 각 표면별, 화상병균 농도별 ATP 측정값(RLU) 의 평균과 표준오차를 구하였다. 표면별로 각 세균농 도에 반응하는 RLU 값의 상관을 구하였다. 통계 분석 은 엑셀 프로그램의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결정계 수 R2를 구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미생물을 다루는 생물안전작업대는 생물학적 재료 의 오염 및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용되 는 장비이다(Meechan and Wilson, 2006). 화상병균의 분자적 진단 및 유전연구에서도 기본적으로 가장 사 용 빈도가 높은 장비이다. 생물안전작업대의 작업 공 간 바닥은 스텐인리스강으로 되어 있어 이곳에서 화 상병균의 오염도를 세균 수별로 측정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세균수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 은 16.7에서 26.7로서 수치의 커다란 증가는 보이지 않 았다. 세균 수 2.15 × 107에서부터는 RLU 값이 42.4으 로서 조금 구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2.15 × 108 이상 부터는 확실하게 구별되었다. RLU 값에 의한 화상병 균의 생물안전작업대 오염도 인지는 세균수가 많아 질수록 더욱 확실하였다.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 우도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13.0에서 14.7로서 수치의 커다란 증가는 보 이지 않았다. 또한 세균 수 2.15 × 107에서부터는 RLU 값이 25.0으로서 조금 구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2.15 × 108 이상부터는 290 이상으로서 확실하게 구별 되었다. 그러나 세균수 2.15 × 109 이상에서는 3M사의 검출기 값이 Kikkoman사 검출기 값보다 훨씬 높게 나 타나는 차이가 있었다.
생물안전작업대 스테인리스강 표면의 세균 수 증 가에 따른 ATP 측정값인 RLU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 과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결정계수 R2 값이 0.9995이었고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우는 0.9999이 었다(Fig. 1). 이는 스테인리스강 표면의 세균 수와 세 균의 ATP 측정값이 상당히 상관이 높다는 것을 나타 낸다.
생물안전실험실의 실험 대부분을 수행하는 과학실 험대는 일반적으로 물리, 화학, 생물 등의 실험을 하 기 위한 테이블로서, 그 상판은 각종 화학약품 등과 접촉되기도 하고, 물리적 또는 기계적 충격을 받기도 한다. 따라서 실험대 상판은 내약품성과 내화학성이 뛰어나면서도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난 소재 로 제작한다. 또한, 실험대에서 실험 도중, 가열이 필 요한 실험의 경우 예기치 않게 발화가 일어날 수도 있 는바 실험대 상판은 내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특성 을 가지는 과학실험대 표면에 화상병균의 오염도를 세균 수별로 측정한 결과는 Table 2과 같다.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세균수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생물안전작업대 스텐인리스강의 같은 세균 수에 비하여서는 RLU 값 이 상향되었으나 실험대에서는 수치의 증가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세균 수 2.15 × 107에서도 RLU 값이 274 로서 구별되지 않았다. 세균 수 2.15 × 108부터 RLU 값 은 증가가 구분 가능하였다.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우도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55.3에서 63.3로서 수치가 눈에 띄게 증가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15 × 107부터는 Kikkoman사 ATP 측정기와 달리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우 119.3 로서 RLU 증가가 구분 가능하여 오염 여부를 판가름 할 수 있었다. 세균 수 2.15 × 108부터 RLU는 더욱더 증 가가 뚜렷하여 오염여부가 확실히 구분이 가능하였다.
과학실험대 표면의 세균 수 증가에 따른 ATP 측정 값인 RLU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결정계수 R2 값이 0.995이었고 3M 사 의 ATP 측정기의 경우는 0.997이었다(Fig. 3). 이는 과 학실험대 표면의 세균 수와 세균의 ATP 측정값의 상 관이 매우 높음을 나타낸다.
생물안전실험실 바닥 표면은 누수를 방지하기 위 해서 테라조 지지대 위에 한번 더 PVC코팅된 데코타 일을 깔아서 충격을 방지하고 있다. 이러한 바닥 표 면에 화상병균의 오염도를 세균 수별로 측정한 결과 는 Table 3과 같다.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세 균수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수치의 증가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세균 수 2.15 × 107에서도 RLU 값이 79.7로서 값의 차이가 구별 되지 않았다. 세균 수 2.15 × 108부터 RLU는 409.7로서 증가가 구분 가능하였다.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 우도 2.15 × 102에서부터 2.15 × 107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15.7에서 40.0으로서 수치가 눈에 띄게 하는 증가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15 × 108부터는 Kikkoman사 ATP 측정기와 달리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 우 417.3으로서 RLU 증가가 구분 가능하여 오염 여부 를 판가름할 수 있었다. 세균 수 2.15 × 109부터는 RLU 는 더욱더 증가가 뚜렷하여 오염여부가 확실히 구분 이 가능하였다. 세균수가 낮은 범위에서 두드러진 특 성은 생물안전작업대나 과학실험대에 비하여 100 RLU 이내에서 RLU 수치의 변동이 심하였다. 표면에 굴곡 이 있거나 표면 장력이 강하면 표면에 세균이 부착되 어 swab 시 닦여 나오는 효율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 에 이러한 RLU 값의 변동차이는 아마도 바닥면의 표 면이 다른 2가지 재료의 표면보다 거칠거나 빈번한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되었거나 PVC 코팅 면의 특성 에 의거하여 화상병균을 swab을 하는데 있어서 차이 가 생겨나서 나온 결과로 추정된다.
실험실 바닥 표면의 세균 수 증가에 따른 ATP 측정 값인 RLU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결정계수 R2 값이 0.9827이었고 3M 사 의 ATP 측정기의 경우는 0.987이었다(Fig. 3). 이는 과 학실험대 표면의 세균 수와 세균의 ATP 측정값의 상 관이 매우 높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생물안전작업대 표면이나 과학실험대 표면의 결정계수 R2 값과 비교 하면 다소 수치가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생물 안전작업대 표면이나 과학실험대 표면에 비하여 실 험실 바닥 표면에서의 균체 모니터링에 다소 편차가 생길 수 있음을 암시한다.
공기 중으로 미생물을 부유시키는 에어로졸 발생 실험에는 챔버가 활용되고 있다(ISO, 2019). 챔버에서 는 공기 중에 부유된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낙하하여 침강하면서 바닥에 앉거나 벽면에 부착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 아크릴로된 챔버의 바닥 표면에서 화상병 균의 오염도를 세균 수별로 측정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세균수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2.3 에서 4.7사이로 수치의 증가가 거의 보이지 않았다. 세 균 수 2.15 × 107에서 RLU 값이 24로서 값의 차이가 다 소 구별되었다. 세균 수 2.15 × 108부터 RLU 값은 193 이상으로서 증가가 구분 가능하였다. 3M 사의 ATP 측 정기의 경우도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5에서 8.7사이로서 수치의 증가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15 × 107부터는 122로서 Kikkoman사 ATP 측정기 처럼 값의 차이가 다소 구별 되었다. 세균 수 2.15 × 108부터 RLU는 1,454.3 이상으 로서 오염여부가 확실히 구분 가능하였다. 세균수가 낮은 범위에서 두드러진 특성은 생물안전작업대, 과 학실험대, 실험실 바닥에 비하여 RLU 값이 10 이하로 서 매우 낮은 특성을 보였다. 그러나 공통되게 세균 수가 증가하여도 RLU 값 증가가 두드러지게 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또다시 실험실 내 표면 특성 에 따라 오염 세균에 대한 ATP 측정값이 달리 나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험실 아크릴챔버 바닥 표면의 세균 수 증가에 따 른 ATP 측정값인 RLU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결정계수 R2 값이 0.9849이었고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우는 0.996이 었다(Fig. 3). 이 또한 아크릴챔버 바닥 표면의 세균 수 와 세균의 ATP 측정값의 상관이 매우 높음을 나타낸다.
표면에 세균을 오염시킨 후 ATP 측정을 통해 오염 도를 살펴본 Table 1부터 Table 4 까지의 결과를 살펴 보면 세균수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까지는 세균 수가 증가하여도 RLU 값이 변동하는 폭이 크지 않아 표면의 특성 이외에 세균 자체의 반응을 생균을 대상 으로 조사하였다. Kikkoman사 ATP 측정기의 경우 세 균수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7.7에서 13.3 사이로 수치의 증가가 다시금 거의 보이지 않았다. 세균 수 2.15 × 107에서 조차도 RLU 값이 11.7 로서 값의 차이가 2.15 × 107 이하 세균 수와 구별되지 않았다. 세균 수 2.15 × 108부터 RLU는 26.7 로서 근소하게 증가하여 구분 가능하였다. 세균 수 2.15 × 109 이상에서 좀 더 뚜렷하게 오염을 판정할 정 도인 RLU 값 122 이상을 나타내었다. 3M 사의 ATP 측 정기의 경우도 2.15 × 102에서부터 2.15 × 106 범위에서 측정된 RLU 값은 17.3에서 25.3 처럼 값의 차이가 크 지 않게 구별되었다. 세균 수 2.15 × 107에서도 매우 근 소하게 RLU 값은 30을 나타내었다. 세균 수 2.15 × 108 부터 RLU 값은 320.3 이상으로서 오염 여부가 확실히 구분 가능하였다. 이 결과는 표면의 세균 오염도 측 정과 유사하게 생균에서도 균수의 증가에 따른 ATP 측정값인 RLU 값의 증가가 세균수 2.15 × 107 이하까 지는 변화가 있지만 급격하게 변화를 보이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는 화상병균인 E. amylovora의 고유한 특 성에서 나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검출 민감도와 관련하여 두 개 ATP 측정 기기의 측 정치를 비교하여 보았다. 대체적으로 RLU 값의 변화 폭을 나타낸 세균수가 2.15 × 106와 2.15 × 107 인바 이 들 세균수를 대상으로 Table 1 부터 Table 5까지 나타 난 측정값을 살펴보았다. 이들 두개 세균 수에서 생 물안전작업대, 과학실험대, 실험실 바닥에 표면 swab 후 조사된 RLU 값은 모두 3M사의 제품이 Kikkoman 사 제품보다 낮았다. 그러나 아크릴챔버 바닥 표면과 생균 수 측정에 있어서는 모두 3M사의 제품이 Kikkoman사 제품보다 높았다. 세균 수가 아주 높은 범 위인 2.15 × 107에서 2.15 × 1010까지 모두 3M사의 제품 이 Kikkoman사 제품 보다 높았다. 본 연구에서 화상 병균 오염 검출을 위한 두 회사 제품 간에 ATP 측정 값은 세균 수가 가지는 범위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화상병 생균의 세균 수 증가에 따른 ATP 측정값인 RLU와의 상관관계를 본 결과 Kikkoman사 ATP 측정 기의 경우 결정계수 R2 값이 0.9999이었고 3M 사의 ATP 측정기의 경우는 0.9992이었다(Fig. 3). 이는 생균 의 세균 수와 세균의 ATP 측정값의 상관이 매우 높음 을 나타낸다.
4. 결 론
이상의 실험실의 표면 오염 가능성을 두고 ATP 측 정기를 이용한 화상병균의 검출 가능성을 조사한 결 과는 세균 수에 따라 검출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표면 1 cm2 면적에서 세균수 2.15 × 106 범 위까지는 RLU 값에 기반하여 오염도가 높게 측정되 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세균수 2.15 × 107 이상에서는 100 RLU 이상으로 충분히 오염도를 인식할 수 있었 다. ATP 형광발광 분석은 환경의 미생물 오염 평가에 서 배양 방법을 아직까지 대체할 수 없는 것은 사실 이다. 그러나 실행이 쉽고 결과가 즉각적이기 때문에 표면을 더 자주 그리고 더 많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병원 등 보건분야에서는 소독 세척 절차의 효능을 선 별하는 신속한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다(Amodio and Dino, 2014). 고위험 식물병원체 연구실에서 실험실과 온실 등 연구 활동 범위가 넓은 경우는 오염이 매우 심한 곳을 즉각적으로 찾아내는 방편으로서 ATP 측 정기의 활용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 러나 아직 획득한 ATP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다 양한 연구실 현장과 여러 가지 측정기기의 검출 정도, 세균의 생리적 상태 변화에 따른 측정값 변화, 조사 환경 유형에 따른 측정값 표준화, 연구 환경의 위험 수준,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샘플링 정도 등 다각적 으로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오염 판단을 위 한 기준값을 설정하는 자료가 더 도출되어야 할 것으 로 사료된다. 더불어 오염판단 기준값에 대한 편차 범 위에 대한 연구도 함께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 구결과는 화상병균에 대한 기초 조사로서 향후 이러 한 자료 도출을 위해 유용한 기반 정보로 활용이 기 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