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1 No.4 pp.254-262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2.21.4.254

Analysis of airborne bacteria in oyster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In Hee Jung1, Ye In Kim1, Seong Hwan Kim1*, Hye Sung Park2
1Department of Microbiology, Dankook University, Cheonan 31116, Korea
2Mushroom Research Division, Inter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DA, Eumseong 369-873, Korea
* Corresponding Author: Tel: +82-41-550-3454 E-mail: piceae@dankook.ac.kr
07/11/2022 11/11/2022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how airborne bacteria are distributed under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while cultivating oyster mushrooms by settin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cultivation room to 10°C, 15°C, 20°C, 25°C, and 30°C. The surveys were conducted in April and May, respectively. Airborne bacterial concentrations were distributed in the range of 1.61 × 102 ~ 3.67 × 102 CFU/m3 in April and 5.47 × 102 ~ 7 × 103 CFU/ m3 in May. In May, the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standard (8.0 × 102 CFU/m3) was exceeded in the 10°C, 20°C, and 25°C cultivation rooms. Bacterial concentrations increased significantly in May compared to April. Bacterial concentrations were different between the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difference was more pronounced in May than in April. A total of 15 genera and 20 species were isolated from the indoor air of the oyster mushroom cultivation rooms. Overall, it was most abundant in Actinomycetia. Among the species identified, Agrobacterium radiobacter, Brevundimonas vesicularis, Kocuria palustris, K. salsicia, Lysinibacillus fusiformis, and Sphingobacterium siyangense are known to affect human health. This is the first report of airborne bacteria in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used for oyster mushroom cultiv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indoor environment of thermophilic mushroom cultivation facilities.



온도가 다른 느타리버섯 재배사 내 부유세균 분석

정 인희1, 김 예인1, 김 성환1*, 박 혜성2
1단국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미생물학과
2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인삼특작부 버섯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버섯은 국민식생활 향상과 웰빙이라는 타이틀을 가 지고 있다. 느타리버섯은 국민들이 쉽게 접할 수 있 는 중 식용으로 많이 알려진 버섯이다. 느타리버섯은 분류학적으로 담자균아문(Agaricomycotina), 주름버 섯목(Agaricales), 느타리과(Pleurotaceae), 느타리버섯 속(Pleurotus)에 속한다. 느타리버섯은 혈중콜레스테 롤이나 면역력 강화나 항치매, 항암작용, 항산화 등 다 양한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Adebayo and Oloke, 2017;Han et al., 2019;Dicks and Ellinger, 2020). 이러한 버섯을 산업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버섯의 재배 생산이 중요하다. 느타리버섯 의 재배방식에는 균상, 병, 봉지 재배방식이 있다. 버 섯이 재배되는데 재배사는 보온 덮개 간이버섯재배 사나 양지붕 형태의 샌드위치 단열 패널재배사에서 재배되고 있다(Lee et al., 2019). 성공적 버섯 재배를 위 해서는 재배가 이루어지는 시설내의 온도나 습도 등 물리적 환경 관리가 중요하다. 재배사의 부유미생물 또한 생물학적 환경 관리 대상으로 중요하다. 부유미 생물은 식품 오염균, 버섯 해균, 재배자 건강에 영향 을 끼치는 병원균 등으로 나타나므로 부유미생물의 농도가 높으면 성공적인 버섯 재배가 어려울 수 있다

    버섯 재배사는 습도가 높고 버섯을 키우기 위한 유 기물 배지가 존재하는 바 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운 환 경이다. 이에 따라 버섯 재배사 위생과 관련하여 재 배사내 부유세균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져 왔다. 표고 버섯 재배사의 연구에서는 2년간 재배실 실내환경 연 구를 진행하였는데 해 마다 부유하는 세균의 종류가 달라진다는 결과가 나왔다(Noh et al., 2021). 양송이버 섯 재배사 연구에서는 재배실에 존재하는 버섯 배지 로 연구를 진행 결과 배지에서 인체병원성 균이 검출 되었다(Kwon et al., 2015a). 버섯 배지에서 검출된 세 균은 재배사 공간에서 부유세균으로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버섯배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는 결과도 나왔다(Kwon et al., 2015b). 이처럼 부유미 생물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부유하는 미생물을 포 집하는 필터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었다. 필터를 교체 후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부유하는 미생물 농도를 조사 한 결과 농도가 점차적으로 6개월에 이르기까지 증 가하였다(Park et al., 2020). 이러한 보고들은 부유미 생물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산업화 이후로 지구온난화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기후온난화 영향으로 국내의 기후도 점차 아열대성 기후가 나타나고 있다. 지난 106 년 동안 우리나라의 계절 시작일은 봄은 13일, 여름은 10일 빨라지고, 가을과 겨울에는 각각 9일, 5일이 늦 어진 것으로 보고되었다(NIMS, 2018). 이에따라 계절 여름 기간은 98일에서 117일로 19일 길어졌고 겨울은 109일에서 91일로 18일 짧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 한 우리나라의 계절 기간과 기온 상승 변화는 여러 면 에서 농업에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기온 상승과 여 름이 길어지면서 고온이 지속되는 날이 늘어남에 따 라 기온에 민감한 버섯의 재배가 영향을 받을 수 있 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러한 예측에 맞추어 고 온에서 재배가 가능한 고온성 버섯을 육종하거나 고 온에서 재배가 가능한 새로운 버섯 작목의 개발이 시 도되고 있다. 이러한 육종 연구와 작목 개발 연구를 위해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서 버섯 재배 연구가 수 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서 부유세균이 어떻게 분포하는지에 대한 조 사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고온성 버섯 재 배사 실내환경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온도가 다른 느 타리버섯 재배실에서 부유세균의 종 동정과 농도를 실시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느타리버섯 재배사 온도, 습도 및 부유세균 측정

    본 연구는 서로 다른 온도에서 느타리버섯을 재배 하기 위해 버섯 재배실의 실내온도를 10°C, 15°C, 20°C, 25°C, 30°C로 설정한 장소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버 섯 생육기 중반 시점인 2022년 4월과 5월에 각 버섯 재 배실의 온도와 습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실내공기를 포집하여 부유세균을 분석하였다. 온도와 습도는 Testo (Testo 610, Testo AG, Germany) 온도측정기를 사용하 였다(Fig. 1). 실내공기 중 부유세균 측정은 Anderson sampler (Al-Doory, 1970) 공기포집기(Single Stage Ambient Viable Sampler, Model 10-880, Tisch Environmental, Cleves, OH, USA)를 사용하여 환경부의 실내 공기질공정시험방법에 따라 충돌법으로 측정하였다 (Fig. 1). Sampler의 측정 기기의 흡입 유량은 28.8ℓ/ min로 1분간 작동하였다. sampler의 높이는 70 cm ~ 100 cm에서 수평을 맞추고 각 온도재배실 마다 3반복 하여 측정하였다. 부유세균 측정 시 세균의 배양이나 저장 용도로 사용되는 TSA (Tryptic soy agar, Oxoid, UK) 고체배지에 항진균제 benomyl을 100 ppm 농도로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측정에 사용한 공기중 세균 포 집 배지 시료는 파라필름으로 봉하고 쿨러에 담아 실 험실로 가져와 25°C 배양기에서 3일 ~ 4일간 배양하 였다. 배지에 자라난 세균의 농도를 알기 위해 배지 에 자라난 세균 균총을 균총계수기로 계수하고 유량 을 계산하여 부유세균 농도(CFU/m3)를 계산하였다. 세균 종 분석을 위해서는 배지에 자란 콜로니의 색, 모양, 번지는 형태 등을 관찰하여 서로 다르게 보이 는 colony를 선택하여 새로운 TSA 배지에 획선도말법 (Streaking)으로 접종 후 계대배양을 통해 순수분리를 진행하였다.

    2.2 세균 DNA 추출 및 동정

    순수분리 된 세균의 배양을 위해 고체배지에서 자 란 single colony를 따서 Conical Tube 50ml(SPL 50050)에 담겨있는 TSB (Tryptic Soy Broth) 액체배지 에 접종 후 25°C 암조건에서 shaking 인큐베이터로 24 시간 배양하였다. 배양한 세균은 광학현미경(Axioskop 40, Carl Zeiss, Germany) × 400 시야에서 세균의 세포 학적 형태를 관찰하였다. 종분석을 위해서는 TSB에 배양된 세균배양액을 1.5 ml tube에 옮겨서 3,000 rpm 에서 10분간 Centrifuge를 진행 후 상등액은 버렸다. 남겨진 pellet은 살균 증류수로 한번 세척하고 Bioneer 사의 AccuPrep® Genomic DNA Extraction Kit를 사 용하여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Kim et al., 2021). 추출은 회사에서 제공하는 Protocol에 따라 수행하였 다. 추출된 DNA를 template로 하여 세균의 동정에 사 용되는 barcode DNA 인 16S rDNA를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로 증폭하였다. 세균 동정은 앞 서 보고된 방법(Ahn et al., 2017;Kim et al., 2014)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자동정을 수행하였다. 이 때 세균 16S rDNA 특이 Universal Primer인 27F (5'-AGAGTT TGATYMTGGCTCAG-3')와 1492R (5'-TACGGYTAC CTTGTTACGACT-3')를 이용하여 증폭하였다(Hou et al., 2018;Lane, 1991)을 사용). 기대하는 크기의 DNA 의 증폭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PCR 증폭산물은 1% Agarose gel 전기영동으로 확인하였다(Kwon et al., 2015a). DNA 밴드 확인 후 종 동정을 위해 바이오닉 스사(Dajeon, Korea)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결정된 염기서열은 EzBioClaud (http://www.ezbiocloud. net/eztax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염기서열 유사도 를 확인하여 동정하였다. 세균의 계통분류학적 분석 을 위해서 비교할 reference 세균들의 16S rDNA 염기 서열은 GenBank (www.ncbi.nlm.nih.gov/genbank) database로부터 다운받아 CLUSTAL W program으로 다중 염기서열정렬을 진행하였다(Thompson et al.,1994). 동 정된 세균 간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해 정렬된 서열은 MEGA ver.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자계통수를 작 성하였다(Saitou and Nei, 1987;Tamura et al., 2013). 계통수 가지의 신뢰도 평가는 bootstrap resampling을 1,000번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느타리버섯재배사 실내 온도 및 습도 조사

    4월과 5월 느타리버섯 온도 별 재배사의 재배실 온 도를 측정하였을 10°C 설정된 재배실의 평균온도는 11.85, 15°C로 설정된 버섯실의 평균온도는 16.9°C, 20°C 설정된 30°C 재배실 평균온도는 21.6°C, 25°C로 설정 된 재배실 평균온도는 23.85°C, 30°C로 설정된 재배실 균온도는 25.9°C로 측정되었다(Fig. 2). 측정 결과를 비 교해 보면 10°C, 15°C, 20°C로 설정된 버섯재배실 온 도는 설정된 온도보다 조금 높았으며 25°C, 30°C로 설 정된 버섯재배사는 설정된 온도보다 2°C~5°C 정도 낮 았다. 습도의 경우는 10°C 설정된 재배실 평균습도는 53.95%, 15°C로 설정된 재배실 평균습도는 69.35%, 20°C 설정된 재배실 평균습도는 62.45%, 25°C로 설정 된 재배실 평균습도는 79.4%, 30°C로 설정된 재배실 평균습도는 71.05%로 측정되었다(Fig. 3). 습도는 각 온도 별 버섯재배실에 똑같이 60%~99% 사이인 습도 로 고정하였는데 10°C 재배실을 제외하고는 이 범위 안에 있는 습도로 측정되었다.

    3.2 느타리버섯 재배사 실내공기 중 부유세균 농도

    온도 별 재배사의 실내의 부유세균을 4월에 측정한 결과 10°C 재배실에서 2.06 × 102 CFU/m3, 15°C 재배실 에서 2.77 × 102 CFU/m3, 20°C 재배실에서 2.77 × 102 CFU/m3, 25°C 재배실에서 1.61 × 102 CFU/m3, 30°C 재배실에서 3.67 × 102 CFU/m3 로 각각 측정되었다(Fig. 4). 대체적으로 4월의 경우 30°C 재배실에서 살짝 다 른 온도의 재배실 보다 높았다. 그 이외의 재배실에 서 부유세균 농도는 큰 차이는 없이 모두 환경부의 다 중이용시설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인 8 × 102 CFU/m3 보다 낮게 존재하였다. 반면에 5월에 측정한 세균농 도는 10°C 재배실에서 1.05 × 103 CFU/m3, 15°C 재배실 에서 7.47 × 102 CFU/m3, 20°C 재배실에서 7 × 103 CFU/ m3, 25°C 재배실에서 7 × 103 CFU/m3, 30°C 재배실에 서 5.47 × 102 CFU/m3 이었다(Fig. 4). 전체적으로 4월 보다 5월에 부유세균 농도가 5개 서로 다른 온도의 재 배실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특히 10°C 재배실, 20°C 재 배실, 25°C 재배실의 경우 환경부 실내공기질 유지기 준인 8 × 102 CFU/m3를 초과하였다. 특히 20°C 재배 실, 25°C 재배실의 경우는 기준치를 8.75 배 초과하였 다. 이러한 결과는 느타리버섯 재배사의 재배실 부유 세균의 농도가 시기에 따라 급격히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재배사 온도가 다르면 부유세균의 농도도 크게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5월 측정 자 료를 보면 재배실의 습도가 4월에 비해 감소한 10°C 재배실과 20°C 재배실에서 부유세균의 농도는 줄지 않고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습도가 50% 이상이면 부 유미생물이 충분히 크게 증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비록 습도가 세균 증식에 중요하지만 50% 정 도의 낮은 습도가 부유세균 오염도 증가를 억제하는 변수는 아닌 것으로 사료된다. 이전에 조사된 표고 재 배사 부유세균 조사 보고에서도 21개 재배사 중 15개 재배사에서 8 × 102 CFU/m3를 초과하였다(Ahn et al., 2017). 이는 버섯 재배사의 실내공기 중 부유세균 농 도가 빈번히 유지기준치를 초과하여 오염도가 높아 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따라 느타리버섯 재배 사의 재배실에서도 공기질 관리가 적절하게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3 부유세균의 동정 및 특성

    TSA배지에 획선평판법을 이용해 순수분리 된 세균 을 나타난 형태는 Fig. 5와 같다. 이렇게 순수분리 된 세균에 대하여 16S rDNA를 이용해 분자적 동정을 진 행하였을 때 느타리버섯 온도 별 재배사에서 순수분 리 된 총 세균은 15속 20종이 동정되었다(Table 1). 동 정된 세균에 대해 분자계통도를 16S rDNA염기서열 을 기반으로 작성한 결과는 Fig. 6과 같다. 분류학적으 로 볼 때 Actinomycetia문에서 7종, Bacilli문에서 6종, Betaproteobacteria 1종, Gamma-proteobacteria 1종, Alpha-proteobacteria 4종, Sphingobacteria 1종으로 분 류되었다. 분류 속(Genus) 수준에서는 10°C 재배실에 서는 4개의 속이 동정되었고 15°C 재배실에서도 4개 의 속이 동정되었다. 20°C 재배실에서는 6속이 동정 되었고 25°C 재배실에서는 10°C와 15°C 재배실의 결 과처럼 4개의 속이 동정되었다. 30°C 재배실에서는 다 른 온도의 재배실보다 많은 9개 속이 동정되었다. 느 타리버섯 온도 별 재배사에서 동정된 세균을 보았을 때 Microbacterium 속이 많이 차지하였고 그 다음으로 는 Priestia, Kocuria, Sphingomonas 속이 공통적으로 많 이 차지하였다.

    분리 동정된 균주의 종 특성을 조사하였을 때 인체 병원성 균주가 존재하였다. Agrobacterium radiobacter 종은 균혈증, 복막염 등의 질병을 일으키는 일으킬 수 있다(Amaya and Edward, 2003). Brevundimonas vesicularis 종은 균혈증(Shang et al., 2012), 심내막염(Yang et al., 2006), 패혈성관절염(Sofer et al., 2007)을 일으킨 다고 보고되었다. Kocuria palustris는 기회감염균이고 비타민 A 결핍시 각막염을 유발한다(Mattern and Ding, 2014). K. palustris와 같은 속인 K. salsiciaB. vesicularis처럼 균혈증을 일으킨다(Yun et al., 2011). Lysinibacillus fusiformisSphingobacterium siyangense 종도 균혈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졌다(Nemoto et al., 2019;Morioka et al., 2022). Moraxella osloensis는 균혈 증과 복막염(Yamada et al., 2019), 골수염(Sugarman and Clarridge, 1982)을 일으킨다. 각 동정된 세균들이 대부분 공통적으로 균혈증을 유발하는 특징이 있었 다. 동정된 세균 중에 Brevibacterium frigoritolerans는 곰팡이에 의한 옥수수 뿌리썩음병 방제에 효과가 있 는 보고가 있다(Batool et al., 2019).

    4. 결 론

    본 연구는 재배실의 실내온도를 10°C, 15°C, 20°C, 25°C, 30°C로 설정하여 느타리버섯을 재배를 하면서 서로 다른 온도 조건에서 부유세균이 어떻게 분포하 는지에 대해 4월과 5월에 각각 조사하였다. 부유세균 농도는 4월에 1.61 × 102 ~ 3.67 × 102 CFU/m3 5월에 5.47 × 102 ~ 7 × 103 CFU/m3 범위로 분포하였다. 5월에 10°C, 20°C, 25°C 재배실에서 우리나라 실내공기질 유 지기준치(8.0 × 102 cfu/m3)를 초과하였다 세균 농도는 4월 대비 5월 크게 증가하였다. 세균 농도는 온도가 다 른 재배실 간에 차이가 있었다. 그 차이는 4월 보다 5 월 더 뚜렷하였다. 실내 공기에서 총 15속 20종이 분 리 동정되었다. 전체적으로 Actinomycetia문에서 가 장 많이 존재하였다. 이중 Agrobacterium radiobacter, Brevundimonas vesicularis, Kocuria palustris, K. salsicia, Lysinibacillus fusiformisSphingobacterium siyangense 이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종으로 조사되었다. 이 것은 느타리버섯 재배 이용되는 서론 다른 온도의 재 배실에서 공기 중 세균에 대한 첫 보고이다. 본 연구 결과는 고온성 버섯 재배사 실내환경을 이해하는데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재배사 환경 위생과 관련하여 향 후 유해 세균의 출처를 파악하고 이들의 농도가 증가하지 않도록 하는 관리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carried out with the support of “Cooperative Research Program for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No. PJ01558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epublic of Korea. The Department of Microbiology was supported through the Research Focused Department Promotion Project as a part of the University Innovation Support Program for Dankook University in 2022.

    Figure

    JOIE-21-4-254_F1.gif

    Photos of air sampling and temperature measuring in a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

    JOIE-21-4-254_F2.gif

    Measurement of room temperature of the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JOIE-21-4-254_F3.gif

    Measurement of indoor humidity of the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JOIE-21-4-254_F4.gif

    Bacterial concentrations in indoor air of the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JOIE-21-4-254_F5.gif

    Photos of purely isolated bacteria from the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JOIE-21-4-254_F6.gif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isolated bacteria from the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A neighbor-joining tree was constructed based on 16S rDNA sequences. Bootstrap values based on 1,000 replications are shown on the branches. Scale bar, 0.050.

    Table

    List of bacteria identified in the Pleurotus ostreatus mushroom cultivation rooms at different temperatures

    Reference

    1. Adebayo, E. , Oloke, J. ,2017. Oyster mushroom (Pleurotus species); a natural functional food. Journal of Microbiology, Biotechnology and Food Sciences 7, 254-264.
    2. Ahn, H. S. , Kim, J. Y. , Ko, H. G. , Kim, S. H. ,2017. Investigati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door air of greenhouses used for oakwood mushroom cultivati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3), 287-2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Al-Doory, Y. ,1970. Application of Anderson sampler in studying airborne fungi in San Antonio, Texas. Mycopathologia et Mcologia applicata 42(3), 293-298.
    4. Amaya, R. A. , Edwards, M. S. ,2003. Agrobacterium radiobacter bacteremia in pediatric patients: case report and review. The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22(2), 183-186.
    5. Batool, R. , ur Rehman, S. , Rafique, M. , Amna, Ali, J. , Mukhtar, T. , Mahmood, S. , Sultan, T. , Munis, F. H. , Chaudhary, H. J. ,2019. Biocontrol potential of Bacillus gibsonii and Brevibacterium frigoritolerans in suppression of Fusarium stalk rot of maize: a sustainable approach. Asian Journal of Agriculture and Biology 7(3), 320-333.
    6. Dicks, L.. , Ellinger, S. ,2020. Effect of the intake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on cardiometabolic parameters-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Nutrients 12(4), 1134.
    7. Han, S. M. , Kim, J. Y. , Lee J. S. ,2019. Production of antidementia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 from Pleurotus ostreatus (Heuktari) and inhibitory effect on PC12 neuron apoptosis. Korean Journal of Mycology 47(4), 337-3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ou, Q. , Bai, X. , Li, W. , Gao, X. , Zhang, F. , Sun, Z. , Zhang, H. ,2018. Design of primers for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opulations in complex biological samples. Frontiers in Microbiology 9, 2045.
    9. Kim, J. Y. , Kwon, H. W. , Jang, S. , Choi, M. A. , Ko, H. K. , Kim, S. H. ,2014. A study of bacterial concentration and species in the indoor air of greenhouses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3(4), 237-2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S. S. , Kim. Y. E. , Noh. H. J. , Lee. D. H. , Kim. J. Y. , Ahn. G. R. , Kim. S. H. ,2021. Investiga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indoor of un-disinfected libraries of the National Archives, Seou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 76-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won, H. W. , Choi, M. A. , Oh, Y. L. , Kong, W. S. , Kim, S. H. ,2015a.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indoor air of a greenhouse for button mushroom cultivation. Journal of Mushrooms 13(1), 26-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won, H. W. , Min. S. W. , Lee, G. S. , Kim, B. Y. , Lee, C. J. , Kim, S. H. ,2015b.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imported supplemental substrates for mushroom cultivation media.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4(3), 225-2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ane, D. J. ,1991. 16S/23S rRNA sequencing. In: Stackebrandt E, Goodfellow editors.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115-175.
    14. Lee, C. J. , Lee, E. J. , Park, H. S. , Kong, W. S. ,2019. Growth characteristics of oyster mushroom in bottle cultivation with addition of cottonseed meal. Journal of Mushroom 17(3), 162-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Mattern, R. M. , Ding, J. ,2014. Keratitis with Kocuria palustris and Rothia mucilaginosa in vitamin A deficiency. Case reports in Ophthalmology 5(1), 72-77.
    16. Morioka, H. , Oka, K. , Yamada, Y. , Nakane, Y. , Komiya, H. , Murase, C. , lguchi, M. , Yagi, T. 2022. Lysinibacillus fusiformis bacteremi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Infection and Chemotherapy, 28(2), 315-318.
    17.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Sciences (NIMS),2018. 100 Years of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Publication registration number, 11-1360620-000132-01.
    18. Nemoto, D. , Hitomi, S. , Moriyama, Y. , Iwamoto, K. , Saito, K. ,2019. Cellulitis complicated with bacteremia due to Sphingobacterium species: a report of two cases and a literature review. Internal Medicine 58(17), 2573-2576.
    19. Noh, H. J. , Ahn, S. J. , Kim, M. S. , Cho, J. W. , Shin, D. H. , Park, H. S. , Kim, S. H. ,2021. Investigation of airbornebacteria in the indoor air of greenhouses used for mushroom cultivati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4), 322-3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H. S. , Min, G. J. , Lee, E. J. , Lee, C. J. ,2020. Changes in microbial phase by period after hepa filter replacement in King oyster (Pleurotus eryngii) mushroom cultivation. Journal of Mushrooms 18(4), 398-402.
    21. Saitou, N. , Nei, M. ,1987. The neighbor-joining method: a new method for reconstructing phylogenetic tree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4, 406-425.
    22. Shang, S. T. , Chiu, S. K. , Chan, M. C. , Wang, N. C. , Yang, Y. S. , Lin, J. C. , Chang, F. Y. ,2012. Invasive Brevundimonas vesicularis bacteremia: Two case report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Microbiology, Immunology and Infection 45(6), 468-472.
    23. Sofer, Y. , Zmira, S. , Amir, J. ,2007. Brevundimonas vesicularis septic arthritis in an immunocompetent child. European Journal of Pediatrics 166(1), 77-78.
    24. Sugarman, B. , Clarridge, J. ,1982. Osteomyelitis caused by Moraxella osloensis. Journal of Clinical Microbiology 15(6), 1148-1149.
    25. Tamura, K. , Stecher, G. , Peterson, D. , Filipski, A. , Kumar, S. ,2013. MEGA6: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 analysis version 6.0.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30(12), 2725- 2729.
    26. Thompson, J. D. , Higgins, D. G. , Gibson, T. J. ,1994. CLUSTAL W: improving the sensitivity of progressiv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through sequence weighting, position-specific gap penalties and weight matrix choice. Nucleic Acids Research 22(22), 4673-4680.
    27. Yang, M. L. , Chen, Y. H. , Chen, T. C. , Lin, W. R. , Lin, C. Y. , Lu, P. L. ,2006. Case report: infective endocarditis caused by Brevundimonas vesicularis. BMC Infectious Diseases 6, 179.
    28. Yamada, A. , Kasahara, K. , Ogawa, Y. , Samejima, K. , Eriguchi, M. , Yano, H. , Mikasa, K. , Tsuruya, K. ,2019. Peritonitis due toMoraxella osloensis: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Infection and Chemotherapy 25(12), 1050-1052.
    29. Yun, J. H. , Roh, S. W. , Jung, M. J. , Kim, M. S. , Park, E. J. , Shin, K. S. , Nam, Y. D. , Bae, J. W. ,2011. Kocuria salsicia sp. nov., isolated from salt-fermented seafood.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61(2), 286-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