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020년 기준 국내 축산악취민원은 14,345건으로 2013 년(2,604건) 대비 약 5.5배 증가하였다(MAFRA, 2022). 분뇨의 저장 및 처리 과정 중 관리가 미흡하거나 발 생된 악취물질이 적절한 처리를 거치지 않고 축산시 설 외부로 배출될 경우 악취문제는 심화될 수 있다(Nielsen et al., 2003;Hwang et al., 2018;Jang et al., 2020).
축산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 축산시설에 서는 다양한 악취저감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악취저 감 기술은 대상이 되는 축종과 축산시설 내·외부 적 용 가능 여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다(Samer, 2016).
돈사, 계사와 같은 밀폐형 축사에서는 바이오필터, 바이오커튼, 습식스크러버, 세정탑 등과 같이 악취물 질을 포집하여 처리하는 기술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집형 악취저감시설은 우사와 같은 개방형 및 부분 밀폐형 사육시설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우 사에서는 미생물제, 산화제, 산성제제, 흡착제 등을 우 상에 직접 살포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흡착제로 활용되고 있는 Biochar는 표면의 미세기 공과 비표면적을 통해 분뇨 내 악취 원인물질을 흡착 하여 악취 발생량을 줄이는 데에 도움이 될 뿐만 아 니라, 높은 다공성으로 분뇨 내 수분 조절을 용이하 게 하여 침출수의 형태로 손실되는 양분의 양도 줄일 수 있어 돈분 및 계분의 저장과 퇴비화 과정에 Biochar 를 첨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Sánchez- García et al., 2015;Jia et al., 2016;Agyarko-Mintah et al., 2017;Dougherty et al., 2017;Janczak et al., 2017;Duan et al., 2019;Bello et al., 2020;Chen et al., 2021;Zhou et al., 2021). Janczak et al. (2017)는 계분 과 밀짚의 퇴비화 시 Willow woodchip biochar를 현물 기준으로 5%, 10% 첨가하였을 때 NH3 발생량이 각각 30%, 44% 저감되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Zhou et al. (2021)는 HNO3, H2O2 처리된 Cornstalk biochar를 산 란계분과 톱밥의 퇴비화 시 현물 기준으로 10% 첨가 하여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되는 NH3를 약 46-62% 저 감시킨 바 있다. Awasthi et al. (2020)는 계분과 밀짚의 퇴비화 시 Bamboo biochar를 계분과 밀짚 혼합물 고 형물 기준으로 2-10% 수준으로 달리 첨가하였을 때, Biochar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NH3 발생량이 유의 미하게 저감되었음을 확인한 바 있다. 또한 Maurer et al. (2017)은 돈분뇨 저장 시 Pine biochar를 4.57 kg/m2 수준으로 도포하였을 때, NH3 발생량이 약 30일 간의 실험기간 동안 약 13% 저감되었음을 보고하였으며, Chen et al. (2020a)은 Corn stover와 Red oak biochar 를 돈분뇨 표면에 6 mm 또는 12 mm 두께로 도포하였 을 때 돈분뇨 교반 과정에서 발생되는 H2S가 약 62%~67% 저감되었음을 보고하였다.
그러나 Biochar 첨가가 깔짚 우사에서 수거한 분뇨 의 저장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의 저감효과를 정량 적으로 규명한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 낙농가 의 약 95% 이상은 깔짚 우사에서 젖소를 사육하고 있 으므로 젖소 사육시설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저감하 는 방법으로 Biochar를 활용하는 기술에 대한 기초자 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Min et al., 2009). 따라서 본 연구는 Biochar 첨가가 깔짚우상에서 수거한 젖소분 뇨에서 발생되는 악취성분(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 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 연구방법
2.1 실험 설계
본 연구에 이용된 젖소분뇨와 톱밥은 충청남도 청 양군에 위치한 충남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에서 채 취하였다. 젖소 분뇨와 톱밥의 미생물 활성을 촉진하 여 지연기를 단축하기 위해 실험 착수 이틀 전 28°C 항온 챔버에서 Incubation 되었다. 악취저감을 위해 투 입된 Biochar는 450~550°C에서 열분해 된 직경 2 mm 이하의 Rice husk biochar를 이용하였다.
젖소 깔짚우상에서 분뇨와 깔짚(톱밥)이 혼합된 상 태를 실험실 규모 시설에서 모사하기 위해 Incubation 된 젖소분뇨(수분 함량: 79.1% ± 0.2%)와 톱밥(수분 함 량: 12.9% ± 0.3%)을 혼합하여 혼합물의 함수율을 65% 로 조정해 주었다. 이와 같이 혼합된 젖소분뇨와 톱 밥 혼합물 2.5 kg을 9개(3반복 적용)의 14.1 L (0.45 m; height, 0.2 m; diameter) 반응조 내 다공성 판 상단에 약 20 cm 두께로 투입하였다(Fig. 1). 선행 연구의 대부분 은 가축분뇨 퇴비화 시 Biochar를 퇴비 현물 또는 고 형물 기준으로 최대 10% 이내로 첨가하였다(Sánchez- García et al., 2015;Agyarko-Mintah et al., 2017;Janczak et al., 2017;Duan et al., 2019;Awasthi et al., 2020;Bello et al., 2020;Zhou et al., 2021). Biochar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악취 저감 효과가 증가될 수는 있으나 Biochar 구입비 부담 등으로 인하여 현장 적용 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연구에서는 바이오차의 최대 투입수준을 10%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대 조구는 젖소분뇨+톱밥 혼합물만 투입되었으며, 5%- addition 처리구와 10%-addition 처리구는 왕겨를 450°C~550°C에서 열분해 시킨 직경 2 mm이하의 Rice husk biochar를 젖소분뇨와 톱밥 혼합물의 고형물 무 게 기준으로 각각 5%와 10%에 해당하는 양만큼 실험 착수 시 1회 첨가해 주었다.
2.2 암모니아, 황화수소 발생량 평가
Biochar의 악취 저감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NH3와 H2S 농도를 1시간 간격으로 5일 동안 실시간으로 모 니터링하였다. NH3와 H2S 농도 측정을 위해 Reactor 내부 다공성 판 하단에 위치한 배기구에서 1시간마 다 2 L/min의 유량으로 악취가스를 8 L씩 포집하였으 며, 이 때 Reactor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며 상단의 입 기구로부터 외부 공기가 Reactor 내부로 입기되었다 (Fig. 1).
NH3 농도는 Laser gas detector (LGD Compact-A NH3/H2O, Axetris AG, 6056 Kaegiswi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측정되었으며, H2S 농도는 Electrochemical sensor (H2S/C-50, Membrapor Co. Wallisellen, Switzerland)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NH3와 H2S 발생량은 1시간 간격으로 농도 측정 시 포집된 악취 가스 양을 기준으로 다음의 식(1)을 이용 하여 계산하였다.
-
C: Concentration of odorous gas (μL m-3)
-
V: Sampling volume (L)
-
MW: Molecular weight of odorous gas (g mol-1)
2.3 젖소분뇨와 톱밥 시료 분석
젖소분뇨와 톱밥의 수분함량은 105°C에서 24시간 건조된 후 측정되었으며, 휘발성 고형물 함량은 건조 된 시료를 550°C에서 8시간 회화된 후 측정되었다(Table 1). 각 실험구별 젖소분뇨와 톱밥 혼합물의 밀도는 측 정용기 부피 700 mL를 기준으로 무게를 측정하여 계 산되었다(Table 2).
2.4 Rice husk biochar 특성 분석
본 연구에서는 Rice husk biochar의 미소영역에서의 결정 크기 분석 및 결정의 비율을 파악하기 위해 Xray diffractometer (D8 ADVANCE, Bruker, Billerica, MA, USA)를 이용하여 X-ray diffraction (XRD) 분석을 수행하였다. Rice husk biochar 내 유기물 및 무기물 열 분해 온도, 열 안정성의 파악을 위해 Thermal analyzer (TGA 2, Mettler Toledo, Columbus, OH, USA)을 이 용하여 25°C~950°C의 온도 범위(Heating rate: 10°C/ min)에서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를 수행하 였다. 또한, Infrared spectrometer with a diamond ATR tip (Alpha-P, Bruker, Billerica, MA, USA)을 이용 하여 400~4,000 cm-1 수준에서 Rice husk biochar의 표 면 물질 구조를 파악하였다. Rice husk biochar의 pH는 pH meter (Orion 4 Star, Thermo Scientific, MA, USA) 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Biochar와 Deionized water 의 혼합비율, 혼합 후 평형 시간 등은 기존 문헌에서 제 시된 방법을 따랐다(Fidel et al., 2017). 측정 결과 Rice husk biochar의 pH는 10.38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2.5 통계 분석
대조구와 처리구 간 NH3 및 H2S 농도, 발생량 데이 터 간 차이는 Tukey-Test (Origin-Lab, version 8.1)를 통해 검정되었으며, 집단 간 통계적 차이는 5% 신뢰 수준에서 결정되었다.
3. 연구결과
3.1 Rice husk biochar 특성
XRD 분석을 통해 도출된 Rice husk biochar의 Peak position을 Fig. 2에 나타내었다. 전체 5개의 Peak가 검 출되었으며, 각 Peak의 Full-width at half maximum (FWHM)을 통해 도출된 Crystallite size는 평균 약 36 ± 8 nm로, 전체 Peak area 중 Crystalline peak의 비 율인 Crystallinity는 약 41%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3). 이는 Hossain et al. (2020)이 보고한 왕겨와 180°C에 서 20분간 수열 탄화된 Rice husk biochar의 Crystallinity인 약 58%, 61%와 비교할 때 18%~20% 낮은 수 치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왕겨 Biochar는 450°C~ 550°C에서 열분해된 것에 반해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Biochar는 상대적으로 낮은 180°C에서 열분해됨에 따 라 Crystallinity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Keiluweit et al. (2010)은 Ponderosa pine shaving과 Tall fescue straw가 서로 다른 온도(100°C~700°C)에서 열분 해 되었을 때, 열분해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Cellulose crystallinity가 감소되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Das et al. (2021)은 열분해 온도가 400°C에서 600°C까지 증 가함에 따라 여러 Biomass의 Crystallinity index가 평 균 8.98% 감소되었음을 보고한 바 있다.
Rice husk biochar 내 결정의 크기는 약 36 nm로, 기 존 문헌에서 제시된 Biochar (Walnut shell, wood powder biochar 등)의 결정의 크기인 3.7~10.4 nm와 비 교할 때 약 3 배~10배 크게 나타났다(Table 3). Scherrer 방정식을 통해 Rice husk biochar 내 결정의 비율을 계 산한 결과, 결정의 비율은 약 40.9%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 Biochar 내 결정의 비율은 40.9%보다 많은 52.3%~79.5% 수준으로 보고된 바 있다(Liu et al., 2020).
TGA 분석 결과, DTG curve를 통해 추정된 시료의 무게 감소 구간을 기준으로 할 때, Rice husk biochar의 함수율은 4.6% (wet basis), 휘발성고형물은 6.3% (dry basis)로 나타났다(Fig. 3). 또한, Peak 2 (630.8°C)에서 10.6%의 무게 감소가 나타나, 기존 선행 연구에서 제 시된 Rice husk biochar 열분해 온도인 493°C와 비교할 때 고온에서 더욱 안정적인 특성을 나타내었다(Sahoo et al., 2020).
ATR 측정 결과, 전체 4개의 Peak가 감지되었으며(Fig. 4), 선행 연구로부터 추정된 각 Peak별 Functional group 은 Table 4와 같다. Peak 1은 C=C의 이중 결합을 갖는 불포화 탄화수소 작용기 또는 질소와 수소의 단일결 합(amine, bending)의 작용기인 것으로 추정된다. Peak 2는 Si-O-Si 혹은 C-O 결합의 작용기, peak 3는 3개의 치환기를 가진 C-H 작용기로 판단된다. Peak 4의 경 우 Si-H의 작용기인 것으로 판단된다(Liou, 2004;Wei et al., 2017). SiO2는 건조된 Rice husk 내 10% 내외 존 재하며, Silica는 열처리된 Rice husk ash 내 최대 약 90%를 구성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Ding et al., 2005;Chandrasekhar et al., 2006).
3.2 NH3와 H2S 저감효과
NH3 농도 측정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 구별 NH3 농도는 전체 실험기간 동안 대조구 10.6 ± 7.4 ppm, 5%-addition 처리구 10.9 ± 6.1 ppm, 10%-addition 처리구 8.2 ± 5.1 ppm으로 나타나 10%-addition 처리구 에서 대조구 대비 23% 저감되었다.
5일간 발생된 총 NH3 발생량을 Table 5에 나타내었 다. 5%-addition 처리구는 NH3 저감 효과를 보이지 않 았으며, 10%-addition 처리구의 NH3 발생량은 대조구 와 비교할 때 약 26% 저감되었다. Chen et al. (2020b)의 연구에 따르면, Biochar 표면의 높은 비표면적율과 다 공성 구조는 NH3로 전변될 수 있는 가축분뇨 내 질소 를 흡착하여 NH3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젖소분뇨와 톱밥 혼합물의 고형물 함 량을 기준으로 Biochar를 10% 첨가하였을 때와 달리 5% 첨가량은 유의미한 NH3 발생량 저감 효과를 나타 내기에는 충분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H2S는 농도는 대조구 3.1 ± 1.1 ppm, 5%-addition 처 리구 2.3 ± 0.5 ppm, 10%-addition 처리구 1.2 ± 0.1 ppm 으로 모든 실험군에서 실험 착수 시에 가장 높은 농 도를 나타냈으며, 이후 약 4시간 이내에 0.1 ppm 이하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6). 5%- addition 처리구의 초기 H2S 농도는 대조구 대비 약 25% 낮았으나 실험 착수 후 3시간이 경과한 시점부터 대 조구 대비 높은 H2S 농도를 보였으므로, 5%-addition 처리구의 총 H2S 발생량 저감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Table 6). 반면, 실험 약 24시간이 경과한 시점 까지 대조구 대비 낮은 H2S 농도를 보인 10%-addition 처리구의 총 H2S 발생량은 대조구 대비 약 46% 저감 된 것으로 나타났다(p=0.0655). H2S는 pKa 약 7.2 수준 부터 HS-의 형태로 첫 번째 해리되는 특성이 있다(Adib et al., 1999). 따라서 pH가 약 10.4 수준인 Biochar가 혼 합물 내 첨가됨에 따라 HS-의 형태로 해리되는 H2S의 양이 증가되어 10%-addition 처리구에서 H2S 발생량 이 저감될 수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Rice husk biochar를 젖소분뇨와 톱 밥 혼합물의 고형물 기준 5%, 10% 첨가하여 NH3와 H2S 발생량 저감 효과를 비교하였다. 5%-addition 처리구 는 NH3와 H2S 발생량에 저감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 나, 10%-addition 처리구에서는 NH3와 H2S 발생량이 대조구 대비 유의미하게 저감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 라서 깔짚우상으로부터 수거된 젖소분뇨의 저장 시 Rice husk biochar를 첨가하여 악취가스를 줄이고자 하 는 경우, Rice husk biochar가 젖소분뇨와 깔짚 혼합물 고형물의 5% 이상 첨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우분 내 Biochar 첨가를 통한 악취 저감 효과의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10% 미만의 적정 Biochar 첨가량 수준을 구명하고, 경제성 분석을 통해 현장 적 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 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