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1 No.4 pp.278-286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2.21.4.278

Calculation of aerodynamic coefficients of bio-curtain for odor reduction in pig house

Oh Byung-Wook, Seo Il-Hwan*
Department of Rural Construction Engineering,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Tel: +82-63-270-2520 E-mail: ihseo@jbnu.ac.kr
18/11/2022 08/12/2022 13/12/2022

Abstract


The distance between livestock facilities and residential spaces is decreasing. Moreover, livestock odor complaints are increasing due to the large-scale and concentrated livestock breading industry. In order to reduce odor from livestock facilities, bio-curtain that are easy to install and inexpensive are commonly used in Korea. However, there is a lack of basic data on design standards and operation manuals for bio-curtains. The installation density of the bio-curtain material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odor reduction rate, increment of the load on the ventilation fans,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curtain. There are limitations on deriving the design conditions of the bio-curtain by only field experiments targeting invisible air. Therefore, aerodynamic simulation such as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an be used to obtain quantitative data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Bio-curtain is a porous medium with a complex structure, and it is necessary to derive aerodynamic coefficients to analyze it. In this study, the wind speed and pressur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esign density of the bio-curtain were monitored using the experimental chamber. Using the field results, a pressure resistance curve was created for each flow velocity and installation density. The viscosity and resistance coefficient of the bio-curtain were calculated through the derived resistance curve.



돈사 악취저감용 바이오커튼의 공기유동학적 계수산정

오 병욱, 서 일환*
전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국내 육류 소비량은 `21년 기준 54.3 kg/인으로 지속 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두수도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내 축산농가의 구조 변 화에 따라 소규모 축산농가 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대 규모 축산농가의 비중이 늘어나는 등 축산업의 규모 가 대형화·밀집화 되어 축산악취의 관리 필요성이 높 아지고 있다. 또한 귀농·귀촌 인구의 증가로 쾌적한 농 촌생활과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과거에 비하여 축산시설과 주거지역 간의 거 리가 감소하고, 축산악취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면 서, 축산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민원 건수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축산악취와 관련된 민원 은 `15년 4,323 건에서 `20년 14,345 건으로 약 3.32 배 증가하였다. 따라서 축산시설에서 배출되는 악취관 리 방안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축산악취의 저감방안으로는 시설 내부 청소, 생물 탈취법, 슬러리 내 활성탄 살포 등의 방법이 있다. 시 설 내부 청소방법은 물이나 세정제를 축산시설 내부 에 분무하여 분진 및 분뇨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계절 에 따른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Keener et al., 1999;Estelles et al., 2011;Moore et al., 2018). 생물 탈취법은 냄새유발 물질이 흡착 또는 흡수된 후 미생물 활동에 의해 분해 및 제거 시키는 방법이다 (Schiffman et al., 2000;Shinabe et al., 2000;Liang and Liang, 2015;Yoo et al., 2010;Barbusinski et al., 2021). 하지만 분해 가능한 냄새물질에 제한적이며, 제 거과정에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 슬러리 내 활성탄 살포 방법은 슬러리 피트 내 활성탄 살포를 통해 냄 새가 발생하기 유리한 혐기성 환경을 호기성 환경으 로 전환시켜 저감하는 방법이다. 타 방법에 비해 간 접적인 효과를 가지고, 높은 유지비용을 가진다는 단 점이 있다(Bottcher et al., 2000;Sun et al., 2000;Rahman and Borhan, 2012).

    축산악취가 축사 밖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악취방지시설은 바이오커튼, 바이오필터, 안개 분무, 방풍림 및 방풍벽 등이 있다. 바이오필터는 충 전물질에 축산악취를 통과시켜 냄새유발물질을 저감 하는 방법이다. 지속적인 충전재 교환으로 인한 높은 유지비용을 가지며, 환기팬에 부착하기 때문에 환기 팬의 부하가 발생하거나 환기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Bottcher et al., 2000;Sun et al., 2000;Rahman et al., 2012). 안개분무 방식은 스프레이 방식 으로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시켜 냄새유발물질을 물 방울에 흡착시켜 물리적으로 저감하는 방법이다. 습 도 및 환경조절에 큰 영향을 미치고, 24시간 가동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Watkins et al., 1997;Bottcher et al., 1998;Keener et al., 1999). 방풍림 및 방풍벽은 축사 외부로 배출되는 냄새물질을 대기의 상부로 확산시 켜 강도를 저감시키는 방법이다. 인근 주민들의 시야 에서 축산시설을 은폐할 수 있는 미적인 장점을 가지 지만, 간접적인 축산악취 저감방법으로 타 방법에 비 해 저감 효과가 낮다(Lemay et al., 2000;Bottcher et al., 2000;Nicoali et al., 2005). 바이오커튼은 배기팬 측 벽에 설치하여 축사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오염물질 을 여과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바이오커튼 은 설치가 용이하고 유지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많 은 농가들이 사용하고 있다. 비용대비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설치 및 운영에 대한 기준이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바이오커튼으로 설치되는 공 기 차단막의 두께 및 겹수에 따라서 내부 유속, 축산 악취 저감효과, 환기팬의 부하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지만, 관련된 기초데이터 및 기 준이 없는 실정이다.

    바이오커튼의 기초데이터 및 설계기준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환기팬의 성능, 돈사 내외부 환경과 같이 눈 에 보이지 않는 축산악취와 공기를 대상으로 하기 때 문에 현장실험을 통한 데이터 수집이 어렵다.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른 바이오커튼의 성능을 평가하는 기 초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현장실험의 한계를 극 복할 수 있는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연구가 적용될 수 있 다. 전산유체역학은 유체의 유동형상을 비선형 편미 분방정식인 Navier-Stokes 방정식을 수치해석하여 그 거동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악취 및 공기오염물질의 확산, 시설환경 조절 등 다양한 농업분야에서 활용되 고 있다(Seo et al., 2008;Park et al., 2018;Oh et al., 2019;Seo et al., 2021). 전산유체역학 내에서 복잡한 형 상과 수많은 공극을 가지는 바이오커튼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다공성매체(Porous media)로 가정하여 적용 이 가능하며, 이를 위한 관성저항계수, 점성저항계수 등 바이오커튼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는 검증된 기초 데이터의 확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커튼의 유동학적 특성을 나 타내는 관성저항 및 점성저항계수를 도출하기 위하 여 챔버를 기반으로 하는 유속압력 저항곡선을 도출 하기 위한 현장실험을 수행하였다. 챔버에는 바이오 커튼의 두께를 의미하는 겹수를 고려하여 공기의 통 과 전·후의 유속 및 압력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유속 에 따른 압력 저항곡선, 관성 및 점성 저항계수를 산 정하였다.

    2. 연구방법

    2.1 실험장비

    실험용 챔버는 0.5 m × 1.0 m × 10 m의 크기로 제작 하였으며, 바이오커튼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였다. 챔버의 재질은 매 끈한 합판으로 구성하였으며, 내부는 정전기방지 코 팅제를 도포하였다.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2개의 동일한 규격의 500 mm 가변식 팬을 음압식으 로 설치하였다. 챔버의 공기유입부는 유입되는 공기 가 안정적인 층류로 제공될 수 있도록 벌집모양 구조 물을 설치하였다. 구조물은 내부에 안정적인 기류가 흐를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설계되었다. 주요 측 정항목은 유속과 압력의 변화로, 유속은 다채널 풍속 계((MODEL 1560, Inc, KANOMAX, JAPAN)를 이용 하여 챔버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과 바이오커 튼에 도달하는 유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은 1초 간격으로 수행하였으며, 설치조건별로 각각 600 초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다. 바이오커튼의 설치조건 에 따른 압력변화는 압력계측기(AMI 310, KIMO Inc, France)의 압력모듈(MPR-5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 다. 측정 위치는 바이오커튼의 설치 전과 후이며, 측 정은 1초 간격으로 설치조건별로 각각 600초 동안 수 행하였다. 1초 간격의 데이터를 활용하는 경우 데이 터의 편차가 심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압력과 유 속의 측정데이터는 평균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챔버 내부는 층류로 가정하였으며, 각 벽체 인근에서는 마 찰에 의한 유속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속 과 압력은 챔버의 정중앙에서 측정하였다. 바이오커 튼은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재 질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바이오커튼은 차광막과 유 사하게 반밀폐식으로 구멍이 있어 공기가 천천히 빠 져나갈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현 장에서는 2 겹 또는 3 겹을 경험적으로 사용하고 있 다. 압력과 유속의 저항곡선을 도출하기 위하여 바이 오커튼은 1 겹부터 5 겹까지 5가지 설계조건을 고려 하였으며, Fig. 1 과 같이 바이오커튼은 챔버를 분리하 여 내부공간을 완전히 채울 수 있도록 부착하였다. 내 부의 유속은 가변식 환기팬을 사용하여 0~10 m/s까 지 30 초 마다 총 20 단계로 나누어 유속 변화에 따른 압력변화량을 연속으로 측정하였다.

    2.2 바이오커튼의 저항계수 산정실험

    바이오커튼과 같은 다공성매체는 표면 또는 내부 에 수많은 구멍들이 있어 복잡한 내부공간을 통과하 는 과정에서 공기 흐름에 저항이 발생한다. 이 저항 이 유동을 방해하여 유량에 따라 압력의 변화가 발생 하며 이때 다공성매체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관성 저항과 점성저항이 발생한다. 관성저항은 정지 또는 운동하고 있는 물체가 계속해서 정지 또는 운동하고 자 저항하는 힘을 의미하며, 점성저항은 유체가 가지 는 특성 중 점성으로 인해 흐를 때 발생하는 마찰저 항을 의미한다. 전산유체역학 내에서 다공성매체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관성 및 점성 저항계수가 필요하 며, 현장실험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속 변화에 따른 압 력 저항곡선을 통해 산정할 수 있다.

    바이오커튼의 저항계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실험용 챔버에서 바이오커튼의 설치 전후의 유속과 압력을 측정하였다. 바이오커튼은 구멍의 방향을 고려하여 지그재그로 배치하여 설치겹수는 1, 2, 3, 4, 5 장을 각 각 설치하였으며, 유속은 최대 10 m/s 까지 단계적으 로 증가시키면서 바이오커튼 전후의 압력차와 유입 되는 유속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바탕으로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에 따른 유 속에 따른 압력저항곡선을 작성한 후, 유속과 압력의 변화곡선의 2차항과 1차항의 계수를 사용하여 식 (1)~(3) 을 활용하여 관성 및 점성저항계수를 산정한다.

    Δ P = C 2 Δ n ρ 2 v 2 + 1 α μ Δ n v
    (1)

    C 2 = 2 Q C Δ n ρ
    (2)

    1 α = L C μ Δ n
    (3)

    • C2 : Inertia resistance coefficient (Pressure-jump coefficient)

    • 1 α : Viscosity resistance coefficient (α : Permeability of the medium)

    • Δn : Thickness of the medium (m)

    • μ : Laminar fluid viscosity (kg/m-s)

    • v : Velocity normal to the porous face (m/s)

    • ρ : Density of fluid (kg/m3)

    • LC : Linear coefficient of resistance curve

    • QC : Quadratic coefficient of resistance curve

    3. 결과 및 고찰

    3.1 바이오커튼 설치 밀도별 유입·유속 분석

    바이오커튼을 여러장 겹쳐서 사용하는 경우 설치 밀도가 증가하며, 설치밀도에 따른 유입공기의 유속 을 분석한 결과, 밀도가 증가할수록 유입공기의 유속 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3). 1장의 바이오커튼 을 사용할 경우 0.7 m/s, 2장의 경우 0.45 m/s, 3장의 경 우 0.31 m/s, 4장과 5장의 경우 0.21 m/s의 평균 유속을 나타냈다. 바이오커튼을 4장 이상 사용할 경우 평균 유입유속의 차이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바이 오커튼을 1장에서 2장으로 밀도를 높이는 경우 유입 유속은 평균 36%로 가장 큰 감소폭을 보였으며, 2장 에서 3장으로 늘리면 30%, 3장에서 4장 이상으로 늘 리면 34%의 감소폭을 보였다. 1장을 사용할 때와 비 교하였을 때, 4장이상 바이오커튼을 중첩하여 사용할 경우 유입유속은 약 49% 감소하였다. 바이오커튼의 밀도가 높을수록 유입공기의 유속이 감소하고 있으 며, 이는 바이오커튼을 공기가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것으로 악취를 막는 효과는 높아질 수 있으나, 공기 의 흐름을 방해하기 때문에 축사에 설치된 환기팬에 압력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3.2 바이오커튼 설치밀도별 압력변화량 분석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에 따른 압력변화량 분석 결 과, 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로 압력부하량도 함께 증가하였다.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에 따른 압 력변화량은 평균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바 이오커튼의 설치밀도별 평균 압력변화량은 1장일 때 평균 20 Pa, 2장일 때 20.5 Pa, 3장일 때 21.3 Pa, 4장일 때 22.9 Pa, 5장일 때 25 Pa의 압력 부하량을 나타냈다. 1장에서 3장 사이에서는 6.5% 정도로 압력부하가 크 게 증가하지 않았으나, 1장과 비교하였을 때, 4장 설 치 시 14.5%, 5장 설치 시 25%로 증가하였다. 바이오 커튼의 설치밀도가 4장부터는 압력부하가 크게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환기팬에 압력부하 및 설 계환기량의 저하로 인한 환기효율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바이오커튼의 설치 밀도를 결정할 때 압력부하량을 함께 고려하여야 환 기팬에 가해지는 압력부하로 인한 환기량 저하, 환기 팬 고장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3.3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별 공기유동학적 계수 산정

    챔버실험을 통해 도출한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별 유속 및 압력변화 데이터를 활용하여 압력저항곡선 을 작성하였다(Fig. 5). 바이오커튼의 관성 및 점성저 항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이론식에 근거하여 압력 저항곡선에서 이차식 형태의 추세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식의 이차항 계수는 관성저항계수의 산정에 사용되며, 일차항 계수는 점성저항계수의 산정에 사 용되었다. 압력저항곡선을 분석한 결과, 바이오커튼 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유속에 따른 압력 변화폭 이 더욱 커짐을 알 수 있었다. 1장의 바이오커튼을 사 용할 때를 기준으로 2겹의 바이오커튼을 사용할 때 약 2.9 배의 더 큰 압력 부하폭이 나타났으며, 2겹에서 3겹을 사용할때는 약 1.4 배, 3겹에서 4겹을 사용할때 는 약 1.07 배의 압력 부하폭이 증가하였다(Fig. 5(f)). 즉, 동일한 유속조건에서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내부 압력부하량은 증가하였다.

    압력저항곡선에서부터 바이오커튼의 설치밀도에 따른 점성 및 관성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바이오커 튼의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관성저항계수와 점성저 항계수 모두 증가하였다. 하지만, 사용되는 바이오커 튼의 겹수에 따라 저항계수의 값과 증가폭이 다르게 나타났다.

    작성된 압력저항곡선을 통해 바이오커튼의 설치 겹 수 별 추세식과 점성 및 관성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Table 1). 관성저항계수와 점성저항계수 모두 바이오 커튼의 사용 겹수가 많아질수록 증가하였다. 바이오 커튼의 겹수에 따라 각 계수의 증가폭이 다르게 나타 났다. 관성저항계수의 경우 1겹을 기준으로 2겹으로 사용 겹수를 증가시킬 경우 1겹 대비 약 189%의 증가 량을 보였으며, 3겹을 사용할 경우 약 306%, 4겹을 사 용할 경우 약 336%, 5겹을 사용할 경우 약 399% 증가 하였다. 바이오커튼의 사용 겹수가 증가함에 따라 관 성 저항계수의 증가 폭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2겹으로 증가 시킬 경우 가장 낮은 증가폭을 가졌다. 점성저항계수는 1겹을 기준으로 2겹으로 사용 겹 수 를 증가시킬 경우 1겹 대비 15% 증가하였으며, 3겹을 사용할 경우 약 385 %, 4겹을 사용할 경우 770%, 5겹 을 사용할 경우 903% 증가하였다. 관성 저항계수와 마 찬가지로 2겹으로 증가시킬 경우 약 15% 로 가장 낮 은 증가폭을 보였으나, 3겹 이상을 사용할 경우 저항 계수는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Fig. 6). 바이오 커 튼의 설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악취물질의 저감율 은 높아질 수 있으나, 저항계수들의 상승폭은 점차적 으로 크게 나타났다. 저항의 정도에 따라 내부와 환 기팬에 부하가 증가하여 환기량 감소, 환기팬 고장 및 내구성 저하 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 농가 에서 바이오커튼 설치시 겹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 다. 챔버실험을 통해 산정된 바이오커튼의 점성 및 관 성 저항계수는 계수의 신뢰성 및 현장 적용성 확보를 위하여 향후 실제 농가에서 사용되는 바이오커튼을 통한 비교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산정된 바이오커튼 의 저항계수는 전산유체역학에 활용되어 바이오커튼 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될 수 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에서 악취저감시설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커튼에 대한 다양한 환경조건 별 가동효율을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공기유동학적 계수를 산정하였다. 바이오커튼 은 설치밀도에 따라서 환기팬의 부하량, 악취저감효 과, 압력에 의한 파손 등이 달라진다. 적정한 설계를 위해서는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른 해석이 필요하며, 시뮬레이션 및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바이 오커튼의 유속 변화에 따른 압력저항 곡선을 작성하 고, 이를 바탕으로 바이오커튼의 관성 및 점성 저항 계수를 산정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커튼의 밀도가 높을수록 커튼으로 유입되는 유속은 감소하고, 압력 은 전체적으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1장에서 5장으로 증가할 경우 15% 이상의 압력부하가 증가하 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전산유체역학을 활용한 바 이오커튼의 시뮬레이션 모델에 적용하여 실제 농가 에 설치된 바이오커튼과 현장검증을 통하여 신뢰성 을확보할 예정이다. 개발된 시뮬레이션 모델은 다양 한 설치환경별 성능곡선은 물론 설치를 위한 설계기 준마련에 활용될 수 있다.

    감사의 글

    본 결과물은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 기술기획평가원의 2025 축산현안대응 산업화기술개 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연구되었음(321085-05-2- WT011).

    Figure

    JOIE-21-4-278_F1.gif

    Experimental chambers and experimental components including velocity and pressure measuring devices with installation of bio-curtain.

    JOIE-21-4-278_F2.gif

    Experimental procedure for calculating aerodynamic coefficient for bio-curtain according to number of layers.

    JOIE-21-4-278_F3.gif

    Graph of velocity change by number of bio-curtains.

    JOIE-21-4-278_F4.gif

    Graph of pressure change by number of bio-curtains.

    JOIE-21-4-278_F5.gif

    Pressure resistance curve and regression equation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o-curtains.

    JOIE-21-4-278_F6.gif

    Inertia & Viscosity resistance coefficient of bio-curtaion.

    Table

    Regression equation and resistance coefficients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o-curtains

    Reference

    1. Barbusinski, K. , Parzentna-Gabor, A. , Kasperczyk, D. ,2021. Removal of odors (Mainy H2S and NH3) using biological treatment methods. Clean Technologies 3(1), 138-155.
    2. Bottcher, R. W. , Keener, K. M. , Baughman, G. R. , Munilla, R. D. , Parbst, K. E.. 1998. Field and model evaluations of windbreak walls for modifying emissions from tunnel ventilated swine buildings. American Society of Association Executive (ASAE) Annual International Meeting, ASAE Paper, No. 984071.
    3. Bottcher, R. W. , Keener, K. M. , Munilla, R. D. ,2000. Comparison of odor control mechanisms for wet pad scrubbing, indoor ozonation, windbreak walls and biofilters. American Society of Association Executive (ASAE) Annual International Meeting, Michigan: ASAE.
    4. Estelles, F. , Melse, R. W. , Ogink, N. W. M. , Calvet, S. ,2011. Evaluation of the NH3 removal efficiency of an acid packed bed scrubber using two methods: A case study in a pig facility. Transactions of the ASABE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54(5), 1905-1912.
    5. Keener, K. M. , Bottcher, R. W. , Munilla, R. D. , Parbst, K. E. , Van Wicklen, G. L. ,1999. Field evaluation of an indoor ozonation system for odor control. In Animal Waste Management Symposium, Raleigh, NC, January, 27-28.
    6. Lemay, S. P. , Chenard, L. , Barber, E. M. , Fengler, R. ,2000. Optimization of a sprinkling system using undiluted canola oil for dust control in pig buildings. In Air pollution from agricultural operation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337-344.
    7. Liang, M. , Liang, Y. ,2015. Mechanism for biological degradation of H2S odour gas from livestock farm. Asian Journal of Chemistry 27(2). 429-434.
    8. Moore Jr, P. A. , Li, H. , Burns, R. , Miles, D. , Maguire, R. , Ogejo, J. , Reiter, M. S. , Buser, M. D. , Trabue, S. ,2018.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ARS Air Scrubber: A Device for Reducing Ammonia Emissions from Animal Rearing Facilities. Frontiers in Sustainable Food Systems, 2, 23.
    9. Nicolai, R. E. , Lefers, R. , Pohl, S. H. ,2005. Configuration of a vertical biofilter. Americ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Biological Engineers, In Livestock Environment VII, 358.
    10. Oh, B. W. , Lee, S. W. , Kim, H. C. , Seo, I. H. ,2019. Analysis of working environment and ventilation efficiency in pig house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61(2), 85-95
    11. Park, M. J. , Park, Y. K. , Jo, Y. M. ,2018. Local dispersion of odorous materials from cement manufacturing stack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7(3), 233-240.
    12. Rahman, S. , Borhan, M. S. ,2012, Typical odor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wine production facilities: A review. Journal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2(4), 1-11.
    13. Schiffman, S. S. , Walker, J. M. , Dalton, P. , Lorig, T. S. , Raymer, J. H. , Shusterman, D. , Williams, C. M. ,2000. Potential Health Effects of Odor from Animal Operations, Wastewater Treatment, and Recycling of Byproducts. Journal of Agro medicine 7(1), 7-81.
    14. Shinabe, K. , Oketani, S. , Ochi, T. , Kanchanatawee. S. , Matsumura, M. ,2000. Characteristics of hydrogen sulfide removal in a carrier-packed biological deodorization system. Biochemical Engineering Journal 5(3), 209-217.
    15. Sun, Y. , Clanton, C. J. , Janni, K. A. , Malzer, G. L. ,2000. Sulfur and nitrogen balances in biofilters for odorous gas emission control. Transactions of the merican Society of Association Executive (ASAE) 43(6), 1861-1875.
    16. Seo, I. H. , Lee, I. B. , Hong, S. W. , Hwang, H. S. , Bitog, J. P. , Yoo, J. I. , Kwon, K. S. , Ha, T. H. , Kim, H. T. ,2008. Development of a CFD model to study ventilation efficiencyof mechanically ventilated pig ho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0(1), 25-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Seo, I. H. , Lee, H. J. , Wi, S. H. , Lee, S. W. , Kim, S. K.. 2021. Validation of an air temperature gradien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in a semi-open type greenhouse and determination of kimchi cabbage physiological responses to temperature diffences. Horticulture, Environment, and Biotechnology (HEB) 62(5), 737-750.
    18. Yoo, J. H. , Suh, J. S. , Lee, E. Y. ,2010. Study on the Reduction of Malodor Produced from Pig Excreata using Microbial Agents.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9(4), 203-207.
    19. Watkins, B. D. , Hengemuehle, S. M. , Person, H. L. , Yokoyama, M. T. , Masten, S. J. ,1997. Ozonation of swine manure wastes to control odors and reduce the concentrations of pathogens and toxic fermentation metabolites.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Ozone Association 19(5), 425- 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