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1 No.4 pp.298-306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2.21.4.298

Combined indoor and outdoor radon exposure of infants using Monte-Carlo simulations

Sooyong Lee1, Sanghun Im1, Insang Song1, Cheolmin Lee1, Hyungsop Kim2, Jungeun Oh3, Heeseok Kim1*
1Department of Nano,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2Soartech
3Sentry Inc.
* Corresponding Author: Tel: +82-2-940-2924 E-mail: ecopresent@skuniv.ac.kr
09/12/2022 22/12/2022 28/12/2022

Abstract


Although monitoring of radon has been extensively implemented throughout South Korea, the risk assessment has been mainly limited to indoor environments such as schools, workplaces, and multi-use facilities, and evaluations have normally been performed separately.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radon exposure according to two groups (< 1 and 1-6 years old) were evaluated considering various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timeactivity patterns, variations in radon concentrations, and dwelling type (single detached and apartment house) using Monte-Carlo simulation. The distribution and representative values of radon concentration by micro-environments were confirmed through the Anders-Darling test, and a uniform distribution was applied in case of uncertainty. The effective dose ranged from 1.81 ± 1.19 to 2.81 ± 3.02mSv/y. Comparing the levels recommended by EPA, WHO, and ICRP with the value of the 95th percentile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esults for those dwelling in detached houses exceeded recommended levels. Infants that spend a lot of time in homes with relatively high levels of concentration of radon are assessed to be somewhat more vulnerable to radon exposure.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국내 영유아의 실내·외 라돈 통합 노출 평가

이 수용1, 임 상훈1, 송 인상1, 이 철민1, 김 형섭2, 오 정은3, 김 희석1*
1서경대학교 나노화학생명공학과
2소어텍
3㈜센트리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라돈은 천연 방사성 가스로서 자연적 배출에 의해 환경 매체 내 일정 수준 이상의 오염도를 나타내고 있 으며 인간의 자연 방사선 노출의 약 50% 이상을 기여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Kim et al., 2018). 미 국에서 라돈은 연간 14,000여명의 폐암 사망자 유발 및 폐암 발병에 있어서 담배 다음으로 높은 원인 물 질로 평가되고 있다(US EPA, 1994). Kerr (1988)의 연 구에서도 라돈으로 인한 폐암 사망률이 다른 공기오 염물질에 의한 폐암 사망률 보다 높다고 보고하였다. 라돈의 주오염원은 암석, 토양이지만 약 3.82일의 라 돈 반감기(NCRP, 1976;NCRP, 1984)는 확산을 통해 실 내로 유입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Lee et al., 2017). 아 울러 실내 건축자재별 포함된 라돈의 양 및 누출 정 도에 따라 실내 라돈 오염도는 실외 수준에 비해 더 높을 수 있다(Wilkening, 1990). 인간의 일생 전 주기 중 영유아기의 경우 다른 연령 주기와 비교해서 더 많은 시간을 실내에서 지내고 있어 상대적으로 오랜 기간 라돈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 된다. 게다가 성장기 아이들은 단위체중당 호흡률이 성인에 비해 높기 때문에 라돈 노출에 더 취약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de Pediatría, 1998;Patriarca et al., 2000). 선행 연구에 따르면 아동기 라돈 노출은 소아 백혈병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며, 특히 15세 미만의 아 동에서 라돈에 의한 노출이 높을수록 폐암 발병률도 높아진다(Collman et al.,1991;Thome et al., 1996). 0 세~10세 아이들의 라돈 노출 양이 발암 위해도에 약 30% 정도 영향을 끼치며, 담배 연기와 라돈을 동시에 흡입한 경우, 그 위해도가 더욱 늘어나게 된다(US EPA, 1999).

    국내 라돈 농도의 분포에 대한 조사 및 연구는 오 래전부터 꾸준히 진행되어 왔으며 지역별, 실내 시설 특성별 오염도의 수준 및 분포 특성이 매우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Kim and Paik, 2002;Kim et al., 2003;Lee et al., 2002;Lee et al., 2018;Ryu et al., 2018;Yang et al., 2009;Yoo and Chung, 2020). 다만, 이러한 연구들은 영유아에 대한 세부적인 라돈 노출 평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국내 영유아 사용 시설을 대 상으로는 대부분 어린이집 오염도 수준 및 분포 특성 평가에 한정되고 있다(Lee et al., 2017). 우리나라는 부 모의 동시 경제활동 또는 교육을 목적으로 만 3세 이 후부터는 전체 영유아의 90% 이상이 가정 외 다양한 시설에서 상당 시간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KICCE, 2019) 보다 현실적인 노출평가를 위해서는 주택 외 다 양한 실내·외 국소환경별 특성을 구분하여 적용하여 야 한다. 더 나아가 연령별로 국소환경에서의 활동시 간 또한 다양하기 때문에 인구집단별 하루 24시간 중 시간활동패턴에 따른 노출 및 위해성 평가가 진행되 어야 한다(Lee at al., 2014;Shcwab et al., 1990;Taskin et al., 2009). 아울러 라돈 오염도의 시·공간에 따른 변 이 그리고 대푯값 선정의 불확실에 따른 라돈 노출 및 위해성의 불확실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라돈 노출에 취약한 0세 ~6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가구 특성별, 주거지 외 다 양한 실내 국소환경 특성별, 실외 및 이동 등 다양한 실내·외 환경 특성에 대해 시간활동패턴에 따른 라돈 노출을 확률적 방법인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 용하여 평가하였다.

    2. 연구 방법

    2.1 라돈 노출 평가

    유엔 방사선영향위원회에서는 라돈 노출 평가 지 표로 연간유효선량(Annual effective dose)을 적용하고 있다(UNSCEAR, 2000). 본 연구에서는 수식 1과 같이 국소환경별 라돈의 수준과 시간활동패턴에 따른 각 국소환경에 머무는 시간을 변수로 하는 국소환경모 델을 적용하여 연간유효선량을 평가하였다(Shin et al., 2022;Sexton et al., 2007).

    Annual effective dose (mSv/y) = i k { C R N ( i ) × F eq ( i ) × T ( i ) × D}
    (1)

    CRN은 연평균 라돈 농도(Bq/m3), Feq는 라돈과 라돈 딸핵종 간의 비율로 평형 인자, T는 국소환경별 연간 체류시간(h)을 각각 의미한다. D는 선량 환산인자로 라돈 농도를 피폭 선량으로 환산하기 위해 9 nSv/hr per Bq/m3을 상수 값으로 적용하였다(UNSCEAR, 2000;UNSCEAR, 2020). 영유아가 머무는 환경을 크게 주택, 주택 외 실내, 어린이집, 이동, 실외로 구분하였다. 주 택은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세분화하였으며, 공 동주택에는 연립 다세대와 아파트를 포함한다. 주택 외 실내 국소환경은 대규모점포, 도서관, 목욕장, 미 술관, 박물관, 실내주차장, 실내체육시설, 영화상영관, 산후조리원, 의료기관, 지하도상가, 학원을 포함한다. 다만 1세 미만의 경우는 산후조리원 및 의료기관을 제외하고는 다른 시설에서의 활동이 매우 제한되기 때문에 1세~6세 그룹과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이동 환경에는 공항시설, 여객자동차터미널, 지하역사, 철 도역사, 항만시설을 포함하였다. 주택에서의 라돈 농 도의 분포 및 대푯값은 2011년~2018년 기간의 전국 주 택 라돈 오염도 실측자료(ME, 2022)를 이용하였으나, 이는 겨울철에 한정된 실측자료로써, 겨울철의 실내 라돈 농도는 타 계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수식 1에 따른 연간유효선량 산정 시 과대 계산될 수 있다. 이에 해당 겨울철 측정값들은 Lee et al. (2016)가 제시한 보정 수식을 통해 연평균 농 도로 환산하여 수식 1에 최종 적용하였다. 각 국소환 경별 라돈 농도 중 주택을 제외한 실내시설들과 어린 이집, 이동환경은 2017년~2019년의 환경부 다중이용 시설 자가측정 실측자료(Joen et al., 2021)를 이용하여 그 대푯값을 산출하였고, 실외 농도 값은 선행 연구 의 자료를(Kim et al., 2003) 참고하여 적용하였다. 모 든 국소환경별 CRN과 Feq는 앤더스-달링 테스트를 이 용하여 적합한 분포 및 대푯값을 산출하였다. 노출 시 간인 T는 한국 어린이의 노출계수 핸드북(NIER, 2019) 의 0-6세 남녀 영유아 평일과 주말의 구분 자료를 토 대로 성별 구분 없이 나이별로 그 값을 산출하였다 (NIER, 2019). 수식 1의 최종 계산은 파이썬(version. 3.9)을 이용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1,000,000번 반 복 실행하여 확률론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국소환경별 라돈 농도와 평형 인자의 분포 및 대 푯값

    본 연구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적용하기 위 한 수식 1에 포함된 변수들의 분포 및 대푯값들을 평 가하고 Table 1에 나타내었다. 나이를 기준으로 1세 미 만의 영유아와 1세에서 6세 사이의 영유아로 그룹화 하였고, 24시간을 기준으로 각 그룹별 활동하는 국소 환경을 구분하였다. 국소환경은 연령별 동일하게 주 택, 주택 외 실내, 어린이집, 실외, 이동환경으로 적용 하였고, 주택은 주거 형태의 다양성을 적용하고자 단 독주택과 공동주택으로 세분화하였다. 국소환경별 라 돈 실측 장소의 개소는 단독주택 20,660건, 공동주택 10,291건, 어린이집 13,998건, 이동환경 2,427건으로 두 연령의 그룹이 동일하고 주택을 제외한 실내 국소환 경에서 1세 미만의 영아는 9,687건, 1세에서 6세의 아 동은 40,612건으로 상이하였다. 국소환경별 라돈 오 염도의 분포는 모두 로그 정규분포와 통계적으로 유 의하지 않는 것(p-value > 0.05)으로 확인되었다. 각각 국소환경별 대표 오염도 수준을 Fig. 1과 같이 기하평 균과 기하 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국소환경별 기하 평균(산술평균 ± 표준편차)은 단독주택 65.7 (94.23 ± 101.87) Bq/m3, 공동주택 51.3 (63.02 ± 44.93) Bq/m3, 어린이집 30.3 (36.73 ± 24.21) Bq/m3, 이동환경 18.7 (22.92 ± 15.48) Bq/m3 으로 나타났으며, 주택을 제외 한 실내환경의 오염도 수준은 1세 미만의 영유아 경 우 23.2 (27.9 ± 17.60) Bq/m3, 1세에서 6세의 영유아 경 우 24.2 (29.06 ± 18.04) Bq/m3으로 확인되었다. 실외환 경의 라돈 농도는 신뢰성 있는 가용 데이터의 부족으 로 Kim et al. (2003)이 제시한 전국 평균값(23.30 ± 13.30 Bq/m3)을 로그 정규분포로 가정하여 적용하였 다. 국소환경별 라돈 오염도는 단독주택 > 공동주택 > 어린이집 > 주택을 제외한 실내시설 > 실외환경 > 이동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단독주택이 공동주택보 다 높은 라돈 농도 수준을 보이는 것은 상대적으로 단 독주택이 지표면과 가까워 라돈의 유입이 용이하기 때문이라는 선행 연구와 일관성을 보였다(Denman et al., 2006;Denman et al., 2018;Lee et al., 2015).

    평형 인자인 Feq 값은 Chen and Harley (2018)의 연 구에 따르면 국소환경별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Feq 값의 변이성을 수식 1에 적용하기 위 해 Chen and Harley (2018)이 조사한 국소환경별 평형 인자 값들을 통해 주택, 주택 외 실내, 실외 및 이동환 경별 Feq 값의 분포 및 대푯값을 도출하였다. 주택 외 실내환경에서의 Feq 값들의 분포는 로그 정규분포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지만(p-value > 0.05), 주택과 실외 및 이동환경에서의 Feq 값들의 분 포는 유의수준 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적합한 분 포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택 과 실외 및 이동환경에서의 Feq 분포는 균일 분포를 적 용하였다. 주택의 Feq 값은 최소, 최대 각각 0.24, 0.6, 실 외 및 이동에서의 Feq 값은 최소, 최대 각각 0.18, 0.68, 주택 외 실내의 Feq 값의 대푯값은 0.43 ± 0.14으로 확 인되었다. 이러한 Feq 의 분포는 UNSCEAR (2020)에서 제안하고 있는 Feq 값 실내 0.4, 실외 0.6을 각각 포함 하고 있어 일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Fig. 2는 한국 어린이의 노출계수 핸드북을 (NIER, 2019) 통해 1세 미만 그룹과 1세~6세 그룹을 대상으 로 하루를 기준으로 국소환경별 체류시간을 평일과 주말의 양상으로 재설정하여 나타냈다. 하루 중 주택 에서의 활동 시간이 1세 미만에서는 평일 평균 20.27 시간, 1세~6세 아동에서는 주말 평균 19.98 시간으로 가장 많았으며, 1세~6세 아동에서 평일 주택에서 머 무는 시간은 평균 16.48으로 가장 낮았는데, 이는 평 일 어린이집 이용 중 1세~6세의 영유아는 평균 5.69 시간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주택 외 실내에서의 활동 은 두 인구집단에서 모두 평일 보다는 주말의 활동 시 간이 높았으며, 이는 실외, 이동 시간과도 연계된다. 어린이집은 평일 이용이 일반적이므로 주말의 활동 시간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또한 1세 미만의 영유 아보다는 1세~6세 영유아가 어린이집 내 활동 시간 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일, 주말을 포함한 두 영유아 집단 모두 하루 중 주택에서의 활동 시간이 가 장 많고 이러한 결과는 앞서 확인된 것처럼 국소환경 중 주택의 오염도가 가장 크기 때문에 영유아 라돈 노 출에 있어 주택에서의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평가된다.

    3.2 라돈 노출

    Table 2에서와 같이 G1-H 케이스는 1세 미만의 영 유아 중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집단에 대한 노출, G1- A 케이스는 1세 미만의 영유아 중 공동주택에 거주하 는 집단에 대한 노출로 구분하였고, G2-H 케이스는 1세~6세 영유아 중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집단에 대 한 노출, G2-A 케이스는 1세~6세 영유아 중 공동주택 에 거주하는 집단에 대한 노출로 각각 구분하여 연간 유효선량을 나타내었다.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 해 산출된 연간유효선량 값들의 산술평균은 각 국소 환경별 최소 1.81 ± 1.19 mSv/y에서 최대 2.81 ± 3.04 mSv/y의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G1-H, G1-A, G2-H, G2-A 케이스 간의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 다(p-value < 0.001). 1세 미만의 영아 중 단독주택에 거 주하는 G1-H 케이스에서 가장 높은 2.81 ± 3.02 mSv/ y의 값이 나타났다. 공동주택에 머물며 1-6세의 아동 인 G2-A 케이스에서는 가장 낮은 1.81 ± 1.19 mSv/y의 결과를 보였다. 동일한 주거 형태에서 연령 그룹별 비 교를 위해 G1-H과 G2-H, G1-A와 G2-A 케이스들을 각 각 비교한 결과 단독주택의 경우 1세 미만 그룹은 1 세~6세 그룹에 비해 1.09배, 공동주택의 경우 1세 미 만의 그룹이 1세~6세 그룹에 비해 약 1.07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두 주택타입 모두 1세 미만 그룹이 살 짝 높은 수준이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동일 연령을 기준으로 주거 형태에 따른 그 룹별 비교를 위해 G1-H과 G1-A, G2-H과 G2-A 케이 스들을 각각 비교한 결과 1세 미만의 그룹에서 약 1.46 배, 1세~6세의 그룹에서 약 1.42배로 공동주택에 비해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그룹의 노출 수준이 상대적으 로 다소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Fig. 3과 Fig. 4는 케이스별로 연간유효선량의 분포 를 나타낸 것으로 왼쪽의 점선은 하위 5퍼센타일, 오 른쪽의 점선은 상위 5퍼센타일, 가운데 일점쇄선은 기 하평균, 실선은 산술평균 값을 각각 나타낸다. 케이스 별 연평균 유효선량 기하평균(산술평균 ±표준편차) 은 G1-H, G1-A, G2-H, G2-A 케이스 각각 1.96 (2.81 ± 3.02), 1.58 (1.93 ± 1.28), 1.88 (2.56 ± 2.60), 1.53 (1.81 ± 1.19)으로 모두 일반인의 연간 선량한도인 1 mSv/y에 비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공동주택 케이스의 연 간유효선량 산술평균 값은 UNSCEAR (2000)에서 보 고된 세계 평균 년간 자연방사선량 2.4 mSv/y보다 낮 은 수준을 보였으나, 단독주택 케이스의 연간유효선 량 산술평균 값은 세계 평균 연간 자연방사선량에 비 해 크며 항공기 승무원 연간 평균 피폭량(우주선)인 3 mSv/y과 유사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EPA, WHO, ICRP에서 각각 권고하는 연간 유효선량인 2.98 mSv/ y, 2.02 mSv/y, 6.05 mSv/y (Maya et al., 2020)과 비교해 서도 단독주택 케이스의 결과는 EPA와 WHO 가이드 수준을 웃도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결과는 EPA, WHO, ICRP에서의 가이드 수준은 연간 7,000시간 동 안의 실내 환경에서의 노출만을 고려한 반면, 본 연 구에서는 실내와 더불어 실외 환경에서의 노출을 추 가하여 통합적으로 평가한 점 그리고 영유아의 경우 실내 환경에서의 체류시간이 약 8,507~8,556시간으로 7000시간에 비해 약 1.2배 더 많은 시간을 실내 라돈 에 노출되는 것으로 산정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오염도의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보수적으로 평가 시 G1-H, G1-A, G2-H, G2-A 케이스의 상위 5퍼센타일의 값은 각각 8.01, 4.05, 7.02, 4.02 mSv/y로 모든 결과에서 상대적으로 라돈에 높은 수준으로 노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결 론

    본 연구는 라돈의 노출에 취약한 어린이들 중에서 도 상대적으로 실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가장 큰 미취 학 아동인 1세 미만, 1세~6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주 거 형태(단독주택과 공동주택)별, 실내 국소환경별, 실외환경 오염도 및 시간 활동 패턴에 따른 다양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확률적 방법인 몬테카를로 시 뮬레이션을 이용하여 라돈 노출 수준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1세 미만, 1세~6세 영유아들은 실내, 특히 주택에 하루 중 약 80% 정도 머물렀고, 국소환 경의 라돈 농도 역시 주택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주 택환경에서의 노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 다. 특히 단독주택 주거 형태의 영유아 그룹의 라돈 노출 수준은 국제적 가이드라인 수준에 비해서도 상 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어 영유아 대상으로 라돈에 대한 관리 및 정밀 평가가 요구된다. 본 연구 는 향후 영유아를 포함 전 생애 기간 연령대별 다양 한 환경에서의 라돈 노출과 그에 따른 건강영향을 평 가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환경부의 대기 환경 관리기술 사업화 연 계 기술개발 사업의(과제번호: 2021003400008) 지원 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JOIE-21-4-298_F1.gif

    Radon concentrations in each micro-environment.

    JOIE-21-4-298_F2.gif

    Time activity pattern in micro-environment.

    JOIE-21-4-298_F3.gif

    Annual effective dose for <1 year old.

    JOIE-21-4-298_F4.gif

    Annual effective dose for 1-6 years old.

    Table

    Radon concentrations and variables in the micro-environment for exposure assessment by population group

    Annual effective dose (mSv/y) for <1 and 1-6 years old according to micro-environment classification

    Reference

    1. Chen, J. , Harley, N. H. ,2018. A review of indoor and outdoor radon equilibrium factors-Part I: 222Rn. Health Physics Society 115(4), 490-499.
    2. Collman, G. W. , Loomis, D. P. , Sandler, D. P. ,1991. Childhood cancer mortality and radon concentration in drinking water in North Carolina. British Journal of cancer 63(4), 626-629.
    3. Denman, A. R. , Groves-Kirkby, C. J. , Groves-Kirkby, N. P. , Crockett, R. G. M. , Phillips, P. S. , Woolridge, A. C. ,2006. Factors influencing upstairs and downstairs radon levels in two-storey dwellings. International Radiation Protection Association (IRPA) Paris 81.
    4. Denman, A. R. , Crockett, R. G. M. , Groves-Kirkby, C. J. ,2018.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UK building regulations for new homes in radon affected areas.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192, 166-171.
    5. de Pediatría, A. A. A. ,1998. Committe on nutrition. Cholesterol in childhood. Pediatrics, 101(1), 141-147.
    6. Joen, J. I. , Lee, H. W. , Choi, H. J. , Joen, H. J. , Lee, C. M. ,2021. The distribu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by the categories of public-use facilities and their rate of guideline viol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7(5), 398-40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err, R. A. ,1988. Indoor radon: the deadliest pollutant science. Science 240(4852), 606-608.
    8.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2019. Daycare center user satisfaction survey in 2019.
    9. Kim, S. A. , Paik, N. W. ,2002. A study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urban a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8(2), 89-98.
    10. Kim, C. K. , Lee, S. C. , Lee, D. M. , Chang, B. U. , Rho, B. H. , Kang, H. D. ,2003. Nationwide survey of radon levels in Korea. Health Physics 84(3), 354-3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I. S. , Oh, H. S. , Lee, K. H. , Kim, C. G. ,2018. Study of radon managemen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tag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3), 241-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C. M. , Kim, Y. S. , Park, W. S. , Takao, I. ,2002. A survey of indoor and outdoor radon concentrations in five major c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17(3), 75-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H. S. , Lee, S. Y. , Lee, B. J. , Heo, J. , Kim, S. S. , Yang, W. H. ,2014. Estimation of personal exposure to air pollutants for housewives using time activity pattern and evaluating air quality of micro-environments. Journal of Outdoor and Indoor Environment 13(3), 159-167.
    14. Lee, C. M. , Gwak, Y. K. , Lee, D. H. , Lee, D. J. , Cho, Y. S. ,2015.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indoor concentration due to radon exhalation from domestic building materials.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24(9). 1131-11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C. M. , Kang, D. Y. , Koh, S. B. , Cho, Y. S. , Lee, D. J. , Lee, S. B. ,2016.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for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 for assessment of annual effective dose of radon exposure.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5(8), 1107-1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C. M. Kwon, M. H. , Kang, D. R. , Park, T. H. , Park, S. H. , Kwak, J. E. ,2017.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child-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167, 80-8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J. S. , Yang, S. H. , Kweon, D. C. ,2018. Assessment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annual effective dose in a university lecture room.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12(3), 223-2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Maya, J. , Mohamadou, L. L. , Mbembe, S. M. , Likéné, A. A. , Mbembe, B. A. , Boubakari, M. ,2020. Radon risks assessment with the Covid-19 lockdown effects.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and Physics 8(7), 1402-1412.
    19. Ministry of Environment (ME),2022. Indoor radon survey results. [cited 2022 Dec 07]; Available from: URL : https://me.go.kr/home/web/index.do?menuId=10380
    20.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NCRP),1976. Report No. 050 – Environmental radiation measurements.
    21.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NCRP),1984. Report No. 77 - Exposures from the uranium series with emphasis on radon and its daughters.
    2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2019. Korean exposure factors handbook for children.
    23. Patriarca, M. , Menditto, A. , Rossi, B. , Lyon, T. D. B. , Fell, G. S. ,2000. Environmental exposure to metals of newborns, infants and young children. Microchemical Journal 67(1-3), 351-361.
    24. Ryu, Y. H. , Lee, S. H. , Kim, M. Y. , Kwak, J. G. , Dong, K. R. ,2018. Medical Institution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internal air radon atmostphere emission: suggestions for density measurement and improvement. Journal of Radiation Industry 12 (2), 139-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Sexton, K. , Mongin, S. J. , Adgate, J. L. , Pratt, G. C. , Ramachandran, G. , Stock, T. H. , Morandi, M. T. ,2007. Estimating volatile organic compound concentrations in selected microenvironments using time-activity and personal exposure data. Journal of Toxic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Part A 70(5), 465-476.
    26. Shcwab, M. , Colome, S. D. , Spengler, J.D. , Ryan, P.B. , Billick, I. K. ,1990. Activity patterns applide to pollutant exposure assessment: data from a personal monitoring study in Los Angeles. Toxicology and industrial Health 6(6), 517-532.
    27. Shin, J. , Choe, Y. , Kim, D. , Min, G. , Woo, J. , Shin, J. , Cho, M. , Sung, K. , Lee, J. , Yang, W. ,2022. Evaluation of PM 2.5 exposure contribution using a microenvironmental model. Journal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8(2), 59-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Taskin, H. , Karavus, M. , Ay, P. , Topuzoglu, A. , Hindiroglu, S. , Karahan, G. ,2009. Radionuclide concentrations in soil and lifetime cancer risk due to the gamma radioactivity in Kirklareli, Turkey.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100(1), 49-53.
    29. Thome, R. , Forman, N. K. , Mott, M. G. ,1996. Radon in Devon and Cornwall and paediatric malignancies. European Journal of Cancer 32A(2), 282-285.
    30.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2000.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New York, United Nations.
    31.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2020. Sources,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UNSCEAR 2019 Report.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Scientific Annexes A and B.
    3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1994. Radon in School: Every school should take this simple test. Office of Air and Radiation (6604J), EPA Document #402- F-94-009.
    3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1999. Health risk reduction and cost analysis for radon in drinking water. EPA-815-z-99-002.
    34. Wilkening, M. ,1990. Radon in the Environment. Elsevier.
    35. Yang, W. H. , Lee, K. Y. , Park, K. H. , Yoon, C. S. , Son, B. S. , Jeon, J. M. , Lee, H. S. , Choi, W. H. , Yoo, S. D. , Han, J. S. ,2009. Microenvironmental time activity patterns of weekday and weekend on Korea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6(4), 267-2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Yoo, D. G. , Chung, J. W. ,2020. Prediction model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 using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humidity and indoor radon concentration.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8(12), 3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