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2 pp.109-118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2.109

Effect of aroma foot bath with clary sage essential oil on brain waves

Eun-Young Kim1, Hee Wokk Ryu2*
1Dept. of Cosmetic and Aesthetic, Dongduk Women’s University
2Dept. of Chem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Tel: +82-2-820-0611 E-mail: hwryu@ssu.ac.kr
22/03/2023 08/06/2023 09/06/2023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primary outcomes of the neurological and emotional responses to inhalation and foot baths using the clary sage aroma. Clary sage inhalation produced varying effects on EEG (electroencephalography)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used, inactivating θ and α waves while activating β waves, γ waves, RSMR, SEF50 and SEF90. Inhalation is more effective at enhancing individual performance and focus than promoting relaxation. The clary sage foot bath activated θ waves and RSMR, while inactivating a waves, γ waves, SEF50, and SEF90. The foot bath approach has a calming impact on the mind and body, as well as reducing arousal and stress. While the advantages of clary sage inhalation and foot bath therapy are distinct, both involve the activation of RSMR, which enhances focus at work and aids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lthough the emotional features of clary sage oil vary according to the dose used for inhalation, it was typically assessed as a feminine and refreshing aroma, and the clary sage foot bath was evaluated as a pleasant, invigorating, refreshing, feminine, soft, and calming fragrance. When clary sage was used in the foot bath therapy, it evoked a stronger emotional response than when it was inhal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clary sage foot bath can be used to enhance work-related focus while also relaxing the body by activating θ waves and inactivating SEF50 and SEF90.



클라리세이지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아로마 족욕법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1, 류희욱2*
1동덕여자대학교 향장에스테틱학과
2숭실대학교 화학공학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아로마 테라피(aroma therapy)는 천연 식물의 꽃과 줄기, 잎, 열매, 뿌리 등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을 치료적인 성분으로 입과 코 등 호흡기를 통해 흡입하는 방법이다(Buckle, 2001;Lee et al., 2011;Min, 2015). 에센셜 오일의 독특한 향은 치료 효과를 가지 고 있어서 사람의 마음을 진정, 이완, 자극, 활성화하 는 작용이 있으며, 스트레스가 쌓이면 세포 사이의 정 보를 전달하여 호르몬을 분비하여 이에 대처하는 작 용을 한다(Oh, 2004). 또한 에션설 오일은 스트레스 완 화와 육체적 피로에효과적이고 신경계의 변화를 유 도해서 수면의 질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도 알려져 있다(Kim et al., 2018). 천연 에센셜 오일 은 흡입법, 습포법, 확산법, 족욕법, 목욕법 등 다양하 게 활용되고 있다(Hong and Kim, 2014). 가장 전통적 인 활용은 흡입법으로 호흡을 통하여 아로마가 전신 으로 흡수되는 가장 빠른 오래된 방법으로(Buckle, 2014) 코나 피부 등을 통하여 체내에 유입시켜 신체나 심리 적인 영향을 준다(Lawless, 1995).

    에센셜 오일 중 클라리세이지는 리나릴 아세테이 트 성분이 많아 항경련 및 진정효과에 탁월하여 신체 와 감정 모두 조화와 균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Choi, 2019), 진경작용과 신경안정, 우울, 불안 불면, 신경피로의 이완에도 유익하다(Kim and Han, 2010). 또한 라벤더와 같이 알코올과 에스터기 함량이 높은 정유로 독성이 거의 없고 진정, 근육이완, 스트레스 감 소에 효과적(Seo and Park, 2003)이지만, 이와 관련한 연구들은 미미한 실정이다.

    아로마 테라피는 에센셜 오일의 다양한 효능을 이 용하여 신경계에 자극을 주어 생리적, 심리적 증상을 완화시키는 대체요법 중 하나이다(Umezu et al., 2001;Kang et al., 2013;Chung and Oh, 2012). 클라리세이지 의 주성분은 linalool 10~20%, linalyl acetate 60~70% 이며 아로마 오일 중 라벤더(Lavender), 라벤더 스파 이크(Lavender spike), 마조람 스위트(Marjoram sweet) 가 함유되어 있으며, 신경 진정, 항우울, 신경강화에 좋은 아로마 오일이다(Battaglia, 2015;Ko et al, 2021).

    휘발성 성분인 linalyl acetate의 함유량이 많은 오일 은 아로마 테라피의 흡입요법에 활용시 육체적, 정신 적 안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Lee et al., 2017a). 수면 질이 좋은 피험자와 수면 질이 나쁜 피험 자를 대상으로 라벤더를 흡입한 향기요법을 사용하 여 뇌파를 측정한 결과 수면질이 좋은 사람은 알파파 (α)를 감소된 반면, 세타파(θ)가 증가된 결과를 보였 으나, 수면질이 나쁜 사람은 세타파만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Jung and Choi, 2012). 또 다른 연 구로 마조람 오일의 향기요법으로 사용하여 뇌파를 측정한 결과 수면을 유도하는 세타파가 증가하는 결 과가 도출(Jang and Choi, 2012)되었고, 라벤더를 흡입 시켜 심박변이(HRV, Heart Rate Variability)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단기적으로 부교감신경의 증가와 수면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Chein et al., 2012).

    이는 linaly acetate 함량이 높은 클라리세이지가 족 욕시 세타파가 활성 된 결과(Fig. 3)와 유사하다. 클라 리세이지를 이용한 족욕시 세타파를 활성시키며, 족 욕 시작 후 가장 많이 활성 된 세타파는 클라리세이 지를 이용한 족욕시 이완상태를 넘어 편안한 가수면 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인다. 가장 전통적인 방법은 흡 입법으로 호흡을 통하여 전신으로 흡수되는 가장 빠 른 오래된 방법으로(Buckle, 2014) 코나 피부 등을 통 하여 체내에 유입시켜 신체나 심리적인 영향을 준다 (Lawless, 1995). 또 다른 전통적인 방법 중 하나인 족 욕요법은 신장병이나 발의 부종 및 체내에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시켜주는 요법으로 뜨거운 물에 발을 담 금으로써 발에 있는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혈액순환 및 부교감신경 활성을 증가하여 근육을 이완 및 피로 완화에 효과가 있다(Saeki. 2000). 족욕은 하지의 혈관 확장을 통해 혈류량과 혈관 내벽에 전단응력을 증가 시키고(Padilla et al., 2017), 하지뿐 아니라 상지에서의 혈류량과 혈관 내벽의 전단응력을 유의하게 증가시 켜 혈관 및 부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Cater et. al., 2014). Linalool의 함유량이 높은 Lindera umbellata 에셀셜 오일 족욕요법의 경우 부교감 신경계 활동을 증가시키고 긴장, 불안, 우울, 피로 회복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보고 되고 있다(Kitajima et al., 2021). 또한, 아로마 오일을 브랜딩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마 사지와 족욕을 시행한 결과 스트레스 감소, 기분 상 승, 체온의 상승, 수면의 만족도 개선효과가 있으며(Lee et al., 2017b), 암환자에게 아로마를 이용한 족욕을 시 행한 결과 수면질의 호전도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신체적·정신적 스트레스 호전에는 유의하게 작용하 였다(Kim et al., 2021). 이러한 족욕요법의 효능 연구 가 근경도, 채혈, 소변, 심박변이, 땀 성분 분석 등 다 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Lee and Lee, 2012). 그 러나 아로마 테라피와 족욕을 함께 진행하는 에센셜 오일 족욕효과에 대한 정량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은 매우 부족하다. Kim et al. (2018)은 족욕과 에센셜 오 일 족욕의 효과를 뇌파와 감성반응으로 연구하여 라 벤더 족욕이 일반 족욕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 하였으나 이러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관련 연구결과가 미흡하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에센셜 오일 족욕 효과에 대한 연구의 축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클라리세이지 에센셜오일 을 흡입과 족욕요법에 적용시 효과를 30대 여성을 대 상으로 정성적인 방법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정 량적 효과의 평가는 정량뇌파(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y, QEEG)로 평가하고 정성적인 효과는 감 성반응으로 평가하였다. 정량적 효과와 정성적 효과 의 상관성을 감성반응과 뇌파반응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2. 재료 및 방법

    2.1 실험대상

    후각기능이 정상적이고 심리적으로 불안상태가 없 는 3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피험자 선발시 실험의 목적과 실험 과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한 후 이에 자 발적으로 동의한 여성 25명에 한하여, Kim et al. (2018) 이 제안한 방법에 따라 좌뇌와 우뇌의 배경뇌파의 리 듬이 대칭적이고 안정적인 정상 알파파 패턴을 가진 21명에 대해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피험자의 평균연 령은 35.8 ± 2세 이었다.

    2.2 클라리세이지 에센셜 오일

    실험에 사용된 클라리세이지 에센셜 오일은 불가 리아산(Naturebase Inc., Korea)으로, 주성분은 Linalool (10~20%), linalyl acetate (60~70%), caryophyllene (1.5 ~2.5%), α-terpineol (0.5~2.5%), geraniol (trace~1.5%), neryl acetate (0.3~1.0%), sclareol (0.5~2.0%), germacrene D (3.0~5.0%)이다(Battaglia, 2015).

    2.3 클라리세이지 오일 흡입방법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농도는 희석제인 무취의 포 도씨 오일에 향 성분의 농도를 0(무취), 0.01 ,0.1, 1, 10, 100%가 되도록 제조하였다(Jung et al., 2015). 농도 조 절한 클라리 세이지 오일을 시향지에 묻혀 코와 일정 한 거리를 유지하고, 향이 대기 중 확산되지 않도록 코로 흡입하기 위하여 유리관이 장착된 후각 측정용 마스크를 사용하였다. 클라리세이지 오일 20 μL은 pippet 을 사용하여 시향지(2 cm × 5 cm)에 각각 떨어뜨린 후, 후각 측정용 마스크를 피시험자 코의 거리와 약 5 cm 가 되도록 놓아 피험자가 냄새를 맡도록 하였다. 시 료 냄새를 맡는 동안 QEEG 32 system (Laxtha Inc., Korea)을 사용하여 2분 간격으로(Seo and Park, 2003) 20초씩 뇌파를 수집하였다.

    2.4 클라리세이지 오일 족욕 방법

    실험에 사용한 족욕기는 Classic SH-1000 (Dongkook pharmaceutical, Korea)을 사용하였다. 족욕기에 피험 자의 발목이 잠길 정도로 물을 채우고 클라리세이지 오일 7 mL를 첨가하여 수온을 38°C로 유지하였다(Lee et al., 2003;Sung and Tochihara, 2000). 족욕은 피험자 가 편안한 의자에 앉아 눈을 감은 상태에서 12분간 실 시하였다. 족욕을 하는 동안 뇌파 생리신호(EEG)는 0.5, 2.5, 4.5, 6.5, 8.5, 및 10.5 min 경과 시점에서 각각 20초 동안 수집하였다(Kim et al., 2018).

    2.5 뇌파측정과 감성평가

    뇌파 측정 실험은 빛, 소음 등의 외부인자의 방해를 배제하기 위하여 방음시설과 배기 시설을 갖춘 후각 측정 챔버(4 m × 4 m × 25 m)에서 실행하였다. 측정 챔 버의 환경은 23~25°C의 상온, 습도 40~50% 및 조도 20~60 lux 로 유지하였고, 매 시험 후에는 환기장치를 가동하여 공기 중 잔향을 제거하였다. 피험자의 바탕 뇌파는 무자극의 편안한 상태에서 눈을 감은 상태에 서 30초 동안 측정하였고 이를 3회 반복하였다.

    뇌파 수집은 통과필터 0.5~50 Hz,와 256 Hz로 측정 하였고, 12-bit AD변환에 의해 컴퓨터로 저장되었다. 뇌파 측정을 단극 유도법으로 수행하였고, 센서의 부 착 부위는 국제 10-20 전극배치법의 기준전극(A1, A2) 과 21개 부위이다(Fig. 1). 피험자에게 향 자극을 가한 후 후각세포의 냄새순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 10 분 이상 휴식하도록 하였다. 클라리세이지 흡입법과 족욕법에 따른 감성평가는 선행연구(Kang et al.. 2013;Jung et al., 2015;Chang et al., 2017;Kim et al., 2018) 에서 사용된 6쌍의 감성 형용사로 평가하였다.

    2.6 데이터 분석

    수집된 뇌파 데이터는 TeleScanTM (Ver.2.99) 프로그 램을 이용하여 선행연구방법(Kang et al.. 2013;Jung et al., 2015;Chang et al., 2017;Kim et al., 2018)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집된 뇌파는 안면 근육과 눈 굴림의 움 직임에 영향을 많이 받는 델타파(0~4 Hz)는 제거하고, 나머지 주파수 대역(4~50 Hz)의 파워 스펙트럼을 FFT (Fast Fourier Transform)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분석 하였다. 4개의 주파수 대역(θ파 4~8 Hz, α파 8~13 Hz, β파 13~30 Hz, γ파 30~50 Hz)별 상대 파워값(Relative Power Values, RPVs)을 분석하였다. 또한, α파는 느린 α파(8~11 Hz)와 빠른 α파(11~13 Hz)로 세분하여 해석 하였고, β 파는 4개의 주파수 영역(낮은 β파: 13~15 Hz, 중간 β파: 15~20 Hz, 및 높은 β파: 20~30 Hz)로 세분하 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SEF50과 SEF90의 모서리주파 수(Spectral Edge Frequency, SEF)도 분석하였다. 자극 물에 의한 뇌파의 변화를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brain wave; CVB)로 분석하였다. CVB는 향 자극이 없는 바탕뇌파의 상대 파워값 대비 (바탕 뇌파 - 자극 뇌파)의 상대 파워값의 변화율이다. 뇌의 각성(활성도)을 나타내는 뇌파지표인 SEF50과 긴장과 스트레스를 나타내는 뇌파 지표인 SEF90의 변화는 배 경뇌파의 평균값 대비 각 자극에 대한 모서리 주파수 값의 편차로 평가하였다.

    각 자극물에 대한 피험자의 향의 강도와 감성평가 의 자료는 통계 분석을 하였다. 6개의 감성 형용사 쌍 의 척도 값은 평균 선호도 지수(Average Preference Index; API)로 분석하였다(Chang et al., 2017;Kim et al., 2018). 수집한 뇌파값의 통계분석은 반복측정 분 산분석(One way Repeated Measures ANOVA)으로 수 행하였다. 통계분석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은 IBM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집단간의 차이가 어디에 있는지 를 검증하는 사후 검증은 Tukey 분석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95%에서 검증하였다.

    3. 결 과

    3.1 클라리세이지 흡입법에 따른 뇌파의 변화

    클라리세이지 에센셜 오일의 흡입 농도변화에 따 른 상대 뇌파값과 뇌파변동계수를 brain map으로 Fig. 2에 도시하였다. 향 자극이 없는 바탕뇌파의 상대 뇌 파값은 뇌의 전체 피질영역에 대한 상대 세타파(RT), 상대 알파파(RA), 상대 베타파(RB)파 및 상대 감마파 (RG)는 각각 0.19~0.29, 0.41~0.45, 0.22~0.24 및 0.04~ 0.06 이었다.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brain map에서 θ파와 α파가 비활성화되었고, β파와 γ파가 활성화되었다(Fig. 2). 이러한 현상은 클라리세이지 흡입 농도가 1%일 때 뇌 파의 변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α파는 클라 리세이지 흡입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화되다 가 1%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화 정 도가 감소하고 100% 농도에서는 바탕뇌파와 유사하 였다(Fig. 2). 이 α파를 세분화하며 살펴보면, 느린 알 파파(Relative Slow Alpha; RSA)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 라 점점 더 비활성화되지만, 빠른 알파파(Relative Fast Alpha; RFA)는 1% 농도 이하에서는 비활성화되다가 1% 이상으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화 정도가 감소하고 100% 농도에서는 오히려 활성화되었다(Table 1).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활성화된 β파를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느린 베타파(Relative Low Alpha; RLB)는 0.01% 이하의 농도에서는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비활 성화 되었지만 흡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거의 선형 적으로 증가하였고, 0.1% 이상의 농도에서는 활성화 정도가 증가하였다.

    중간 베타파(Relative Mid Beta; RMB)와 높은 베타 파(Relative High Beta; RHB)는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모두 활성화되었고, 1% 농도에서 가장 활성화 되었 다(Table 1). 집중력과 우울증 및 불안장애 개선을 나 타내는 주파수 12-15 Hz 영역의 뇌파지표 RSMR (Relative sensorimotor rhythm)은 상대뇌파값과 뇌파 변동계수 모두 흡입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선형적으 로 활성화 되었다. RSMR은 1% 미만의 저농도에서는 바탕뇌파에 비하여 비활성화가 진행되었지만, 10%와 100%의 고농도에서는 반대로 활성화되었다(Table 1).

    모서리 주파수인 SEF50 (각성(활성도) 뇌파지표)와 SEF90 (긴장 및 스트레스 뇌파지표)은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모두 활성화되었다. SEF50와 SEF90은 바탕뇌파 대비 각각 1.2~1.5 Hz와 1.9~3.6 Hz 증가하였다(Table 1). 모서리 주파수(SEF50와 SEF90)의 증가는 클라리세 이지 농도가 1%에서 가장 두드러졌다. 각 뇌파지표 들(RT, RA, RB, RSA, RFA, RLB, RMB, RHB, RSMR, ΔSEF50, ΔSEF90)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12).

    3.2 클라리세이지 족욕에 따른 뇌파의 변화

    클라리세이지 오일을 함유한 온수(38°C)로 족욕을 하는 동안 시간 경과에 따른 상대 뇌파 뇌파변동계수 에 대한 brain map을 Fig. 3에 도시하였다. 에센셜오일 족욕 시작 전 피험자들의 바탕뇌파는 α파 비율이 가 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θ파 > β파 > γ파 순이었다.

    족욕을 시작함에 따라 θ파는 활성화되기 시작하였 고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더욱 더 활성화되었다. α파 와 γ파는 족욕에 의해 비활성화 되었으며, α파와 γ파 의 비활성화 정도는 서로 역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α 파 보다 γ파의 비활성화도가 크고, α파의 비활성화도 와 γ파의 비활성화는 역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즉, α 파는 족욕시간 6.5 min 까지 비활성화가 증가하였지 만 γ파는 비활성화가 감소하였고, 족욕시간이 6.5 min 이상 경과시 α파는 비활성화가 감소한 반면 γ파는 비 활성화가 증가하였다. β파는 족욕에 의해 다소 비활 성화 되었으며, 6.5min까지는 변화가 미미하였으나 그 이상 경과에 따라 비활성화가 다소 증가되었다(Fig. 3).

    최종적으로 클라리세이지 족욕 시간 10.5 min 경과 후에 뇌 각 부위의 전체에 대한 θ파, α파, β파, γ파의 평균 뇌파변동계수는 바탕뇌파 대비 각각 63.6 ± 17.4%, -13.2 ± 7.6%, -4.9 ± 9.84% 및 -44.2 ± 28.0% 활성화 또 는 비활성화되었다. 전체적으로 클라리세이지 족욕 에 의한 뇌파 변동의 두드러진 특징은 θ파 활성화와 γ파 비활성화 이었다.

    α파를 세분화하며 살펴보면, 느린 알파파(RSA)는 족욕에 의해 비활성화되지만 빠른 알파파(RFA)는 활 성화되었다. RSA파는 족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6.5 min까지는 점점 비활성화(최대 –28.4 ± 6.96%)되었고 그 이상의 족욕시간에서는 비활성화정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RFA파는 족욕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6.5 min까지는 점점 활성화되었고(최대 –24.2 ± 8.9%) 그 이상의 족욕시간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라 활성화정 도가 감소하였다(Table 2). 세분화된 β파 중 RLB는 족 욕에 의해 활성화 되었고 중간 베타파(RMB)와 높은 베타파(RHB)는 전반적으로 비활성화 되었다(Table 2). RSMR은 족욕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RSMR 의 뇌파변동계수가 최대 18.6 ± 8.0% 까지 증가하였다 (Table 2). 모서리 주파수 SEF50과 SEF90은 클라리세이 지 족욕시 모두 비활성화되었다. SEF50은 족욕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비활성화가 증가하여 10.5분 경과 후 에는 1.03 ± 0.81 Hz 감소하였고, SEF90은 족욕에 의해 1.9-3.6 Hz 감소 되었다. 각 뇌파지표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1).

    3.3 클라리세이지 농도변화와 족욕에 대한 감성 평가 -API관계

    클라리세이지 흡입과 족욕에 대한 피험자들의 감 성반응을 선호도로 조사한 결과를 Table 3과 Fig. 4에 제시하였다.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선호도는 농도에 영향을 받았다. 전반적으로 클라리세이지는 여성스 럽고(eminine) 상쾌한(refresh) 향으로 평가되었고, 저 농도에서는 유쾌한(pleasant), 상쾌하고 신선한(fresh), 여성스럽고 부드러운(soft) 향이며, 10% 이상의 고농 도에서는 여성스럽고 상쾌하지만 텁텁(sultry)하고 거 칠(hard)고 자극적(exciting)인 향으로 평가되었다(Table 3). 클라리세이지 족욕시에는 유쾌하며, 상쾌하고 신 선하며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진정(calming)적인 향으 로 평가되었다(Fig. 4).

    6개 항목의 감성 형용사쌍에 대한 선호도의 평균 값 인 평균 선호도지수(API)는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1%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농도가 0.01%에서 1%로 증가함 에 따라 0.30 ± 0.23에서 0.99 ± 0.98로 선형적으로 증가 하였다. 반면에 1% 이상의 고농도에서 API는 농도 증 가하에 따라 선형적으로 감소하여 10%와 100% 농도 에서는 각각 –0.25 ± 1.41와 –0.44 ± 1.42으로 감소하였 다(Fig. 5a). 클라리세이지 족욕의 API는 3.6 ± 0.8로 흡 입보다 매우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평균 선호도지수 (API)와 뇌파(∆SEF50와 ∆SEF90)와의 상관관계를 Fig. 6b 에 도시하였다. SEF50과 SEF90는 API가 낮은 경우 증가 하였고, API가 클수록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 였다(ΔSEF50: r2= 0.79, ΔSEF90: r2= 0.93).

    4. 고 찰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뇌파 변화의 특징은 θ파와 α 파의 비활성화와 β파와 γ파의 활성화, RSMR, 모서리 주파수 SEF50 및 SEF90의 활성화이다. 이러한 뇌파 반 응은 클라리세이지가 안정과 이완 효과보다는 각성 과 집중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클라리세이지 흡입이 각성을 나타 내는 모서리 주파수 SEF50과 스트레스나 집중을 나타 내는 SEF90을 증가시키고 집중력을 나타내는 RSMR 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결과는 클라리세이지 흡입에 대한 감성반응이 전반적으로 여성스럽고(eminine) 상 쾌한(refresh) 향이며 고농도에서는 진정과 안정이 아 닌 거칠(hard)고 자극적(exciting)인 향으로 평가된 결 과와도 일치한다. 클라리세이지의 효능에 대한 연구 들이 미흡하지만 진정, 근육이완, 스트레스 감소에 효 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Kim and Han, 2010), 에 센셜오일의 사용 농도에 따라 수용체에 미치는 생리 학적 영향이나 감성반응 등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각 뇌파지표들과 감성반응들이 농 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클라리세이지 오일 족욕은 θ파를 활성화시키고 α 파와 γ파를 비활성화시키며, 세부적으로는 RSA, RMB, RHB를 비활성화하고 RFA와 RLB를 활성화, RSMR을 활성화시키지만 SEF50과 SEF90은 비활성화시킨다. 이 러한 클라리세이지 족욕의 효과는 라벤더 족욕효과 와 유사하며(Kim et al., 2018), Kim et al. (2018)의 연 구결과에 의하면 라벤더 족욕은 θ파를 현저히 활성 화시키고 γ파를 비활성화시킴과 더불어 RSMR를 활 성화시키고 SEF50과 SEF90를 비활성화시켰다. 이 두 연 구결과로부터 오일 족욕은 명상하거나 졸릴 때 활성 화되는 θ파가 크게 활성화시키고 심신을 이완시키고, 각성 뇌파지표 SEF50과 스트레스 뇌파지수 SEF90를 줄 여줌을 알 수 있다. 다만, 라벤더 족욕과 클라리세이 지 족욕의 차이점은 α파와 RSMR이다. α파는 라벤더 족욕에 의해 활성화되지만 클라리세이지 족욕에 의 해 비활성화되며, RSMR은 라벤더 족욕에 의한 변화 가 크지 않지만 클라리세이지 족욕에 의해 족욕시간 경과에 따라 더욱 활성화된다. 이는 에센셜 오일 족 욕의 효과가 에센셜 오일의 종류에 따라 일부 뇌파지 표가 다르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에센셜 오일 흡입법과 족욕법간의 뇌파변화를 살 펴보면, 클라리세이지 흡입과 족욕의 효과가 다르다. 클라리세이지 흡입시 θ파와 α파가 비활성화되고 β파, γ파, RSMR, SEF50 및 SEF90는 활성화되지만, 클라리세 이지 족욕시 θ파와 RSMR가 활성화되고 α파, γ파, SEF50, SEF90는 비활성화된다. 라벤더 흡입법과 족욕법의 효 과는 라벤더 흡입시 θ파와 RSMR이 비활성화되고 α 파, β파, γ파, SEF50 및 SEF90는 활성화되지만, 라벤더 족욕시 θ파, α파, 및 RSMR가 활성화되고 β파, γ파, SEF50, SEF90는 비활성화 된다. 본 연구와 선행연구(Kim et al., 2018)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일반 족욕과 에 센셜오일 족욕의 두드러진 공통점은 θ파 활성화와 γ 파, SEF50, 및 SEF90의 비활성화이며, 같은 에센셜 오일 을 사용하더라도 흡입법과 족욕법의 효과가 다르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클라리세이지의 흡입과 족욕 요법의 공통적인 특 징은 업무 집중력과 우울증 및 불안장애를 개선하는 RSMR의 활성화이다. 즉, 클라리세이지 족욕이 이완 (θ파 활성화와 SEF50, SEF90의 비활성화) 시키면서도 업무 집중력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 결 론

    클라리세이지 아로마를 이용한 흡입 및 족욕에 의 한 뇌파와 감성 반응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클 라리세이지 흡입은 적용 농도에 따라 뇌파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지만 θ파와 α파를 비활성화시키고 β파, γ파, RSMR, SEF50 및 SEF90를 활성화했다. 흡입법은 안 정과 이완 효과보다는 각성과 집중에 효과가 있다. 클 라리세이지 족욕은 θ파와 RSMR를 활성화하고, α파, γ파, SEF50 및 SEF90를 비활성화시켰다. 족욕법이 이완 과 심신을 이완시키고, 각성과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이처럼 클라리세이지 흡입법과 족욕법 의 효과가 다르지만, 클라리세이지의 흡입과 족욕 요 법의 공통적인 특징은 업무 집중력과 우울증 및 불안 장애 개선하는 RSMR의 활성화이다. 클라리세이지 오 일의 감성적 특성은 흡입 시 농도에 따라 변화하지만, 특징적으로 여성스럽고 상쾌한 향으로 평가되었고, 클라리세이지 족욕 시에는 유쾌하며 상쾌하고 신선 하며 여성스럽고 부드러운 진정(calming)적인 향으로 평가되었다. 클라리세이지는 흡입법보다는 족욕법에 서 더 높은 감성적 선호도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 과는 클라리세이지 족욕이 이완(θ파 활성화와 SEF50, SEF90의 비활성화) 시키면서도 업무 집중력을 높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로마 효능은 정성평가와 더불어 정량뇌파와 같이 정량적인 과학적인 분석기 법을 통해 객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감사의 글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NRF-2020RA1A6A1A03044977).

    <저자정보>

    김은영(겸임교수), 류희욱(교수)

    Figure

    JOIE-22-2-109_F1.gif

    10-20 system EEG placement.

    JOIE-22-2-109_F2.gif

    Brain maps of relative power values in background EEG and CVBs induced by Clary sage oil inhale for relative theta wave (RT), relative alpha wave (RA), relative beta wave (RB) and relative gamma wave.

    JOIE-22-2-109_F3.gif

    Brain maps of relative power values in background EEG and CVBs induced by Clary sage oil foot bath for RT, RA, RB and RG.

    JOIE-22-2-109_F4.gif

    Preference index for aromatherapy foot bath with Clary sage essential oil.

    JOIE-22-2-109_F5.gif

    (a) API for Clary sage oil and Clary sage oil foot bath and (b) relationship between API and SEFs.

    Table

    Changes of EEG indices by an aromatherapy

    Changes in EEG indices by an aromatherapy foot bath using Clary sage oil

    Preference index for aromatherapy inhale with Clary sage essential oil

    Reference

    1. Battaglia. S. ,2015. The Complete Guide to Aromatherapy. Foundations & Medica, Second edition.
    2. Buckle, J. ,2001. The role of aromatherapy in nursing care. Nursing Clinic of North America. 36(1), 57-72.
    3. Buckle, J. ,2014. Clinical Aromatherapy-E-Book: Essential oils in Practice. Elsevier ealth Sciences.
    4. Carter, H. , Spence, A. , Atkinson, C. , Pugh, C. J. , Cable, T. , Thijssen, D. , Naylor, L. , Green, D. ,2014. Distinct impacts of blood flow and temperature on cutaneous microvascular adaptation.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46(11), 2113-2121.
    5. Chang, Y. J. , Kim, M. K. , Ryu, H. W. ,2017. Effects of inhalation of oxides (caryophyllene oxide, eucalyptol, and linalool oxide), the major ingredient of essential oils, on human emotions and EEG response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4), 410-4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ung, M. Y. , Oh, J. S. ,2012. The Comparison between the Effects of the Meridian Massage and Aroma massage on Stress, Anxiety Level and Abdominal Circumference in Female College Students. Asian Journal Beauty Cosmetol 10(3), 709-715.
    7. Chein, L. W. , Cheng, S. L. , Liu, C. F. ,2012. The effect on lavender aromatherapy on autonomic nervous system in midlife women with insomnia. Evidence Based Complement. Alternative Medicine, Article ID 740813,
    8. Choi, S. W. ,2019. Effects of Aromatherapy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of the elderly woman with depression and sleep disorders. Hoseo university.
    9. Hong, S. J. , Kim, E. H. ,2014. Effects of aroma head and neck massage on sleep disturbance and problematic behaviors, depression, blood serotonin, blood cortisol, and the vital signs on elders with dementia. Korean Review of Crisis & Emergency Management 10(9), 7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H. N. , Choi, H. J. ,2012. Effects of origanum majorana essential oil aroma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of female young adults with sleep disorders. Journal of Life Science 22(8), 1077-10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ung, S. M. , Kim, M. K. , Ryu, H. W. ,2015.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of jasmine oil on brain activity and emotion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4(4), 270-2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ang, S. Y. , Kim, M. K. , Ryu, H. W. ,2013.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of lavender oil on brain activity. The Korean Society for Aesthetics and Cosmetology 11(6), 1099-11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B. S. , Chae, S. H. , Hwang, I. C. ,2021. The effects of aroma foot baths on stress and sleep in terminal cancer patients. Korean Societ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24(2), 109-115.
    14. Kim, J. , Han, C. J. ,2010. The Effect of Decreasing on Stress, Depression and Climacteric symptoms Using the Rose and Clarysage Essential oil Body Massage in Korean Middle-aged women. Asian Journal Beauty Cosmetol 8(4), 1-10.
    15. Kim, E. Y. , Kim, M. K. , Ryu, H. W. , Kim, S. T. ,2018. Comparison of relaxation and calming effect of foot bath and lavender foot bath by EEG and emotional responses analysi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7(2), 122-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tajima, M. , Miura, M. , Nanashima, N. , Tomisawa, T. , Takamagi, S. , Fujioka, M. , In, N. , Osanai, T. ,2021. Psychological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footbath using the lindera umbellata essential oil. Molecules 26(17):5128.
    17. Ko, L.-W. , Su., C. H. , Yang, M.-H. , Liu, S. Y. , Su, T. P. ,2021. A pilot study on essential oil aroma stimulation for enhancing slow-wave EEG in sleeping brain. Scientific reports 11(1), 1078.
    18. Lawless, J. ,1995.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s: The complete guide to the use of oils in aromatherapy and herbalism. Harper Collins Publishers.
    19. Lee, E. J. , Kim, B. S. , Sa, I. H. , Moon, K. E. , Kim, J. H. ,2011. The Effects of armatherapy on sleep disorders, satisfaction of sleep and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3(6), 615-6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E. K. , Shin, M. C. , Jung, S. H. ,2017a. Volatile compound analysis and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Perilla frutescens, and Zanthoxylum piperitum essential oils. Asian Journal of Beauty & Cosmetology 15(3), 355-3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J. H. , Seo, E. K. , Shim, J. S. , Chung, S. P. ,2017b. The effects of aroma massage and foot bath on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in stroke patients. The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9(8), 1292-12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M. , Lee I. H. ,2012. The effects of foot relaxation management and foot bath of menopausal women, estradiol and cortisol.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Beauty and Artist, 13(1), 53-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Y. J. , Kown, J. S. , Yu, S. J. ,2003. The Effect of Foot-bath on Fatigue in Nursing Students on Clinical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9(1), 94-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Min, K. M. ,2015. The effect of inhaling orange, lavender and chamomile roman aromas on the quality of sleep and fatigue of shift working nurses. Chung-Ang University.
    25. Oh, H. K. ,2004. Easy well-being Natural Healing. JunghanPNP. seoul.
    26. Padilla, J. , Fadel, P. J. ,2017. Prolonged sitting g leg vasculopathy: Contributing factors and cclinical implications. American Journal of Physiology-Heart and Circulatory Physiology, 313(4), H722-H728.
    27. Saeki, Y. ,2000. The effect of foot-bath with or without the essential oil of lavender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a randomized trial. Complementary Therapies in Medicine 8(1), 2-7.
    28. Sung, E. J. , Tochihara, Y. ,2000. Effects of bathing and hot footbath on sleep in winter. Journal of Physiological Anthropology and Applied Human Science 19(1), 21-27.
    29. Seo, H. K. , Park, K. S. ,2003. A Study on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using Clarysage Essential Oil on Stress in Middle-Aged Women. Korea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1), 70-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Umezu, T. ,2000. Behavioral effects of plant-derived essential oils in the geller type conflict test in mice. Japanese Journal of Pharmacology 83(2), 150-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