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은 대기권 하층에서 태양복사가 있을 때 광화 학반응을 통해 오존(Ozone, O3)과 2차 유기에어로졸 (Secondary Organic Aerosol, SOA)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Finlayson-Pitts and Pitts, 1997;Duan el al., 2008;Suthawaree et al., 2012). 이러한 O3과 SOA는 대기질 및 인체건강, 작물 수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주요 구성요소이며(Krupa et al., 2001;Van Zelm et al., 2008), 대류권의 적외선 복사 재방출 등으 로 기후 변화를 야기한다(IPCC, 2007). VOCs는 주로 자연에서 배출되는 자연 유래 휘발성 유기화합물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과 페 인트 및 인쇄업 등 산업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 사용, 화석 연료의 사용 등 인위적 활동으로 배출되 는 휘발성 유기화합물(Artifici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AVOCs)로 구분된다(Wang and Zhao, 2008). 인위적인 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일부 유해대기오염물 질(Hazardous air pollutants, HAPs)은 높은 농도에 장 기간 노출 시 암을 유발하거나, 생식기관에 영향을 미 치는 등 건강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준다(Sahu, 2012;Pandey and Sahu, 2014). 이러한 HAPs 중 VOCs의 대 표적인 물질로는 벤젠(Benzene, BZ), 1,3-부타디엔(1,3- Butadiene, BTE), 포름알데하이드(Formaldehyde, HCHO), 염화비닐(Vinyl chloride, CE) 등이 있다. 특히 BZ은 국 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서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 내에서도 2007년부터 대기환경기준 항목으로 포함되 어 대기 중 연평균 5 μg/m3 이하의 대기 중 농도로 관 리되고 있다(IARC, 2016).
국내 VOCs에 대한 배출량은 대기정책지원시스템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 CAPSS)에 의해 산정· 관리되고 있지만, 도로/비도로 오염원과 비산배출공 정에 대해서는 아직 관련 자료의 정확성이 매우 낮은 편이다(SIT, 2020). 인체위해도 및 대기 중 O3과 SOA 생성의 관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VOCs의 배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VOCs 배출원에 대한 배출원 정보 파악이 필요하다. Liu et al. (2008)은 중국 의 생물성 연소, 석유화학 공업 지역의 대기 시료를 채취하여 각 배출원의 배출원 목록(Source profile)을 작성하였고, Shen et al. (2018)은 중국 중부지역의 특 정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도장공정, 그라비아 인쇄 공 정, 오프셋 인쇄 공정에 대한 VOCs 배출원 목록을 작 성한 사례가 있다. Jeon et al. (2005)는 국내 여수 산단 에서 배출되는 VOCs에 대한 오염원 분류표 개발 연 구를 진행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석유화학 공정이 주된 배출원인 여수 산단에 국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모델구축을 목적으로 추진된 연구결과로 국내 산업 단지에 대한 배출원 목록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대기 중 VOCs의 분석에는 공정시험법상 고체흡착 관이나 테들러백, 캐니스터를 사용하여 시료 채취 후, 실험실에서 기체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GC) 등의 분석장비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Krol et al., 2010). 하지만 공정시험방법은 정확한 데이터를 제공해 줄 수 있지만 측정분석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점을 보완 하기 위해 VOCs 개별 물질에 대한 정성 및 정량 분석 이 실시간으로 가능한 분석장비인 Proton transfer reac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PTR-ToFMS) 를 활용하면 시료의 전처리 과정이 생략되고 시 료 주입 후 분석까지의 소요시간도 비교적 짧다. PTRToF- MS는 H3O+ 이온을 생산하는 이온화원(Ion source), H3O+와 VOCs 사이에서 양자전이 반응을 하는 이온 이동도관(Drift tube) 그리고 생성된 이온의 검출을 위 한 비행시간 분석 챔버와 같이 크게 세 부분으로 구 성되어 있다. VOCs 물질은 양자전이반응 메커니즘을 통해 분석된다. 양자전이반응은 화학적 이온화 방법 의 하나로, GC-MS의 이온화 방법인 전자충격이온화 (Electron impact ionization) 방법에 비하여 매우 낮은 에너지 반응으로 생성물의 형성과정에서 전자전달이 일어나지 않으며, 반응물의 조각화 경향이 매우 적은 장점이 있고, PTR-ToF-MS의 이온화원에서 발생된 H3O+는 H2O 분자보다 낮은 양자친화력(Proton affinity, PA)을 가지고 있는 성분(O2, N2, CO2 등)과는 잘 반응 하지 않는다(Oh et al., 2022). VOCs의 대부분은 H2O(165 kcal/mol)보다 더 큰 양자 친화력을 가지고 있 어 쉽게 반응한다(Park et al., 2018). 보편적으로 사용 하는 H3O+ 모드의 경우, 동일한 질량을 가진 이성질 체는 분리가 되지 않아, 이외의 시약 이온(O2, NO+)을 사용하여 이성질체를 분리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 다(Koss et al., 2016). 이러한 이유로 PTR-ToF-MS를 이 용한 VOCs 분석 연구가 국내·외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대부분 도심이나 산업단지 주변 지점의 VOCs 분석에 치중되어 있으며, 실제 산업 공정에서 배출되 는 VOCs를 측정하는 사례는 미비한 실정이다(Park et al., 2018;Jeong et al., 2022;Oh et al., 2022). 최근에는 PTR-ToF-MS와 같은 첨단장비를 활용하여 대기오염 물질 불법배출 집중관리를 하고 있지만(Jeong et al., 2022), 산업단지에 혼재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배출 되는 VOCs 배출원 목록을 먼저 구축하지 않는다면 대기오염물질 불법배출 단속 시 근본적인 원인규명 과 개선방안 마련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 럼 PTR-ToF-MS를 활용하여 별도의 전처리 없이 다양 하고 많은 양의 배출구 시료를 빠르게 분석하여 배출 원 목록을 작성하고, 작성된 목록을 기반으로 한 업 종별 VOCs 배출 저감 대책 수립과 산업단지 내 대기 오염물질 불법배출 사업장 관리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A 산업단지에 배출가 스 중 VOCs를 채취하고, PTR-ToF-MS를 이용하여 측 정 및 분석하였다. 배출량이 높은 상위 업종에서 배 출되는 VOCs 농도를 파악하고, 각 업종에서 주로 배 출되는 VOCs의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여 향후 A 산업 단지의 VOCs 저감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 공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2.1 측정 대상 업종 및 시료채취
산업단지에서 배출되는 VOCs에 대한 배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A 산업단지를 선정하였고, 지리 적 위치는 Fig. 1과 같다. A 산업단지 내에는 식료품 제조, 섬유제품 제조,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 금속 가공제품 제조, 1차 금속 제조 등 다양한 업종이 분포 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대기오염물질 분석 대상 사 업장 중 복합악취 희석배수가 500배 초과 사업장 82 개소와 희석배수는 500배 이하이지만 A시에서 문제 가 된 의심사업장 30개소를 합쳐 총 112개로 선정하 였고, 그중 A 산업단지에서 채취한 시료의 사업장의 사업자등록증을 토대로 업종을 조사한 결과 총 26개 의 업종으로 나눠졌으며, 측정 대상 사업체는 총 99개 소였다.
업종별 배출가스 중 VOCs 시료 채취는 대기오염공 정시험법 ES 01113.a에 준하여 사업장 방지시설의 배 출구에서 채취가 이루어졌다. 간접흡인상자에 테들 러백을 연결하였으며, 테들러백은 시료 채취 전 고순 도 질소로 3회 주입 및 배기를 반복하여 세척하여 측 정 데이터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대표성을 위하여 업종별 동일한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하는 것이 좋으 나, 본 연구에서는 복합악취 희석 배수를 초과한 사 업장과 의심 사업장 위주로 많은 시료 채취가 이뤄졌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조사한 업종별 시료개수는 사 업장별로 차이가 있으며(사업장별 1~4개 시료), 총 144 개의 시료를 채취하였다.
2.2 채취 시료의 VOCs 농도 분석
본 연구에서의 VOCs의 측정은 PTR-ToF-MS (IONICON 社, PTR-TOF 1000)를 활용하였다. 시료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채취 당일 분석을 원칙으로 하 였다. 테들러백을 PTR-ToF-MS에 연결하여 측정 한 후 데이터 분석 시 유의미한 강도(Intensity)를 가진 VOCs 33종을 선정하였으며, 각 물질별 일반사항과 세계보 건기구(WHO) 산하에 있는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에서 분류한 발암성분류와 U.S. EPA 에서 분류한 발암성 등급을 아 래 Table 1과 같이 정리하였다.
다양한 물질 분석을 위해 H3O+, NO+, O2 + 모드를 자 동으로 변경하는 모드인 Automated measurement and evaluation (AME) 모드를 이용하였으며, 이동도관의 전압은 350, 600V, 온도는 80°C로 설정하였다. PTRToF- MS는 분석물질에 대한 정량을 위해 두 가지 방 법이 제시되는데, 이온의 통과율을 이용하는 방법과, 물질별 교정곡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Kim et al., 2017). 하지만 물질별 교정곡선을 이용하는 방법의 경 우, 표준물질 수급에 대한 어려움이 있어, 본 연구에 서는 이온의 통과율을 이용하는 방법을 TO14A (Restek 社)를 이용하여, 장비의 정상 작동유무를 확인하였다.
2.3 업종별 VOCs 배출량 산정 및 배출원 목록
화학물질 배출·이동량 정보(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PRTR)는 각 업체에서 한 해 동안 제조 하거나 사용한 화학물질의 양을 기반으로 대기 중으 로 배출되는 VOCs 배출 및 이동량을 산정한다. 그러 나 이러한 방법은 일종의 VOCs 배출 추정값이며, 배 출업소에서 실질적으로 배출되는 VOCs 배출량을 정 확하게 정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업종별로 조사한 개별 VOCs 농도와 굴뚝의 유속 및 직경, 배출구 온도 등의 정보를 토대로 재 작성하였다. VOCs 배출량은 조업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업종별 조업 시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향후 추가 연 구를 통해 업종별 조업시간에 대한 적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모든 업종에 대해 연간 VOCs 배출량을 국내 평균 조업시간(조업시간 8시간 기준, 300일)으로 통 일하였으며, 아래 식 (1)과 같이 배출량을 재산정하였다.
이때, Ci는 개별 VOCs 물질의 농도(g/m3)이고 D는 배출구의 직경(m), ν는 배출유속(m/s)이다. 8.64 × 106 은 단위시간 변환에 따른 상수이며, 농도와 유량 계 산 시에는 배출구 내부 온도(T, 단위: °C)를 보정하여 배출량 산정 시 발생 가능한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A 산업단지의 VOCs 배출량
배출량은 해당 사업장이 얼마나 많은 양의 VOCs가 대기환경 중에 배출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이며, 향후 VOCs 저감대책 수립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TR의 경우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실제 측정치를 기준으로 배출량을 산정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본 연 구에서는 실제 가장 많은 배출량을 가진 사업장을 선 정하기 위하여 식 (1)을 통하여 배출량을 재조사하였 다. 재산정된 A 산업단지의 26개 업종의 VOCs 총 배 출량은 24,251 g/년으로 계산되었다. 해당 배출량은 본 연구에서 측정한 VOCs 기준으로 재산정한 배출량이 기 때문에 VOCs 항목이 더 늘어나게 된다면 배출량 은 변경될 수 있다. 상위 4개의 업종과 나머지 22개 업 종의 배출량 조사 자료를 Table 2와 같이 정리하였으 며, 상위 4개의 업종은 금속 가공제품 제조,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 하·폐수 및 분뇨 처리업 순으로, A 산업단지 전체 배출량의 63% 를 차지하였다. 실제 업종별 시료 채취 수의 차이로 배출량이 상이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 인쇄 산업(print industry)의 경우 시료 채취 수는 적지만 두 번째로 높 은 배출량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시료 채취 수가 배출량의 큰 영향을 끼치지는 않는 것 으로 판단하였다.
3.2 업종별 VOCs 특성
상위 4개 업종별로 분석한 개별 측정물질의 대한 평 균 농도와, 개별 측정물질의 합을 총 비메탄 휘발성 유기화합물(Total 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TNMVOCs)로 나타냈고, Table 3과 같다. VOCs는 메탄(Methane, CH4)과 비메탄 휘발성유기화합 물(Non-metha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NMVOCs) 로 분류된다. NMVOCs의 의미는 VOCs와 동일하지 만 CH4이 제외된 것을 의미한다. TNMVOCs의 경우 모든 NMVOCs 의 전체 합을 이야기 하지만 본 연구 에서는 편의 상 측정한 개별 VOCs 전체 합을 TNMVOCs로 분류하였으며, 상위 4개 업종의 TNMVOCs 농도 수준을 비교하였다. 가장 높은 농도로 측정된 업 종은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 금속 가공제품제조,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8,2545.29 ppb, 5,943.7 ppb, 1,120.34 ppb, 1,074.56 ppb 순으로 나타났다.
3.3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종의 VOCs 배출 특성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종에서의 주로 배출되는 상 위 VOCs는 Table 4와 같다. MOH, DM, EN, AAE 순 으로 나타났으며, 농도는 각 361.30 ppb, 262.95 ppb, 115.88 ppb, 115.21 ppb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종은 표 준산업분류를 통해 7가지 세부분류(도금업, 도장 및 기타 피막 처리업, 금속 열 처리업, 재생용 금속 가공 원료 제조업, 설치용 금속탱크 및 저장 용기 제조업, 금속 성형기계 제조업, 그 외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로 나눠졌으며, 세부 분류된 업종의 VOCs 농도 특성 을 Table 4 및 Fig. 2와 같이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다. 도 금업의 경우 상위 VOCs는 DM, EN, MOH순으로, 각 1,349.93 ppb, 304.45 ppb, 296.47 ppb 순으로 나타났으 며, 도장 및 기타 피막 처리업의 상위 VOCs는 MOH, DM으로 각 755.3 ppb, 416.65 ppb으로 나타났고, 금속 열 처리업과 재생용 금속 가공 원료 제조업의 상위 VOCs는 MOH로 각 226.87 ppb, 304.56 ppb로 나타났 으며, 설치용 금속탱크 및 저장 용기 제조업의 경우 는 큰 특징을 보이지 않았고, 금속 성형기계 제조업 의 상위 VOCs는 MOH, AAE순으로 839.34 ppb, 244.48 ppb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기타 1차 철강 제조업의 경우 상위 VOCs는 AAE, AC로 각 316.91 ppb, 109.45 ppb 수준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에서는 금속가공업의 유해화학물질의 경우 금속가공 공정에 따라 MOH, EN 등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인 78종의 화학물질 중 금속가공유의 구성성분으로 사 용될 수 있는 화학물질은 DM 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OSHRI, 2016). 특히 DM은 대부분 도금업에서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Table 4와 같이 표준 편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속 가공제품 제 조업의 물질별 기여율은 Fig. 2와 같으며 이전 선행연 구에서 보고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DM, MOH, EN이 전체 물질의 65%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4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의 VOCs 배출 특성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에서의 주로 배출되는 상위 VOCs는 Table 5와 같다. EA, TOL, ACT, EN, AA순으 로 나타났으며, 농도는 각각 2,041.53 ppb, 1,714.65 ppb, 1,247.12 ppb, 1,144.06 ppb, 706.51 ppb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은 표준 산업분류를 통해 2가지 세부분류(그라비아 인쇄업, 스크린 인쇄업)로 나눠졌으며 세부 분류된 업종의 VOCs 농도 특성을 Table 5 및 Fig. 3과 같이 막대그래프로 나 타내었다.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의 경우 인쇄 방식 에 따라 배출되는 VOCs의 특성이 차이가 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주로 사용하는 유기용제의 경우는 TOL, EA, ACT, MEK등으로 각 사업장별로 유기용제의 사 용에 차이가 있으며, 그라비아 사업장, 스크린, 옵셋 사업장 순으로 근로자가 유기용제에 노출되는 수준 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Byeon et al., 1998). 본 연 구에서 조사한 그라비아 인쇄업의 상위 VOCs는 EA, TOL, AA순으로, 농도는 각 4,067.78 ppb, 2,862.11 ppb, 1,292.72 ppb로 나타났다. 스크린 인쇄업의 경우는 ACT, EN, MOH, TOL 순으로, 농도는 각 7,481.3 ppb, 5,105.43 ppb, 2,589.33 ppb, 1,701.57 ppb 수준으로 나타났다. 선 행 연구에 따르면 그라비아 인쇄는 인쇄업의 1/3 이 상을 차지하고 있고, 잉크에 사용되는 유기용제로는 EA, TOL, ACT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Lee, 1991;Kang, 1996)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크린 인쇄는 망목상의 실크 위에 pattern을 만들 고, Sqieezee나 고무 로울러로 실크의 망목을 통해서 묽은 잉크를 피인쇄체로 밀어내어 인쇄하는 방식으 로 그라비아 인쇄에 비해 검출되는 유기용제의 종류 가 적으며, 대표적으로는 MOH, TOL등이 있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Byeon et al., 1998).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의 물질별 기여율은 아래 Fig. 3과 같으며 이전 선 행연구에서 보고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EA, TOL, ACT, EN, AA가 전체 물질의 83%를 차지하고 있었다.
3.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종의 VOCs 배출 특성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종에서의 주로 배출 되는 상위 VOCs는 Table 6과 같다. TOL, MOH, MEK, AAE 순으로 나타났으며, 농도는 각 254.8 ppb, 201.51 ppb, 158.24 ppb, 128.7 ppb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종은 표준산업분류를 통해 5가지 세부분류(고무의류 및 기타 위생용 비경화 고무제품, 그 외 기타 고무제 품 제조업, 벽 및 바닥 피복용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플라스틱 접착처리 제품 제조업, 플라스틱 물질 제조 업)로 나눠졌으며 세부 분류된 업종의 VOCs 농도 특 성을 Table 6 및 Fig. 4와 같이 막대그래프로 나타내었 다. 고무의류 및 기타 위생용 비경화 고무제품의 경 우 MOH, AAE, AC, TOL 순으로 각 농도는 71.28 ppb, 69.25 ppb, 59.63 ppb, 44.62 ppb로 나타났으며, 그 외 기 타 고무제품 제조업은 AAE, EN, TOL, MOH, CP순으 로 각 121.98 ppb, 101.22 ppb, 67.02 ppb, 66.95 ppb, 57.27 ppb로 나타났고, 벽 및 바닥 피복용 플라스틱제 품 제조업의 경우 MOH, AAE, EN, MEK, TOL 순으로 각 545.18 ppb, 208.19 ppb, 112.03 ppb, 46.73 ppb, 28.63 ppb로 나타났으며, 플라스틱 접착처리 제품 제조업 의 경우 TOL, CP, MOH, AAE 순으로 각 1,110.49 ppb, 397.32 ppb, 266.06 ppb, 231.66 ppb 순으로 나타났고, 플라스틱 물질 제조업의 경우 MEK, EN, MOH, TOL 순으로 각 725.95 ppb, 103.71 ppb, 58.08 ppb, 23.21 ppb로 나타났다. TOL의 경우 일반적으로 화학물질 제 조 또는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플라스틱 접착처리 제 품 제조업에서 TOL의 농도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플라스틱 제조업의 연간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통계에 의하면 주요 배출물질로는 TOL, MEK, MOH 등이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NICS, 2020).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 제조업의 기여율은 아래 Fig. 4와 같으며 이전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MEK, TOL, MOH, AAE, EN이 전체 물질 의 85%를 차지하고 있었다.
3.6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종의 VOCs 배출 특성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종에서의 주로 배출되는 상위 VOCs는 Table 7과 같다. TOL, MOH, H2S, EBZ 로 나타났으며, 농도는 각 1,394.28 ppb, 1,358.11 ppb, 549.44 ppb, 325.81 ppb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종은 표준산업분류를 통해 2가지 세부분류(시설관리운영 업, 폐수처리업)로 나눠졌으며, 세부 분류된 업종의 VOCs 도 특성을 Table 7 및 Fig. 5와 같이 막대그래프 로 나타내었다. 시설관리운영업의 상위 VOCs는 MOH, H2S, EBZ, CF, XYL 순으로, 농도는 각 1,123.72 ppb, 1,070.39 ppb, 645.35 ppb, 466.25 ppb, 371.44 ppb 순으 로 나타났으며, 폐수처리업의 상위 VOCs는 TOL, MOH, AC, ACT순으로, 농도는 각 2,569.95 ppb, 1,592.5 ppb, 511.05 ppb, 485.99 ppb 수준으로 나타났다. 선행 연구의 환경기초시설의 VOCs 측정 결과를 보면 TOL 은 모든 장소에서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황화합물의 비율이 높다고 보고한 바 있다(Choi et al., 2018). MOH의 높은 농도는 하·폐수 처리공정 중 주입 되는 약품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의 물질별 기여율은 Fig. 5와 같으며 이전 선행연구에서 보고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서도 MOH, TOL, H2S, EBZ, CF, DMS가 전체 물질의 73%를 차지 하고 있었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PTR-ToF-MS를 활용하여 A 산업단 지의 4가지 업종에서 배출되는 VOCs 농도 특성을 파 악하고 업종별 VOCs의 배출원 목록을 작성 하고자 하였다.
-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에서 높은 농도로 배출되 는 상위 VOCs는 MOH, DM, EN, AAE로 나타났 으며,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을 표준산업분류를 통해 7가지 세부분류로 나눠 VOCs의 농도 수준 을 확인하였다. MOH는 대부분의 세부분류 업종 에서 검출되었고, DM은 도금업에서 가장 높게 검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에서 배출되는 상위 VOCs 는 EA, TOL, ACT, EN, AA로 나타났으며, 인쇄 및 기록매체 업종을 표준산업분류를 통해 2가지 세부분류로 나눠 VOCs 농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그라비아 인쇄업의 경우 EA, TOL, AA 순으로 높 은 기여율을 보였으며, 스크린 인쇄업의 경우는 ACT, EN, MOH, TOL 순으로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하는 유기용제 차이로 인해 세 부 업종별로 배출되는 VOCs가 상이한 것을 확 인할 수 있었다.
-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종에서 배출되는 상위 VOCs 는 TOL, MOH, MEK, AAE로 나타났으며, 고무 및 플라스틱 제조업종을 표준산업분류를 통해 5가지 세부분류로 나눠 VOCs 농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고무제품 제조업종보다는 플라스틱 제조업종에서 TOL, MEK, MOH 등이 높은 농도 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환 경부의 플라스틱 제조업의 연간 주요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 통계에서 나타난 주요 배출물질인 TOL, MEK, MOH와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종에서 배출되는 상위 VOCs는 TOL, MOH, H2S, EBZ으로 나타났으며, 하수, 폐수 및 분뇨처리업종을 표준산업분류를 통해 2가지 세부분류로 나눠 VOCs 농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시설관리운영업의 경우 MOH, H2S, EBZ이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폐수처리업 종의 경우 TOL, MOH, AC순으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시설관리운영업의 경우 타 업종에서는 낮은 농도로 배출된 H2S가 높은 농도로 배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산업단지의 4개의 업종에 대한 VOCs 분포와 배출농도 수준을 확인하여 각 업종별 배출원 목록을 작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산업단지는 다양한 업종이 분포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VOCs 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어 환경학적인 측면에서는 O3 과 SOA 생성의 원인이 되며, 건강학적 측면에서는 인 근 주민들에게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는 4개의 업종에 대해서 VOCs의 배출원 목록을 작성 하였지만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업종의 VOCs 배 출원 목록을 작성하여, 과학적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 고, 해당 자료를 통한 업종별 특색에 맞는 VOCs 배출 저감 정책이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