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3 pp.220-228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3.220

Feasibility of the Field Olfactometer for Direct Measurement of Complex Odor in Fields

Kyoungchan Kim1, Chunsang Lee1, Dayeong Choi1, Minji Kim2, Buju Gong2, Junmin Jeon3, Youngjin Kim4*, Jinseok Han1**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and Energy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2Air Pollution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Green Environmental Complex Center
4YoungJin Technology Co., Ltd.
* Corresponding Author: Tel: +82-31-508-0041 E-mail: yjkim@youngjintech.com
** Corresponding Author: Tel: +82-31-463-1292 E-mail: nierhan@hanmail.net
12/09/2023 21/09/2023 22/09/2023

Abstract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o measure complex odors needs to store and carry odor samples from the field sampling until the analysis in laboratories. Until the analysis of sample in the laboratory, odor dilution factor (odor sensitivity) in the sample bag may decrease over tim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dor substances. This is one of the limitation for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hus, the air dilution device enable to measure without loss in complex odors of samples. Recently, many studies on the performance test of on-site air dilution devices, i.e., field olfactometer, has been conducted to figure out the feasibility of the field olfactometers. In this study, seven odo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five odor emission source sites. And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field applicability of the olfactometer. As results, the performance of the field olfactometer used in this study is regared as the affordable method. The dilution factors from between two methods showed the similar values, indicating low values of standard deviations.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and precision of measurement data using the field olfactometer, methodology minimized variables (that may affect measurement) needs to establish.



현장에서의 복합악취 측정을 위한 현장 공기희석장치의 적용성 평가

김경찬1, 이춘상1, 최다영1, 김민지2, 공부주2, 전준민3, 김영진4*, 한진석1**
1안양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2국립환경과학원 대기공학연구과
3그린환경종합센터
4영진기술㈜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공기희석관능법은 복합악취를 측정하기 위해 우리 나라에서 사용 중인 대표적인 방법이다. 복합악취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일부 복합악취 간이측정기 가 사용되고 있으나, 비교적 정밀도 혹은 정확성이 부 족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공기희석관능법을 사용하도 록 악취 공정시험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다(ME, 2014;KEITI, 2019). 공기희석관능법은 기기분석법 대비 경 제적이라는 점과 복합악취를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 이 있다(Lee et al., 2014). 그러나 이 방법은 현장에서 악취 시료를 채취하여 실험실로 이동한 후 분석하는 방식으로, 시료 운반과정에서 시간의 괴리에 따른 시 료의 손실이 발생하여 악취의 과소평가가 야기된다 는 문제점이 있다(Han and Park, 2012). 또한, 악취 현 장에서 즉각적으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것이 불가 능하기 때문에, 배출구 또는 수용지점의 풍향 및 풍 속, 강우 등에 따라 변동성이 심한 악취의 특성을 대 변하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Han et al., 2008).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해외에서는 악 취 발생 현장에서 직접 악취세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유럽의 경우 전반적인 악취 평가는 EN13725 방법에 의해 실험실에서 동적 올펙터미터 (Dynamic olfactometry)를 사용하고 있다(CEN, 2003). 미국의 경우 10개의 주에서 현장 공기희석관능에 기 기를 이용하여 악취를 평가하고 있으며 현장평가에 활용되는 장비는 Scentometer로 기기의 카본필터에 의 해 생성된 무취공기에 현장의 악취공기를 희석하여 즉각적으로 평가한다(ASTM, 2004). 해외 국가에서 사 용 중인 현장 공기희석장치에는 St. Croix Sensory 사 의 Nasal ranger, Scentroid 사의 SM100, Barnebey Sutcliffe 사의 Box Scentometer 등이 있으며, 휴대용 구 조로 설계되어 휴대성이 좋고, 실제 악취를 직접적으 로 사람의 후각으로 판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도 현장에서 무취가스를 희석하여 악 취농도를 실시간으로 직접관능할 수 있는 형태로 현 장 공기희석장치를 구성하여 개발하는 등, 현행 악취 측정방법(공기희석관능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Chung et al., 2004;KEITI, 2019;Man et al., 2020, Kim et al., 2020;NIER, 2022). 본 연구에서는 악취배출원에서 악취시료를 채취하고, 악취시료의 공기희석배수 분석을 통한 공기희석관능 법의 문제점(시간 경과에 따른 손실)을 파악하고자 하 였다. 또한, 공기희석관능법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현 재까지 개발된 현장 공기희석장치의 성능을 평가하 여 장치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 연구 방법

    2.1 악취 시료 채취

    현장 적용성 평가에 적합한 배출원 사업장 선정은 악취민원이 빈번히 일어나거나 접수되는 시설 혹은 주요 악취배출시설을 대상지로 고려하였다. 주요 악 취배출원 중 사전답사를 통해 시료 채취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축산시설(돈사), 폐기물 처리시설, 산업 배 출시설 등 다양한 유형의 배출원 5곳을 선정하였다. 시료 채취는 간접흡인 상자(Lung sampler)를 이용한 채취 방식을 이용하여 5분 이내에 순간 채취하였으 며, 10L 알루미늄 폴리에스테르백(Top-trading eng., Korea)을 사용하였다. 부지경계 시료는 채취 대상 배 출원 5곳에서 모두 채취하였으며, 그중 2곳에서는 배 출구 시료도 병행하여 채취하였다. Fig. 1은 시료채취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Table 1은 악취 배출원의 업종 과 채취한 시료의 이름을 정리한 것이다.

    2.2 실험실 공기희석관능법

    악취공정시험기준의 공기희석관능법 “3.2 무취공 기 제조장치”에 의하면 무취공기는 공기가 흡입펌프, 실리카겔 병, 증류수, 활성탄, 공병 순으로 통과하여 무취주머니에 무취공기를 확보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ME, 2014). 본 연구에서 공기희석관능법에 사용한 무 취공기는 탑트레이딩 사의 무취공기 제조장치로서, 공기희석관능법 기준을 준용하고 있는 장치이다. 장 치는 흡입펌프와 버블 트랩, 오버플로우 트랩, 실리카 겔 트랩, 활성탄 트랩, 제올라이트 트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후 6방 활성탄조를 통해 무취공기를 최종 생산한다. 관능시험용 냄새봉지(Top-trading eng., Korea)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로, 봉지에 담긴 무취 공기를 관능하여 냄새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 후 사용하였다.

    악취의 공기희석배수는 판정인 5명의 공기희석배 수 판정 결과 중 최댓값과 최솟값을 제외한 나머지 3 개의 값을 기하평균하여 최종 결과로 도출하는 통계 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2.3 현장 공기희석장치

    현장에서 복합악취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공기희석장치 내 유량조절기의 정확성, 무취공기의 순도, 흡입 마스크 밀착도 및 흡입 유속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 현장 공기희석장치의 휴대성 을 고려하여 현장 공기희석장치에 사용할 무취공기 로서 10 L 제로에어 실린더(99.999%, Rigas, Korea)를 적용하였다. 흡입 마스크는 이취 존재 여부, 흡입구 밀 착도 및 배기구 유무, 장치 연결 용이성, 내구성 및 관 리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의료용 산소마스크를 적용 하였다. 전반적인 현장 공기희석장치의 구성도는 Fig. 2와 같다.

    장치에 연결한 마스크의 토출 유량을 비교한 결과, 오차 범위는 ±1% 이내로 확인되어 활용에 이상이 없 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현장 공기희석장치의 MFC 유 량 제어 정확성을 검토한 결과를 Table 2에 나타냈으 며, 기기 구조상 총 유량의 2/3는 벤트되고 1/3만 마스 크로 토출되도록 설계하였다(NIER, 2022).

    현장 공기희석장치의 측정 프로세스는 동작, 세척, 대기 단계의 세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측정 단계에 서는 농도를 제어하는 MFC 이후 라인에서만 희석될 수 있도록 펌프 쪽 라인의 무취공기를 차단하여 측정 하고, 세척단계에서는 외부공기를 차단하고 무취공 기 밸브만 개방하여 희석시료가 토출되는 라인을 세 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able 3, Fig. 3).

    오염도가 높은 고농도 측정 시 판정인 코의 피로도 및 순응으로 인해 판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 로 무취가스가 토출되는 세척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 도록 설계하였다. 판정요원의 측정 완료 후 세척시간 을 별도 구분 및 적용하여 측정 후 장치 라인 내부에 흡착되거나 희석된 시료가 잔존하여 다음 측정에 영 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을 최소화하였다.

    2.4 복합악취 판정단

    악취는 인지하는 사람의 민감도 따라 다양하게 해 석될 수 있으므로, 악취를 받아들이는 수용체의 특성 이 매우 중요하다(Park et al., 2006). 따라서 악취공정 시험기준의 공기희석관능법에는 악취 측정인원에 따 른 악취 평가가 일률적이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악취 판정요원의 선정과 관련한 사항을 규정 하고 있다(ME, 2014).

    본 연구의 악취 판정원의 경우 측정에 앞서 현장 공 기희석장치의 작동원리 및 사용 방법, 복합악취 측정 시행 절차 등의 교육을 통해 측정에 대한 충분한 이 해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판정원의 선정은 공기희 석관능법의 판정요원 준수사항을 이행하고 악취강도 인식시험을 통과한 인원으로 구성하였다(ME, 2014). 또한 판정인의 변경으로 인한 오차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모든 악취 측정 시 동일한 판정인으로 구성하여 참여하도록 하였다.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무취공기가 공기희석관능법에 미치는 영향 평가

    기존 공기희석관능법에는 무취공기 제조장치를 이 용하여 무취공기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ME, 2014;Kim and Kim, 2002). 본 연구에서 활용한 현장 공기희 석장치에는 Zero Air 실린더를 이용하여 무취공기를 공급한다. 무취공기 공급 방식의 차이가 악취 시료의 공기희석배수 판정에 줄 수 있는 영향 여부를 확인하 기 위하여 공기희석관능법을 준용하되 무취공기 공 급 방식만 달리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즉, 무취공기 제조장치와 제로에어 실린더 두 방식으로 구분하여 각각 같은 악취시료에 대해 공기희석배수를 측정하였다.

    악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는 채취된 시료 의 습도 유무이다(Lee et al., 2016). 현행 공기희석관능 법에서는 시료 내의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수분응축 관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ME, 2014). 이는 시료 내 의 습도에 따라 판정인의 공기희석배수 판정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무취공기 제조 장치 구성 중에는 버블 트랩이 존재하므로 제조장치 를 통해 발생된 무취공기에 수분입자가 존재할 가능 성이 있다. 따라서 실험 전 제조장치로부터 발생되는 무취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한 결과 약 27±3%로 나 타났으며, 제로에어 실린더 내의 무취공기의 경우 8±2% 의 상대습도를 나타냈다.

    분석 결과, 무취공기 내에 함유된 수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무취공기 공급 방식에 대한 공기희 석배수 기하평균값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Fig. 4). 따라서, 현장 공기희석 장치 활용 시 제로에어 실린더를 사용하여 무취공기 를 공급하여 생산된 데이터의 신뢰도는 큰 문제가 없 을 것으로 사료된다.

    3.2 시간 경과에 따른 공기희석배수 과소평가 여부 검토

    샘플링된 악취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샘플링 백 내에 흡착되거나 물질 간의 반응 등의 작용으로 인 하여 안정성이 저하되며, 이는 시료의 손실로 이어진 다(Jo et al., 2012;Choi et al., 2017). 본 연구에서는 시 료 채취로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해당 시료의 공 기희석배수가 변화하는 경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시료마다 일정 시간 간격(4시간, 6시간, 24시간 등)을 두고 공기희석관능법과 현장 공기희석장치를 이용하 여 각각 공기희석배수를 분석하였다. Fig. 5에 시간 경 과에 따른 공기희석배수 감소 경향을 보이는 데이터 와 그렇지 않은 데이터를 각각 나타냈다. 일부 시료 의 경우는 시간 경과에 따른 악취농도 저하 현상이 확 인되었지만 이외의 물질은 대부분 유지되는 수준이 었다.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 악취유발물질 의 특성 및 악취시료 채취시의 상대습도·온도 등의 환 경적 요인, 악취시료의 농도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 단된다. 하지만 시간 경과에 따른 시료 손실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명백하며, 이는 공기희석관능법의 필 수불가결한 한계를 보여준다. 따라서 급변하는 악취 현장에서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위해서 현장 공기희 석장치의 도입은 여전히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3.3 현장 공기희석장치와 공기희석관능법의 비교

    측정 결과 중 부지경계 및 배출구 시료 측정 데이 터를 구분하여 각각 공기희석관능법과 현장측정기의 측정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Fig. 6). 배출구 시료 중 B-2 시료와 C-2 시료는 유사한 수준으로 측정되었지 만, A-2 시료는 다른 시료에 비해 큰 수준으로 측정되 는 등 배출원 종류와 특성에 따라 일부 상이한 결과 를 나타냄. 현장측정기로 측정한 결과가 공기희석관 능법에 결과에 비해 비교적 작은 수준에서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추세선 기울기>1), 데이터의 상관 계수 값(R2)은 약 0.95 수준으로, 강한 경향성 및 상관 성을 나타냈다(Fig. 7). 부지경계 시료의 경우 각 배출 원에 대해 수치상의 차이가 존재했지만, 공기희석관 능법의 측정방식을 준용하는 현장 공기희석관능법의 특성상 이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4 두 측정법의 상대표준편차 및 정밀도 평가 및 비교

    현재 복합악취의 공기희석배수를 측정하기 위한 공 기희석관능법의 재현성 및 정밀도를 분석하기 위해 반복성 실험을 실시하였다(Table 4, Table 5). 두 실험 의 차이는 무취공기 공급법의 차이로, Table 4는 무취 공기제조기를 통해 제조한 무취공기를 공급한 경우 이고, Table 5는 제로에어 실린더를 통해 공급한 경우 이다. 공기희석배수 분석시 통계적으로는 기하평균 을 사용하지만, 측정치의 변동성을 보다 원활하고 용 이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산술 상대표준편차(%RSD) 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판정인에 따라서 공기희석 관능법을 사용한 각 복합악취시료의 공기희석배수 측정치는 약 32.6%~57.1% 범위에서 상대표준편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 판정인이 여 러 번 관능을 실시함에 따라 도출되는 측정치도 많게 는 76.1% 수준의 상대표준편차를 나타냈다. 이는 동 일한 시료를 대상으로 하여도 공기희석관능법이라는 복합악취 측정법에는 측정치의 통계적 변동성이 내 포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동성을 고려하여, 공기희석관능법으로 얻 은 측정치와 현장 공기희석관능장치를 통해 얻은 측 정치의 표준편차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각 측정방법 별 데이터의 정밀도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Table 4 및 Table 5와 같이, 무취공기 제조장치 및 Zero Air를 이 용한 공기희석관능법 실험결과의 기하표준편차는 대 부분 1.6~1.8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Table 6에 서 현장 공기희석장치를 이용하여 실시한 반복성 실 험 결과의 기하표준편차와 유사한 수치였다. 이를 통 해 정밀도 관점에서는 공기희석관능법과 비교하였을 때 현장 공기희석장치로 얻은 데이터도 일정 신뢰구 간 안에서 충분히 활용가능하며, 악취 발생 현장에서 의 적용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실험실에서 복합악취를 측정하는 공기희석관능법 은 채취현장에서 실험실까지 시료의 보관 및 이동 과 정이 이뤄지며, 이때 물질별 특성에 따라 채취시간으 로부터 시간 경과에 의한 시료백 내의 채취시료가 손 실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공기희석관능법이 가 지고 있는 가장 큰 단점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수 단으로써 현장에서 공기희석장치를 이용하여 직접 관능을 실시함으로써 시료의 손실 없이 복합악취의 공기희석배수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현장 공기희 석장치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무취공기 공급 방식별 데이터 비교 결과, 무취공기 의 상대습도가 상이했으나 무취공기 제조장치 및 실 린더의 제로에어 공급 방식에 의한 데이터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현장 공기희석장치에 제 로에어 실린더를 사용하여도 측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간 경과에 따른 시료 손실 검토 결과, 시간 경과 에 따른 공기희석배수 감소 경향을 나타내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시료 내 악취유발물질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진 것으로 사료 된다. 시간 경과에 따른 공기희석배수의 감소 경향 연 구는 다양한 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향후에 보완될 필 요가 있다.

    현장 공기희석장치를 이용해 분석한 데이터의 경 우 공기희석관능법으로 분석한 데이터와 유사한 수 준이었다. 두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성(R2> 0.9)이 도출되었다.

    반복성 실험을 통해 공기희석관능법의 정밀도를 분 석한 결과, 판정인들의 결과값이 넓은 범위에서 나타 났다. 동일한 시료에 대해 현장 공기희석장치를 이용 하여 분석한 결과값도 넓은 범위에서 나타났지만 결 과값들의 정밀도는 공기희석관능법과 유사한 수준으 로 나타났다. 이는 공기희석관능법이 가지고 있는 한 계이며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데이터와 비교하여 현장 공 기희석장치를 이용한 복합악취 측정 데이터의 정밀 도가 양호하고 측정값의 편차가 크지 않다는 점을 고 려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 활용한 현장 공기희석장치 의 성능은 긍정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실험 데 이터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공기희 석장치의 최적화 정도관리 방안, 형식승인(안) 등 분 석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 는 방법론의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환경과학원 용 역사업(NIER-2023-01-02-101)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이며 연구비 지원에 감사드립니다.

    <저자정보>

    김경찬(박사과정), 이춘상(박사과정), 최다영(석사과정), 김민지(연구사), 공부주(연구관), 전준민(대표), 김영진(대표), 한진석(교수)

    Figure

    JOIE-22-3-220_F1.gif

    Odor sampling and laboratory locations in Suncheon city, Korea.

    JOIE-22-3-220_F2.gif

    Schematic diagram of the field olfactometer.

    JOIE-22-3-220_F3.gif

    Flow chart of the operation using the field olfactometer.

    JOIE-22-3-220_F4.gif

    Comparison of odor dilution factors (fold) between self-manufactured odor-free dilution air and zero air (specialty gas).

    JOIE-22-3-220_F5.gif

    Losses in odor dilution factor by time passages after taking sample in the field. (a) and (b) represent the groups that have the trend of loss or not, respectively.

    JOIE-22-3-220_F6.gif

    Comparison of dilution factors resulted from the field olfactometry and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JOIE-22-3-220_F7.gif

    Correlation of dilution factors between the field olfactometry and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able

    Industrial classifications of odor emission facilities and abbreviations of odor samples

    *1 and 2 indicate the sample type for boundary area and stack, respectively.

    Airflow tests of the field olfactometer (mass flow controller (MFC))

    Operation sequence of the field olfactometer

    Reproducibility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ed with manufactured odor-free dilution air

    *Geometrically averaged 3 out of 5 panels data (excluded maximum and minimum values).
    **Geometric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ed all data.

    Reproducibility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used with zero air (specialty gas)

    *Geometrically averaged 3 out of 5 panels data (excluded maximum and minimum values).
    **Geometric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ed all data.

    Reproducibility of the field olfactometer used with zero air (specialty gas)

    *Geometrically averaged 3 out of 5 panels data (excluded maximum and minimum values).
    **Geometric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used all data.

    Reference

    1.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International,2004. Standard practice for determination of odor and taste thresholds by a forced-choice ascending concentration series method of limits.
    2. Choi, Y. H. , Yi, J. G. , Jang, E. A. , Kim, J. B. , Seo, I. S. , Bae, Y. S. , Kim, T. H. , Kim, J. S. ,2017. A study on stability evaluation of sulfur compounds in sampling ba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20(3), 131-137.
    3. Chung, G. H. , Kim, S. T. , Shon, C. U. , Hong, J. H. ,2004. The basic experiments for the development of an olfactome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6(9), 987-9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CEN),2003. Determination of odour concentration by dynamic olfactometry. EN 13725, Air quality.
    5. Han, J. S. , Park, S. J. ,2012. A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of aldehyde compounds and styrene.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11(3), 126-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Han, J. S. , Lee, M. D. , Lim, Y. J. , Koo, Y. S. ,2008. The present status of odor management area and the construction of odor monitoring system.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7(4), 246-2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o, H. J. , Choi, D. H. , Kim, Y. H. , Kim, K. H. ,2012. Storage stability of trimethylamine between polyvinyl fluoride (PVF) and polyester aluminum (PEA) sampling bags.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11(2), 51-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Technology Institute (KEITI),2019. Development of IoT-based complex odor determiner and location-based odor management solution.
    9. Kim, H. M. , Kim, S. T. ,2002.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of odor-free zero air for the indirect olfactory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4(5), 765-7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Y. J. , Han, J. S. , Kim S. T. , Jang, H. S. ,2020. A study of odor measurment method using olfactory in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20(1), 49-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S. J. , Choi, C. S. , Kim, S. T. ,2014. Applicability of an electrochemical H2S gas sensor to estimate odors emitted from industrial wastewater.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3(2), 141-1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Y. G. , Jang, J. W. , Jeong, H. Y. , Park, S. I. , Kim, D. S. , Cho, Y. G. , Kim, E. S. , Kim, N. H. ,2016. Effects of sampling method using moisture condensation tube (MCT) on the detected odor concentrati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5(2), 164-17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Man, Z. , Dai, X. , Rong, L. , Kong, X. , Ying, S. , Xin, Y. , Liu, D. ,2020. Evaluation of storage bags for odour sampling from intensive pig production measured by proton-transferreactionmass-spectrometry. biosystems engineering 189, 48- 59.
    14. Ministry of Environment (ME),2014. Standard method of odor test.
    1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NIER),2022.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dor Complaint and Emission Facility Management.
    16. Park, M. S. , Yim, B. B. , Park, J. C. ,2006. Characteristics of panel members for the odor judgement on a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Korean Journal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5(2), 83-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