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4 pp.371-380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4.371

A case study on community mapping for odor management in citizen science

Hye-Jin Kwon1, Ji Yi Lee1, Eun Hea Jho2, Kyung-Suk Cho1*
1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Ewha Womans University
2Department of Agricultural & Biological Chemistr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Tel: +82-2-3277-2393 E-mail: kscho@ewha.ac.kr
07/12/2023 21/12/2023 22/12/2023

Abstract


Odor is a type of air pollution where irritating substances enter through the olfactory system, causing discomfort. At present, the government is formulating various measures and policies to address this type of pollution. This paper seeks to analyze major research cases from both domestic and overseas settings in relation to odor management. In addition, it reviews the potential of addressing environmental issues using a living lab approach in conjunction with community mapping and citizen science. For example, in one domestic case, the Magok smart city living lab project, citizens’ data on community mapping of odor were collected for analysi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to derive results. Additionally, in an overseas case in California, citizens directly participated in monitoring air quality using the Community-based monitoring (CBM) method, and both CBM and existing methods were used to assess the level of pollutants for effective data collection. In both of these cases, the potential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was seen to manifest through the development of citizens’ determination and ability to independently solve local problems. However, there are still problems in implementing citizen science, such as the lack of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available, issues with data collection methodology, questions of objectivity regarding collected data, and concerns about sustainability and expertise in relation to civic participation. Addressing these problems would require an institutional foundation and systematic civic educat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potential of addressing environmental problems inherent in the living lab system based on citizen science by analyzing two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f systematic civic education measures are introduced to address issues within existing citizen science research approaches, such measures would be valuable within the educational living lab framework in that they would become effective in tackling not only environmental problems but also social problems as well.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시민과학 악취관리 사례연구

권혜진1, 이지이1, 조은혜2, 조경숙1*
1이화여자대학교 환경공학과
2전남대학교 농생명화학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환경오염이 국제사회의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면서 환경 문제 중 하나인 악취(Odor)와 휘발성유기화합 물(volatile organic compound, VOCs)도 새로운 사회 적 이슈로 등장하였다. 악취는 특정 농도 이상에서 신 체적 장애를 유발하고, VOCs는 물질 자체가 인체에 직접적으로 유해하며, 장기간 대기 중에 체류하여 축 적된 후 인간을 포함한 자연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친 다(Jeon et al., 2010). 대기오염의 하나인 악취 문제 해 결을 위해 우리나라는 2005년 악취방지법의 시행을 계기로 2008년 제1차 국가악취방지종합시책, 2019년 제2차 국가악취방지종합시책을 수립·시행하였고(Park and Park, 2021), 2023년 기준 12개시도 52개 지역을 악 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이렇듯 정 부는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수행하고 있으나 악취 관련 민원은 증가하는 경향이다(환경통 계포털, https://stat.me.go.kr). 악취는 감각공해로 개인 마다 민감도가 달라 악취의 정도를 파악하기 힘들고, 주변 환경에 따라 악취 정도가 달라 객관적 측정이 매 우 어렵다(Gil et al., 2022). 따라서 악취방지 정책은 측 정 기술의 발달과 함께 지역주민의 갈등 해소를 위해 지역 커뮤니티와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거버넌스의 활성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환경문제 해 결을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시민과학 연구는 디지 털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환경모니터링이 가 능하여 과거 과학자들의 전유물이었던 연구가 일반 시민들에게로 확대되면서 정책변화와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등 다양한 가치와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Hong et al., 2014). 시민과학이란 전문적으로 훈련을 받지 않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하는 것 으로 특히 생태·환경 분야 비중이 가장 높다(Go et al., 2019). 시민과학의 가장 큰 장점은 이해당사자가 직 접 문제 해결을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정책결정 자들과 소통하는 것이며, 또한 과학이 해결하지 못하 거나 관심을 두지 않았던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주제 의 영역을 확장함으로써 과학의 사회적 적실성을 높 여준다. 특히 시민과학은 전문가나 정책입안자가 얻 기 어려웠던 데이터 수집을 가능하게 하여 증거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수단으로서 의미가 있다(Newman et al., 2017). 시민과학은 사회문제 해결에 사회, 정책, 과학을 연결하고 확장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 회혁신 수단으로 인식되며(Mckinley et al., 2017), 이에 유럽이나 미국 등의 국가에서는 과학 및 정부 혁신 수 단으로 시민과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 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생소한 분야이다. 시민과학 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커뮤니티 매핑은 주민들이 직 접 지역의 문제점과 지리적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함 으로써(Kim and Moon, 2023), 지역 중심의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Haklay et al., 2018). 시민과학과 커뮤 니티 매핑은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갖고 있으며, 제2 차 악취관리종합시책에서 내세우는 인공지능 활용기 술과 지역주민과의 적극적 소통을 동시에 접목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시민들의 관심과 참여, 소통을 이 끌어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공동의 의사결정을 이 루는 총체적인 과정으로 정책적 대안이 될 수 있으며 활동의 결과를 공유함으로써 시민들의 교육적 역량 강화도 함께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편적인 시민과학의 사례를 정성적으 로 분석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되며, 본 연구를 통해 커뮤니티 매핑을 이용한 악취관리 국내외 대표적 연 구사례를 분석하고 시민과학을 기반으로 한 리빙랩 의 환경문제 해결 가능성을 시사하여 기존 커뮤니티 매핑 을 이용한 시민과학 연구의 문제점을 보완한 새 로운 리빙랩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시민과학

    시민과학은 1989년 미국 오드번 협회에서 225명의 자원봉사자들을 모아 빗물 샘플을 수집하여 산성비 관련 캠페인을 벌이면서 이 활동을 ‘시민과학’으로 명 명하기 시작하였다(Haklay, 2015). 시민들의 자발적인 과학 정보 수집 활동을 일컫는 용어로 사전적 정의는 “일반시민의 참여로 수행되는 과학연구로, 전문 과학 자와 전문기관과의 협력이나 지도하에 이루어지는 활동의 총칭”으로 되어 있다(Park, 2018). 지역의 특정 문제를 정의하고 지역 커뮤니티의 역량을 강화하여 전문가와 비전문가가 함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연 구, 교육, 실행 과정을 수행하는 참여적 실행 연구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와 유사하다(Park and Kang, 2018). 최근 인터넷, 스마트폰, 센서 등의 네트 워크와 정보화 기술의 발전으로 많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요건이 조성되었고, 정부 차원에서는 시민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전략을 수립하 는 등 시민들의 과학적 참여를 끌어내기 위한 여러 시 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위긴스와 크로우스톤의(Wiggins and Crowston, 2011) 연구보고에 의하면 시민과학 사례를 목적과 공 간 규모의 특성에 따라 실행(Action), 보전(Conservation), 조사(Investigation), 가상(Virtual), 교육(Education) 5가지로 분류하여 프로젝트의 목적, 사용 기술, 조직 적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able 1). 실 행 프로젝트는 시민들이 직접 프로젝트를 설계하고 과학자들은 연구 과정에 필요한 부분을 지원하거나 컨설턴트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전 프로젝트는 생태 학 영역에서 주로 활용되며, 실행 프로젝트와 마찬가 지로 데이터 수집 단계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이루어지며 대학이나 개인 과학자가 참여하기 때문 에 과학적 수준과 교육적 가치를 강조하고 지리적 규 모가 크다. 조사 프로젝트는 전통적인 시민과학 유형 으로 규모가 크고, 데이터 수집과 교육적 측면을 강 조한다. 생물학, 생태학, 천문학, 기후학 등 많은 분야 에서 활용되며 데이터 수집과 보고 프로토콜 시 다양 한 기술을 활용한다. 가상 프로젝트는 전문가와 비전 문가 사이의 모든 활동이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도구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조사 프로젝트와 유사하다. ICT 도구를 활용하는 특 성 때문에 미디어 발달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이나 데 이터 관리를 위한 정확한 기술이 요구된다. 교육 프 로젝트는 교육과 홍보가 주목적으로 연구보다는 참 여자들의 과학적 소양 배양과 학습에 초점을 두고, 데 이터 수집, 분석, 결과해석 모두 비전문가가 직접 하 도록 되어 있다(Park, 2001).

    시민과학의 장점은 시민들의 과학적 소양과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고 시민참여를 통해 사회적 문제 결 과의 대안적 해석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과학이 해결 하지 못하거나 관심을 두지 않았던 문제를 다시 살펴 봄으로써 새로운 연구주제에 대한 과학의 사회적 적 실성을 높여준다. 특히 시민과학은 전문가가 수집하 기 어려운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문제의 이해당사 자로서 의사결정을 직접 지원하여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데 의의가 있다(Go et al., 2019). 이러한 특성 때문에 시민과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 만, 특히 생태계의 복잡성으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운 환경문제 해결 및 생태계 보전을 위한 수단으 로 더욱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환경문제는 복합적 인 양상을 띠고 있어 단순한 정책 결정으로만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시민들이 직접 나서서 지역 의 환경오염을 측정하고 환경 변화를 관찰하는 시민 과학은 현장성과 시의성 측면에서 가치를 가지고 있 다. 2019년 위키피디아(https://en.wikipedia.org/wiki/ List_of_citizen_sci- -ence_projects) 시민과학 프로젝트 로 게재된 총 222개의 목록 중 131개에 해당하는 주제 가 생태계 및 생물종(38.1%)이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 로 환경오염 및 보존(14.8%), 생명과학(11.9%), 대기· 기상(10%) 순이었으며 기후변화(1.6%)가 가장 적었 다(Fig. 1). 국내에서도 시민들이 생태계 보전을 위한 동식물 관찰, 대기질, 수질, 악취, 유해화학물질, 해안 쓰레기 발생량 등 환경 모니터링에 참여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시민과학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서는 첫째 데이터 수집, 실험 참여, 측정, 사진 촬영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구에 참여할 시민과 이들의 지도 와 지원을 담당할 전문가가 필요하다. 둘째는 데이터 의 정확성, 일관성, 그리고 신뢰성을 보장하고 과학적 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과학의 원리를 따라 야 하며, 전문 연구자와 협력하여 연구 설계하고 질 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시민 참여 데이터를 활용 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시민 과학의 효과를 증대시 키기 위한 플랫폼, 도구, 앱, 웹사이트 등과 같은 다양 한 기술적 수단을 잘 활용하여야 한다(Go et al., 2019).

    3. 커뮤니티 매핑

    커뮤니티 매핑은 ‘커뮤니티’와 ‘매핑’의 합성어로 지 역성, 공동체성, 유기체성 3가지의 특성을 지닌 커뮤 니티 구성원이 생활에서 소중하게 생각하는 것을 반 영하여 집단적으로 시각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Perkins, 2007). 간단하게 정리하면 지역 커뮤니티가 현장에 대 한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지도를 제작하는 것이다. 커 뮤니티 매핑은 다양한 장소와 사람들에게 적용되는 데이터 수집 및 커뮤니케이션 도구이며(Fahy et al., 2008), 지역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전통적 지식과 아이디어를 학술 또는 비즈니스 프로젝트와 통합하 여 현장에서 직접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시각적으 로 표현함으로써 지역사회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둔다(Tulloch, 2008).

    Corbett의 연구보고에(Corbett, 2012) 의하면 커뮤니 티 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지리정보를 수집하는 과 정을 두 가지 활동 영역으로 분류하였다(Table 2). 첫 번째 영역은 기존의 공간데이터 베이스를 보완하고, 업데이트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커뮤니티 매핑 활 동에 참여하는 시민을 ‘시민과학’과 ‘시민센서’로 사 용하는 것으로, 시민들이 전문가와 함께 과학적 과정 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과학적 연구에 참여하는 것이다(Silvertown, 2009). 이는 조기 재난이나 경고 또는 사후 재난 대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사회적·정치적 실천을 촉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을 생산하는 것으로 자 원·환경문제와 같이 실제 지역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 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Elwood, 2008). 커뮤 니티 매핑은 참여, 공유 및 협업, 소통의 과정을 거쳐 집단지성을 이루게 되며, 지역주민의 작은 참여가 새 로운 지식을 창출하면서 이러한 경험이 시민 의식을 느끼게 해주고 교육과 실천의 대안이 되고 있다. 이 렇게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한 커뮤니티 매핑은 사회 적, 지역적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과 태도로 공 동체의 문제 해결과 지역 발전을 가능하게 한다.

    커뮤니티 매핑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수행된다(Fig. 2). 첫째,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정 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로 공감대를 형성하여 지역 공동 커뮤니티를 결성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사전 조사를 통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하고 적절한 지역 범 위를 설정하여 실행해야 하는 커뮤니티 매핑 계획을 수립하는 시민인지 단계이다. 두 번째는 시민교육 과 정으로 구체적으로 수집해야 하는 데이터의 범위와 세부적인 방법에 대하여 논의하고 다양한 워크샵 활 동을 통해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 세 번째 단계는 시민참여 단계로 본격적인 데이터 수집이 이루어진 다. 이 단계에서 집단지성이 발휘되며 공공데이터가 제공하지 못하는 새로운 정보와 데이터 수집을 할 수 있다. 네 번째는 데이터 분석 단계로 수집한 데이터 에 대한 분석 작업이 이루어진다. 분석은 시민들이 직 접 참여 할 수도 있으며, 전문가에 의존하여 이루어 지기도 한다. 수집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해결책과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마지막으로 최종 평가 단계를 거쳐 정책 제안을 한다. 이러한 커뮤니티 매핑 과정 을 거치면서 시민들의 교육과 역량 강화가 일어나며 얻어진 자료를 통해 결정된 정책제언은 지역을 넘어 더 큰 범위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매핑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첫째 시민참 여자들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필요하다. 이는 환경조 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시민이 데이터 수집가로서의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사전 교육 과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는 자료의 신뢰성을 높 이기 위해 필수적인 과정이다. 두 번째는 조사 자료 의 품질관리로 시민참여자들에 의해 수집된 자료를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료의 객관성을 입증 하기 위한 자료의 일관성, 완결성, 정확성, 정밀성 등 에 관한 보조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 한 자료의 품질관리는 시민들이 수집한 자료의 가치 에 대한 전문가들의 낮은 인식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다(Gang et al., 1997)

    4.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국내 연구사례

    국내 악취 민원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3배가량 증가하였으며, 지금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어 악취 해결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도 커지고 있다. 급증하는 악취 민원의 대상 중 1위는 축산시설이다. 그다음은 생활악취 및 원인불명의 악취로 폐기물 보 관 처리 시설과 각 산업시설의 업종별에 따라 악취 민 원이 발생한다(Kim and Youn, 2018). 환경부는 이에 대 한 기준을 마련하여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객관 적 측정, 악취 유발 요인에 대한 분석, 기후와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상황이 다. 이에 서울시에서 2019년 7월 10일부터 2019년 12 월 13일까지 마곡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업의 일환으 로 ‘주민참여형 마곡 스마트시티 냄새 커뮤니티 매핑 사업’을 수행하여 서울시가 당면한 물재생센터 악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Im et al., 2021).

    마곡은 서울의 중심부와 인천 국제공항 근처에 자 리한 중요한 지역으로, 스마트시티의 개념을 적용하 여 지역 발전을 모색하던 중 ‘주민참여형 마곡 스마 트시티 냄새 커뮤니티 매핑 사업’이 시작되었다. 본 사 례는 제2차 악취관리 종합시책이 추구하는 수용체의 피해 수준을 고려하고, ICT 기술로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대표 사례로, 시민과학을 기반으로 한 리빙랩 사업이다(Cho and Jin, 2016). 이 프로젝트의 주요 목 적은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마곡 지역의 냄새 문제를 조사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 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 시티의 핵심 가치 중 하나인 주민참여와 지속 가능한 환경을 동시에 강화하고자 하였다.

    프로젝트는 커뮤니티 매핑 방법을 활용하여 주민 들이 지역에서 느끼는 냄새를 냄새 측정기로 직접 측 정하여 지도상에 표시하도록 하여 온라인 지도 데이 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수집된 정보는 인공지능(AI) 분 석을 통해 어느 지역에서 어떤 냄새가 가장 심한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데이터 수집 과정에서 주민들은 냄새의 종류와 강도에 대한 의견 을 자유롭게 기재하도록 하였다. 프로젝트를 진행하 는 동안 총 참여 인원은 125명, 데이터 수집 건수는 총 1,720건이다. 주요 운영 과정을 5단계로 정리하여 Table 3에 나타내었다. 첫 번째 단계는 시민인지 단계로 지 역문제를 인지하고 있는 마곡 스마트시티 거주자, 주 변 지역 통근 · 통학자, 지자체 및 지역의 이해 관계자 로 커뮤니티 구성원을 결성하고 현안 도출을 위한 계 획을 수립하였다. 두 번째는 시민교육단계로 사전 조 사를 통해 얻은 자료로 시민들을 교육하고 지역이 당 면한 악취 문제를 이해시키고, 객관적 데이터 수집을 위한 여러 차례 워크샵을 진행하였다. 세 번째 단계 는 본격적인 시민 참여가 이루어지는 단계로 공공데 이터가 제공하지 못하는 집단 지성을 발휘하여 주관 적 정보와 객관적 데이터를 직접 수집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 단계로 인공지능(AI) 분 석을 통한 데이터 시각화와 통계분석을 통해 악취의 요인을 파악하였다. 최종 데이터 결과를 바탕으로 악 취 관리 해결의 가능성을 도출하여 정책적 제안단계 를 거쳐 마무리된다.

    수집된 자료는 악취요인 정도, 기상요인, 토지 이용 정보, 폐기물의 위치, 대기오염, 서비스 산업 위치 정 보 등을 고려하여 실증적 통계분석을 하였다. 그 결 과 악취의 요인들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대기압이 낮 아질수록, 폐기물 처리장과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총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주관적 악취강 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회귀분석 결과로 검증하였 다. 통계분석 결과와 지역주민의 사실을 비교 검증하 여 데이터와 주관적 악취 정도와의 상관관계를 얻었 다. 그러나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는 과정에 있어 불 성실한 응답이거나 명확하지 않은 답변을 한 자료를 제외하고, 총 1720건 중 41.7%에 해당되는 717건만 활 용되었다(Cho and Jin, 2016). 또한, 분석모형의 한계 로 냄새 요인과 악취 관계를 정확하게 분석하기 어려 웠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매핑에 참여할 시민들을 대상으로 체계적이고 새로 운 방식의 시민교육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환경 문제 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5. 커뮤니티 매핑 활용 국외 연구사례

    미국은 산업으로 인한 오염 물질이 없는 지역 인구 의 92% 이상이 호흡기 질환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고 하고 있다(Overdevest and Mayer, 2008). 특히, 산업으 로 인한 오염 물질 배출이 높은 지역의 주민들은 훨 씬 더 높은 위험에 처해있으며 이러한 고위험군 지역 주민들을 위해 정부가 대기질 모니터링을 진행해 왔 지만 정확한 평가가 제공되지 않고 있다(Calvano, 2008). 미국의 공기오염을 유발하는 주 산업공정은 금속주 조로 2014년 기준 1,978개의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금 속주조로 인해 배출되는 오염 물질은 주조마다 차이 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polycyclic aromatic compounds (PAHs), VOCs, 공기 중 금속 및 미립자 등을 포함한 대 기오염 물질을 발생시킨다(Dalquist et al., 2004). 따라 서 이러한 위험 지역에 노출된 거주자들을 위한 정확 한 오염 물질에 대한 조사와 거주자들이 더 이상 위 협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는 Pacific Steel Casting (PSC)에서 북서쪽으로 3블록 떨어진 곳에 있 는 가족 주택 커뮤니티로 900채 정도의 주거용 아파 트로 구성되어 있다. 대부분 고학년 학부생, 대학원 생, 자녀와 배우자가 있는 박사 후 과정 학생들로 다 른 지역보다 환경오염에 취약한 임산부와 어린이 인 구가 더 많고, 높은 이직률로 인해 당면한 환경문제 를 지역주민들이 직접 해결하고자 본 프로젝트를 수 행하였다(D'Addario, 2015). 이 지역은 수십 년 전부터 PSC라는 주조시설로 인한 대기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 어왔고 이로 인해 악취와 눈, 코, 목의 염증, 천식 등 의 건강 위험 증상을 경험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이 러한 문제점을 포괄적으로 다룬 연구는 없어 이번 프 로젝트를 수행하게 되었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미 국 타지역에서 사용 되어져 온 지역사회기반모니터 링(community-based monitoring, CBM) 방식의 개선 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커뮤니티 매핑의 진행과정을 Table 4에 정리하였다. 첫 번째 시민인식 단계에서 프로젝트를 위한 커뮤니 티 구성원은 직접 고용 방식으로 모집하였고, CBM 방 식과 주민 인식조사를 병행하였다. 프로젝트는 총 30 가구가 2014년 3월부터 2015년 2월까지 참여하였고 매달 설문에 응한 가구 수는 달랐다. 시민참여 단계 에서 설문조사는 웹 기반으로 시간, 날짜, 위치, 냄새 강도에 대한 질문과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및 포 름알데히드 샘플을 채취로 대기 질 모니터링에 참여 하여 공간적, 시간적 배출 패턴과 대기 오염 물질 수 준을 확인 하도록 하였다. 데이터 분석 단계에서는 악 취의 배출 패턴을 시각화하고 조사한 데이터를 사용 하여 그래프와 이미지를 만들었다. 수집한 공기 질 데 이터는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측정된 값을 법정 한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악취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시간에 따라 다른 결과 를 보였는데, 요일에 따라, 오전 오후 시간에 따라, 지 역에 따라 악취를 인식하는 정도가 모두 차이를 보였 다. 휘발성유기화합물과 포름알데히드에 대한 공기 질 모니터링 결과 57개의 VOC 중 24개가 검출 한계 (42.1%) 이상으로 검출되었고, VOC 외에도 포름알데 히드가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었다. VOC의 평균 농도 및 데이터를 법정 한도와 비교하여 Table 5에 제시 하 였다. 그러나 대기질 모니터링 데이터로 정확한 결론 을 짓기는 어려운 것이 미국 환경 보호국의 통합 위 험 정보 시스템(EPA IRIS) 기준 농도를 초과하지 않았 으며, 염화메틸렌만 환경 보건 위험 평가국의 만성 기 준 노출 수준(OEHHA REL)을 초과하였다(D'Addario, 2015).

    본 프로젝트에서도 활용된 시민과학 방식은 효과 적인 데이터 수집과 주민들의 인식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는 의의가 있지만, 시민들을 통제할 수 없어 발 생하는 특정 오류와 시민과학자가 수집한 데이터에 대한 명확성에 대한 부분을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시민과학은 지역사회 구성원의 관점을 이해하고, 인 식을 정보화하는 것은 유용하지만 비전문 과학자가 수집한 데이터의 정확성에 대한 것은 추가적인 확인 필요하다. 시민 과학자, 특히 나이가 많고 교육 수준 이 높은 사람들은 평균적으로 상당히 정확한 데이터 를 수집한다. 이 프로젝트에서는 이러한 점이 긍정적 으로 평가되지만, 데이터의 객관성은 확신 할 수 없 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시민과학 커뮤니티 매 핑 방식은 전통적인 일반 모니터링 방식보다 환경조 건에 대한 더 포괄적인 지식을 제공할 수 있고, 지역 주민이 당면한 환경문제를 더 중요하게 직접 인식함 으로써 기존 데이터 수집 방식보다는 훨씬 더 효율적 이며 의미 있는 방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예산과 제도적 한계를 극복하고 수집 데이터의 객관성과 신 뢰성을 높이기 위한 추가 지원방안에 대한 정책 결정 이 이루어진다면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최선의 방식 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6. 결 론

    본 연구는 시민과학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매핑을 활용한 악취 관리 국내·외 대표 사례를 비교 분석하 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국내 마곡지구 사례와 국 외 캘리포니아의 사례는 유럽시민과학협회(European Citizen Science Association, ECSA)가 제시한 시민과학 의 10대 원칙 중 ‘정책적 영향에 대한 평가’를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전반적으로 원칙에 부합하게 진행 되었다. 특히, 시민의 과학적 소양 및 지식 증진, 시민 참여를 통한 사회적·정책적 파급효과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시민과학 인 프라와 재원 부족, 시민과학에 대한 과학자 인식과 참 여 부족, 데이터 수집 방법론 문제, 수집된 데이터의 객관성, 시민참여의 지속성과 전문성, 시민과학의 가 치에 대한 정책담당자의 낮은 인식, 그리고 정책과 시 민과학의 통합 문제 등은 시민과학을 수행하는데 있 어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먼저 시민과학의 제도적 기반이 마 련되어야 하며, 참여 확대를 위해서는 시민과학의 특 성을 고려한 전반적인 운영에 대한 연구개발 지원과 시민과학 커뮤니케이션 및 시민 교육훈련, 그리고 연 구 성과에 대한 평가 기준의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 한 문제점을 고려하면 시민과학을 기반으로 한 환경 교육을 통해 환경 쟁점에 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 는 환경교육 리빙랩 사업이 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환 경교육 리빙랩 사업은 시민들의 과학 참여 활동을 촉 진하고, 환경역량을 증진 시켜 집단지성과 공유학습 이 강조되는 미래교육 방향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할 것 이다.

    본 연구는 분석 사례 수가 제한적이어서 일반화하 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앞서 살펴본 두 사례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체계적인 시민교육 방안을 마련한다면, 환경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교육 을 통해 시민들의 인식 변화와 동시에 과학적 사고를 고취시켜, 데이터 수집 능력 향상에 기여함으로써 효 과적인 리빙랩 운영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 나아 가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정책적 방향을 모색 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감사의 글

    This work was suppor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RS-2023-00217228) as a part of the research by the Convergence Research Center (CRC) at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정보>

    권혜진(연구교수), 이지이(교수), 조은혜(교수), 조경숙(교수)

    Figure

    JOIE-22-4-371_F1.gif

    Distribution by field of Wikipedia citizen science projects.

    JOIE-22-4-371_F2.gif

    Process of community mapping.

    Table

    Wiggens & Crowston’s classification found in cases of citizen science

    Data collection activities by community members

    Main operational process of the smell community in the Magok district

    Main operational process of odor community mapping in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region

    Average concentrations of VOCs and comparison of data to statutory limits

    RfC, Reference concentration; OEHHA, Office of environmental health hazard assessment; REL, Reference exposure levels; CA, California

    Reference

    1. Corbett, J. ,2012. I don't come from anywhere: Exploring the role of the geoweb and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in rediscovering a sense of place in a dispersed aboriginal community. Crowdsourcing Geographic Knowledge, Springer, New York 223-241.
    2. Calvano, L. ,2008.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local communities: A critical analysis of conflict. Journal of Business Ethics 82, 793-805.
    3. Cho, Y. , Jin, J. ,2016. A study on the management the odor emission of public environmental facilities in Seoul. Seoul Studies 2016, 1-137.
    4. D'Addario, L. ,2015. Community-based monitoring and air quality: Citizen scientists as data collectors in the university village community and quantifying the effects of nearby industrial practices in west berkeley and albany, california. Proceedings of 2015 Environmental Sciences Senior Thesis Symposium 25, 1-35.
    5. Dalquist, S. , Gutowski, T. ,2004. Life cycle analysis of conventional manufacturing techniques: Sand casting. ASME 2004 International Mechanical Engineering Congress and Exposition 2004-62599, 631-641.
    6. Elwood, S. ,2008.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key questions, concepts and methods to guide emerging research and practice. GeoJournal 72, 133-135.
    7. Fahy, F. , O´ Cinne´ide, M. ,2008. The reality of the locality : Exploring spatial aspects of quality of life in Galway City, Ire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Planning 3, 29-44.
    8. Gang, S. , Kim, E. , Sin, J. ,1997. Citizen volunteer monitoring as a too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10, 1225-12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Gil, H. , Lee, Y. , Lee, K. , Kim, K. , Park, J. , Gong, B. ,2022. Study on odor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areas with frequent odor complaints in Inche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1, 245-2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Go, J. , Kim, Y. , Yes, M. ,2019. The potential of citizen science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2019, 1-288.
    11. Haklay, M. ,2015. Citizen science and policy: A European perspective. Woodrow Wilson Center, Washington D.C., 1- 76.
    12. Haklay, M. , Mazumdar, S. , Wardlaw, J. ,2018. Citizen science for observing and understanding the earth. Earth Observation Open Science and Innovation 15, 69-88.
    13. Hong, S. , Lee, J. , Kang, D. , Choi, H. , Ko, S. ,2014. Quantities, composition, and sources of beach debris in Korea from the results of nationwide monitoring. Marine Pollution Bulletin 84, 27-34.
    14. lm, Y. , Kim, K. , Cho, S. ,2021. A study of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odor management using community mapping. Seoul Studies 22, 39-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eon, H. , Dong, J. , Lee, W. , Yu, M. ,2010. A study on odor removal technology by absorption, adsorption and ozone oxidation. Proceedings of the 2010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359-359.
    16. Kim, E. , Moon, J. ,2023. A case study of resident participation living lab using community mapping: Focusing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8, 536-5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Y. , Youn, S. ,2018. Location adequacy evaluation method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rough case analysis of odor complai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20, 1-21.
    18. McKinley, D. , Miller-Rushing, A. , Ballard, H. , Bonney, R. ,2017. Citizen science can improve conservation science,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Biological Conservation 208, 15-28.
    19. Newman, G. , Chandler, M. , Clyde, M. , McGreavy, B. , Haklay, M. , Ballard, H. , Gray, S. , Scarpino, R. , Hauptfeld, R. , Mellor, D. , Gallo, J. ,2017. Leveraging the power of place in citizen science for effective conservation decision making. Biological Conservation 208, 55-64.
    20. Overdevest, C. , Mayer, B. ,2008. Harnessing the power of information through community monitoring: Insights from social science. Texas Law Review 86, 1493-1526.
    21. Perkins, C. ,2007. Community mapping. The Cartographic Journal 44, 127-137.
    22. Park, H. ,2001. Social determinants of public perceptions of science: Legitimacy crisis of science?.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35, 29-58.
    23. Park, J. ,2018.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citizen science in Korea.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18, 7-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J. , Kang, Y. ,2018. Environmental problems, citizen knowledge, and citizen science - Chance and challenges of citizen science in environmental problem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Environmental Philosophy 25, 93- 1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Y. , Park, C. ,202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garding adsorbents using waste resources for odor contro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 97-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ilvertown, J. ,2009. A new dawn for citizen science. Trends in Ecology & Evolution 24, 467-471.
    27. Tulloch, D. ,2008. Is VGI participation? from vernal pools to video games. GeoJournal 72, 161-171.
    28. Wiggins, A. , Crowston, K. ,2011. From conservation to crowdsourcing: A typology of citizen science. in Proceedings of the 2011 44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Kauai, HI,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