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7 No.3 pp.207-214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8.17.3.207

A Study on PM10, HCHO and TBC concentrations in the indoor space of sensitive group use public facilities located in major cities in Korea

Jihee An, Yujin Oh, Eunju Hong, Bu-Soon S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 Soonchunhy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Tel : +82-41-530-1270 E-mail : sonbss@sch.ac.kr
19/07/2018 06/08/2018 13/08/2018

Abstract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PM10), Formaldehyde (HCHO), and Total Bacteria Count (TBC) at three facilities: elderly care centers, day care centers, and postnatal 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ies of Seoul, Sejong, Daegu and Ulsan from January 1, 2012 to December 31, 2015.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and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postnatal care centers.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the day care centers. Comparing the different cities, PM10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jong, HCHO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Seoul, and TBC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in Daegu.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preventing damage to health from the contaminated indoor air at sensitive facilitie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국내 주요 대도시 소재 민감그룹 이용시설 실내공간의 PM10, HCHO, TBC 농도에 관한 연구

안 지희, 오 유진, 홍 은주, 손 부순*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학과

초록


    Soonchunhyang University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사람은 다양한 환경에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주위의 여러 가지 환경요인과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고, 인간 의 건강은 환경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유해인자 노출 에 따른 위해성을 결정하는 것은 환경보건학적 측면에 서 중요하다(Yang et al., 2012).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 한 도시의 인구집중 및 경제 향상은 도시인의 생활양 식과 직장인의 근무양식에 큰 변화를 가져 왔으며 (Kang et al., 2014), 각종 건축물에서 에너지 절약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해 단열화 및 밀폐화가 강화되어 실 내에서 발생된 오염 공기가 계속적으로 순환되어 실내 공기의 질이 악화되고 있다(Logue et al., 2011). 현대 인은 하루의 평균 90%의 시간을 실내에서 보내기 때 문에 실내 공기가 실외 대기보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이 훨씬 클 뿐만 아니라(Jang et al., 2017) 실내공기의 상태는 일차적으로 외부공기의 영향을 받게 되고, 이차 적으로는 실내오염원(건축자재, 가구류 및 가전제품, 주방의 조리과정, 실내 활동 등)으로부터 영향을 받기 때문에(Lee et al., 2014) 자연적으로 희석되는 실외환 경과는 달리 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현 대인에게 실내공기질의 악화는 계속적으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가 비록 낮을지라도 한정된 공간에 지 속적으로 누적되는 오염된 공기는 노출 시 건강을 위 협하는 중요한 원인이다(Ryu et al., 2014; Lee et al., 2015).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오염된 실내공기에 의한 사망자가 연간 430만 명에 이르며, 이러한 실내 오염물질은 일반 성인에 비해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 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한다(WHO, 2012). 산후조리원 또한 신생아와 산모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 으로 산후조리원 특성상 온도와 습도가 높게 유지되는 반면에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밀폐된 공간 안에 서 다양한 실내공기오염물질에 노출 될 수 있고(ME, 2013), 노인요양시설도 마찬가지로 실내의 다양한 발생 원에서 발생되는 수많은 종류의 오염물질들에 의해 야 기되며, 면역성이 저하된 노인에게 2차적인 감염의 우 려가 있다(Kim, 2012).

    이렇듯 상대적으로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산모 및 노인은 장시간 생활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오염된 공 기에 노출될 경우, 세균 번식 등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아토피 등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실내공기 질 관리가 필요하며(Ahn, 2014), 최근 이들 환경오염 취약계층을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 은 환경보건학적 분야의 새로운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Lee et al., 2017a). 이러한 공기오염과 관련이 깊 은 호흡기질환과 알레르기질환은 취약인구를 중심으로 증가하여, 국가의 질병부담률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를 관리하는 보호자와 경제활동마저 둔화시키고 있 다(Lee et al., 2017b).

    대표적인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미세먼지(PM10)는 실 외 대기 중의 미세먼지(PM10)가 실내로 유입되거나, 흡 연, 난방, 취사와 관련된 연소작용과 생활용품 등에 의 해 실내 자체 내에서 발생되며(Cho et al., 2017), Bae (2014)는 미세먼지(PM10)가 천식악화, 만성폐쇄성폐질 환 등 호흡기계 관련 질환과 불규칙한 심장박동, 혈관 기능 장애, 부정맥 등 심혈관계 발생위험을 높이며, 급 성 및 만성 조기사망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고 보 고하였다. 폼알데하이드(HCHO)는 자극성 냄새를 갖는 가연성 무색 기체로 인화점이 낮아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살균 방부제, 단열재나 섬유, 각종 교구재나 바닥 재, 난방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고(Jeon, 2010), 실 내에서의 농도는 온도와 습도, 건축물의 수명, 실내 환 기율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반복하여 노출시 눈, 코, 목 및 호흡기도에 만성자극을 준다(Park, 2011). 또한, 폼알데하이드(HCHO)는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 암성 1A 물질로 사람에게 확실히 암을 일으키는 물질 로 분류되어 있고(IARC, 2012), 미국정부산업위생전문 가협의회(ACGIH)에서는 Group A2로 인체에서 암을 일으키는 물질(발암성 의심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ACGIH, 2016). 그리고 실내공기질 오염물질에서도 생물학적 인자 중 부유세균은 재실자의 활동과 가습기, 냉장도, 애완동물 등에서 발생하며, 다습하고 환기가 불충분하거나 공기질이 나쁠 경우 증식해 전염성, 알레 르기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시킨다(Park, 2010).

    환경부에서는 오염물질을 관리하기 위해서 실내공기 질 개선 및 유지관리를 위한 다양한 연구수행을 함으 로써 실내공기질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을 대두시키고 있다(Park et al., 2017). 또한, 보건복지부 및 노동부 등은 실내 공기질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 공기질 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정책을 수행 하고 있으나 민감그룹을 위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민감계층이 이용하는 시설 중에서도 특히 노유자시설과 산후조리원을 대상으로 실내공기 농도를 파악하고, 해당 시설에서 조사된 실내공기질 자 료를 기초로 실내환경 개선 및 실내공기질 관리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대상 및 방법

    2.1 연구기간 및 대상

    본 연구의 대상지역 선정범위는 서울특별시, 세종특 별자치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를 각각 대도시, 신 도시, 분지지역, 공단지역을 근거로 하여 선정하였다. 2012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환경부 「다중이용시설 등의 실내공기질관리법」에 정하고 있 는 다중이용시설 중 민감취약계층 이용시설인 노인요 양시설(97개소), 보육시설(2,445개소), 산후조리원(228 개소) 3개 시설을 대상으로 실내공기질 유지기준인 미 세먼지(PM10), 폼알데하이드(HCHO), 총부유세균(TBC) 3항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2 시료채취 및 분석

    시료채취는 대상 시설의 오염도를 대표할 수 있다고 판단되고, 시료채취지점은 가능한 시료채취지점의 중 앙점에서 바닥면으로부터 1.2~1.5 m 높이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측정지점에 자연환기구나 기계환기설비의 급배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급배기구에서 가 능한 멀리 떨어진 곳(최소한 1 m 이상)에서 채취하였 으며, 다수의 환기구 및 급배기구가 존재할 경우에는 인접한 환기구 설치지점의 중간지점을 채취지점으로 하였다. 시료채취는 주간시간대(오전 8시 ~ 오후 8시) 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실내공기오염물질의 측정 및 분석은 환경 부의 실내공기질 공정시험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ME, 2010).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오염물질별 농도

    본 연구에서 측정한 오염물질 농도의 결과를 Table 1에 나타냈다.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는 47.2 μg/m3로, Choi (2011)이 연구한 결과에서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 는 45.2 μg/m3로 나타나 본 연구와 비슷한 수준의 평균 농도를 보였으며, 또한, ME (2011)에서 연구한 결과의 농도는 46.6 μg/m3으로 본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 내었다.

    폼알데하이드의 평균 농도는 28.1 μg/m3로 나타났다. 폼알데하이드는 주로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농도가 높 으며, 주로 단열재 등의 건축자재와 실내 가구의 칠, 난방연료의 연소과정, 흡연, 생활용품, 접착제, 의약품 등에서 배출되고, 온도와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 오염정 도가 심해진다(Kim et al., 2005). 본 연구의 폼알데하 이드 농도는 국내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정하는 폼알 데하이드의 기준인 100 μg/m3 보다는 낮게 나타났지만, 도시 환경에서 실외 폼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연평균 1~20 μg/m3 인 것을 가정하면(ME, 2007) 실내에서의 영향이 큰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므로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건축자재를 사용할 때 폼알데하이드가 적게 방출되는 제품을 사용해야 하며, 환기횟수를 증가시켜(Jeon et al., 2009) 폼알데하이드를 고농도로 방출하는 지점에 서의 복합적인 오염원을 저감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506.5 CFU/m3로 나타났 다. Cho et al. (2011)에서 취약계층이 주거시설에서의 총부유세균 평균 농도는 451 CFU/m3으로, 이 농도는 실내공기질관리법의 다중이용시설(의료기관, 보육시설, 국공립 노인요양시설 및 노인전문병원, 산후조리원)의 실내공기질 유지기준 800 CFU/m3의 약 56% 수준이라 고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 는 506.5 CFU/m3로 기준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유 지기준의 약 63% 수준정도이며, 다른 오염물질에 비 해 상대적으로 높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미생물성 물질인 부유세균은 애완동물, 토양, 실외 공기의 영향 등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습도가 높 고 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환경은 미생물 군집에 영향 을 주는 요인들이다(Kim et al., 2016). 부유세균은 습 도가 높고 20~35°C의 온도 범위에서 번식이 빠르기 때 문에(ME, 2011) 본 연구에서의 부유세균 농도는 시설 특성상 실내환경에서 부유세균이 서식하기 좋은 온습 도에 의해 부유세균의 성장속도가 증가하여(Sohn et al., 2014), 실내의 부유세균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생 각되므로 잦은 환기를 통하여 온도조절 및 습기를 제 거하고, 정기적인 청소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적정한 실 내공기질 유지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3.2 시설별 오염물질의 농도

    3.2.1 시설별 미세먼지(PM10) 농도

    본 연구의 시설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Table 2에 나 타냈다. 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노인요양시설 39.6 μg/ m3, 보육시설은 49.5 μg/m3, 산후조리원은 38.7 μg/m3 으로 보육시설이 가장 높았고, 산후조리원이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미세먼지는 피부, 안구, 호흡기, 심혈관 질병 등을 동 반할 수 있으며(Choi, 2017), 사람의 폐포까지 깊숙하 게 침투해 기관지와 폐에 쌓인 미세먼지는 각종 호흡 기질환의 직접원인이 되며, 몸의 면역 기능을 떨어뜨리 고 천식과 호흡곤란을 일으킨다(Lee et al., 2011)고 보 고하고 있어, 본 연구결과 보육시설 농도가 높은 것은 보육시설의 특성상 주중에 창문과 출입문의 개폐로 인 해 실외 미세먼지가 실내로 들어올 가능성이 크고, 실 내에서 어린이들의 활동으로 인해 재부유가 일어나게 되며 실내인테리어가 많고 영역별 놀이감 등이 상시 비치되어있어 구석구석에 분진의 누적 우려가 많기 때 문에(Jung and Lee, 2007; Sohn et al., 2014), 재실밀도 가 높은 실내에서는 호흡 및 사용되는 교구 등에 의하 여 실내가 오염될 수 있으므로(Lim, 2011), 재실 인원 과 어린이들의 활동량 등을 고려한 실내환기를 실시하 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3.2.2 시설별 폼알데하이드(HCHO) 농도

    본 연구의 시설별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를 Table 3에 나타내었다. 폼알데하이드의 평균 농도는 노인요양시 설 18.8 μg/m3, 보육시설 23.5 μg/m3, 산후조리원 54.9 μg/m3로 산후조리원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폼알데하이드는 온도가 높을수록 유해물질 방출량이 높아 실내 공기오염에 취약하게 되며(Choi, 2017),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산후조리원이 다른 시설보다 평균 농도 값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산후조리원의 시설은 신생아와 산모가 24시간 생활하는 공간으로(ME, 2017),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고 실외의 찬 공기로부터 신생아 및 산모를 보호하기 위하여 실외 공기 유입이 이루어 지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폼알데하이드의 농도가 산후 조리원, 보육시설, 노인요양시설 순으로 높게 나타났는 데, ME (2011)의 연구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이 와 같은 결과는, 산후조리원은 대부분 환기시설이 창문 을 통한 자연환기시설로 환기율이 부족한 상태로, 산후 조리원의 시설은 신축 또는 개축한 건물(Ryu, 2010)로 실내장식을 위한 가구와 바닥 천장재의 미장재 및 마 감재의 건축재료에 의한 원인으로 판단되며, 방향제 및 소독제 등의 사용도 폼알데하이드가 높은 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폼알데하이드의 노출을 막기 위해서 는 친환경 건축자재 사용 및 충분한 환기가 필요하며, 자연 환기가 어려운 경우에는 보조적으로 공기청정기 를 사용하여(Ryu, 2010; ME, 2017) 신생아 및 산모의 건강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3.2.3 시설별 총부유세균(TBC) 농도

    본 연구의 시설별 총부유세균 농도를 Table 4에 나 타내었다.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노인요양시설 266.5 CFU/m3, 보육시설 538.1 CFU/m3, 산후조리원 257.8 CFU/m3로 보육시설이 가장 높았고, 산후조리원 이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총부유세균 농도는 국내 실내공기질관리 법에서 정하는 총부유세균의 기준인 800 CFU/m3 보다 는 낮게 나타났지만, 유지기준과 농도비가 0.72로 지속 적인 관리가 필요한 농도 수준으로 생각되며, 본 연구 결과에서 총부유세균의 가장 농도가 높은 보육시설의 경우 환기가 부족하여 세균이 활발히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일 뿐만 아니라 영·유아들 스스로 청결에 대한 의 식이 부족하고(Park, 2011), 교실 내에서 식사 등 음식 물의 섭취가 이루어져(Kim, 2016), 농도가 높았을 가 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보육시설 내에 화장실이 있거나, 대부분의 시설에서 내부에 주방시설이 존재한다는 기존의 조사 결과를 고려한다면(Lee et al., 2013; Park et al., 2017) 시설 내 습도가 높아지게 되고 부유세균이 증식하게 되는 환경이 조성돼서 도출된 결과로도 생각된다.

    이러한 시설의 총부유세균 농도를 줄이기 위해서는 활동에 필요한 교구가 갖추어진 활동 공간은 사용 후 엔 반드시 청소 및 세척을 해야 하며, 화장실같이 습도 가 높은 공간은 바닥에 물기가 없도록 반드시 환기를 해주어야 하고, 사용하는 카펫 및 이불의 정기적인 세 탁을 실시하여(ME, 2017; Ryu, 2010), 실내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3.3 지역별 오염물질의 농도

    3.3.1 지역별 미세먼지(PM10) 농도

    본 연구의 지역별 미세먼지의 농도를 Table 5에 나 타냈다. 지역별 미세먼지의 평균 농도는 서울특별시 46.3 μg/m3, 세종특별자치시 53.6 μg/m3, 대구광역시 49.9 μg/m3, 울산광역시 45.1 μg/m3로 세종특별자치시가 가장 높았고, 울산광역시가 다소 낮은 농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미세먼지 농도는 세종시가 53.6 μg/m3 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세종시의 경우 녹지 비율은 타 신도시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나, 녹지 조성 사업 이 완료되지 않고 나대지 상태로 남아 있는 토지가 많 아 비산먼지 발생 등에 의한 외부 먼지와(KEI, 2015) 대부분 건설업과 관련된 건설장비, 화물차, 농기계에서 배출되는 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종시 다음으로 대구시의 미세먼지 농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대구시의 경우 대표적인 분지 지역으로써, 분지지역에서는 기온역전 현상이 자주 발 생하며, 기온역전이 발생되면 공기의 상하이동이 일어 나지 않아 지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지상층 에 머무르게 되고 계속하여 쌓이면서 그 농도가 상승 하여(ME, 2016), 이러한 현상이 미세먼지의 농도에 영 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서울시의 경우 미세먼지의 농도가 46.3 μg/m3로, 다 른 지역에 비해 비교적 낮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국 내 법 적용 다중이용시설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 지역 에 위치하고 있어 다른 시도지역에 비해 법 적용 대상 다중이용시설의 실내공기질 개선 및 유지관리에 관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Park et al., 2017), 실 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여러 사업이 지속적으로 수행되 고 있으며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커 관리에 집중한 효과로 생각된다.

    다양한 시설의 실내공기는 기본적으로 시설의 주변 환경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시설이 위치한 주변 환경 의 여건에 따라 외부로부터 다양한 오염물질들이 창이 나 문 등의 개구부, 건물의 틈새를 통해 시설 내로 유 입 될 수 있기 때문에(ME, 2011b) 가급적 오염물질 배 출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장소에 시설을 마련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3.3.2 지역별 폼알데하이드(HCHO) 농도

    본 연구결과 지역별 폼알데하이드의 농도를 Table 6 에 나타내었다. 폼알데하이드의 평균 농도는 서울특별 시 29.4 μg/m3, 세종특별자치시 18.3 μg/m3, 대구광역 시 25.0 μg/m3, 울산광역시 27.3 μg/m3로 서울특별시와 울산광역시가 비슷하게 높았고, 세종특별자치시가 다 소 낮은 농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서울시의 폼알데하이드 평균 농도는 29.4 μg/m3이며, 폼알데하이드는 건축 자재와 실내 가 구 및 장식용품에서도 발생 될 수 있고(Yang et al., 2007) 실내 가구의 칠, 난방연료의 연소과정, 흡연, 생 활용품, 접착제, 의약품 등에서도 배출된다고 보고하고 있다(ME, 2002). 본 연구에서 서울시의 폼알데하이드 농도가 높게 나타난 원인으로는 서울시와 주변지역의 재개발 및 재건축 사업으로 인하여(Park et al., 2016), 빌딩이 숲을 이루는 현대적 도시의 특징을 갖게 되어, 이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또한, 폼알데하이드는 시공 시 건축자재물중의 페인트나, 단열재와 같은 오염원등 의 이유로 농도가 높아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환기 등으로 자연적으로 농도가 낮아지는데(Byeon et al., 2002) 5층 이상의 건물의 경우에는 고층일수록 건축년 도가 신축인 경우로(In, 2005), 시설들의 실내공기질 에 영향을 많이 준 것으로 생각된다.

    3.3.3 지역별 총부유세균(TBC) 농도

    본 연구의 지역별 총부유세균의 농도를 Table 7에 나타냈다. 총부유세균의 평균 농도는 서울특별시 496.6 CFU/m3, 세종특별자치시 529.4 CFU/m3, 대구광역시 532.2 CFU/m3, 울산광역시 486.8 CFU/m3로 대구광역 시가 가장 높았고, 울산광역시가 다소 낮은 농도를 보 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구지역에서의 총부유세균 농도가 532.2 CFU/m3로 다른 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이는 대구시가 대표적인 분지지역이며, 다른 지역에 비하여 고온 다습하고(Han et al., 2015), 기후변화로 인한 폭 우와 폭염이 자주 발생되는 지역이기 때문에 부유세균 의 농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였다.

    부유세균은 온도와 습도가 높아질수록 농도가 높아 지며, 실외에서 발견되는 세균은 날씨, 계절, 지형학적 위치 등에 따라 그 수가 달라지고, 실내공간에서 확산 가능성이 있으므로(Jeon et al., 2009) 시급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특히 면역력이 약한 어린이, 노 약자들이 주로 이용 및 재실 하는 시설에 대한 실내공 기질 관리가 체계적으로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결 론

    2012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특별시, 세종 특별자치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에 위치한 민감취 약계층 이용시설인 노인요양시설, 보육시설, 산후조리 원 3개 시설을 대상으로 미세먼지(PM10), 폼알데하이 드(HCHO), 총부유세균(TBC)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공기오염물질 중 미세먼지 농도는 47.2 μg/ m3, 폼알데하이드는 28.1 μg/m3, 총부유세균은 506.5 CFU/m3의 농도 분포를 보였다.

    2. 시설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는 보육시설이 49.5 μg/m3으로 가장 높았고, 산후조리원이 38.7 μg/m3 으로 다소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 의한 연관성을 보였다(p<0.01).

    3. 폼알데하이드의 시설별 농도분포는 산후조리원이 54.9 μg/m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노인요양시설 은 18.8 μg/m3, 보육시설 23.5 μg/m3로 산후조리 원과 큰 차이를 보였다. 총부유세균의 농도는 보 육시설이 538.1 CFU/m3로 가장 높았고, 노인요양 시설 266.5 CFU/m3, 산후조리원 257.8 CFU/m3 순으로 나타났다.

    4. 지역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중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세종시가 53.6 μg/m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 고, 폼알데하이드 농도는 서울시가 29.4 μg/m3로 가장 높았다. 총부유세균 농도에서는 대구시가 532.2 CFU/m3로 가장 높은 농도로 제시되었다.

    5. 각각 민감시설의 지역별 오염물질 농도의 분포는 미세먼지 농도의 경우 울산시의 산후조리원이 56.5 μg/m3으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시의 보육시 설이 55.0 μg/m3로 비슷하게 높게 나타났고, 세종 시의 노인요양시설이 30.0 μg/m3으로 가장 낮은 농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민감계층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오염된 실내공기질에 의한 건강피해 예방에 도움이 되고, 실내 공기질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 라고 생각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의 자료제공과 순천 향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수행되었습니다.

    Figure

    Tabl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measured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PM10 in the facilities measured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HCHO in the facilities measured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TBC in the facilities measured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PM10 in different cities measured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HCHO in different cities measured in this study

    Concentration of TBC in different cities measured in this study

    Reference

    1.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e (ACGIH), 2016.
    2. Ahn, K. , 2014. The role of air pollutants in atopic dermatitis .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134(5), 993-999.
    3. Bae, H. J. , 2014. Effects of short-term exposure to PM10 and PM2.5 on mortality in Seo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40(5), 346-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yeon, S. H. , Kim, Y. W. , Sohn, J. R. , Moon, K. W. , 2002. Evaluation of formaldehyde concentrations according to time in the indoor of apartment . Journal of Health Science & Medical Technology28(1), 50-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 E. J. , Kwak, J. , Kim, M. K. , 2011.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socially disadvantaged Class.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 Environment 20(1), 122-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ho, K. H. , Kwon, S. J. , Sung, M. K. , Kim, S. S. , 2017. Analysis of Indoor Air Quality in vulnerable facilities according to building characteristics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23(2), 19-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B. S. , 2017. A Study on the Indoor Air Quality of Homes in Winter Season.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8. Choi, I. S. , 2011. A Study of Indoor Air Quality in Various Types of Public Facilities in Seoul. Master's Thesis. The University of Seoul.
    9. Han, S. W. , Lee, S. H. , Lee, H. W. , 2015.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M Distribution in Coastal and Inland Cities Correlation and Its Correlation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24(11), 1513-15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In, J. S. , 2005. Indoor Formaldehyde concentration and factors connected with it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Interm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2012.
    11. Jang, E. A. , Kim, J. S. , Kim, B. J. , Kim, M. J. , Park, I. B. , Kim, J. B. , Kim, K. S. , Lee, J. G. , 2017. A study on PM2.5 pollution in public use facilities in Gyeonggi province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6(2), 157-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eon, H. L. , Cho, S. Y. , Cho, H. R. , Cho, T. J. , Park, J. A. , Son, B. S. , 2009.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of formaldehyde in public Facilities in Cheon-An area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24(2), 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eon, M. O. , 2010. A study on characterization of indoor airquality in public facilities.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14. Jung, Y. H. Lee, J. D., 2007. Study of hygiene conditions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Journal of Future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403-425.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15. Kang, H. J. , Jung, G. H. , Jung, K. C. , Shin, C. H. , Kim, D. H. , 2014. An analysis of fine particles and aldehyde in airinside and outside the schools in sihwa industrial complex and neighboring area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3), 192-1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D. H. , 2016. Comparison of indoor air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lti-use facility in gwangju and chonnam.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7. Kim, S. Y. , Jheong, W. H. , Hwang, E. S. , Kim, J. H. , Jung, J. S. , Lee, J. W. , Chung, H. M. , Kwon, M. H. , 2016. Airborne bacteria concentration and species identification in residential living spaces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42(6), 438-4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T. W. , 2012.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and Energy performance in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n the Ventilation systems.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19. Kim, Y. S. , Roh, Y. M. , Hong, S. C. , Lee, C. M. , Jun, H. J. , Kim, J. C. , Cho, J. H. , 2005. A survey of indoor air quality in public facilities . Indoor Environment and Technology1(2), 144-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orea Environment Institute (KEI), 2015. Air quality management planning of Sejong city.
    21. Lee, C. M. , Park, T. H. , Park, S. H. , Park, S J. , 2017a.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in indoor air in an elderly activity space in Yeongwol county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6(3), 211-2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J. H. , Oh, I. B. , Kim, M. H. , Bang, J. H. , Park, S. J. , Yun, S. H. , Kim, Y. H. , 2017b. Change in the Prevalence of Allergic Diseases and its Association with Air Pollution in Major Cities of Korea - Population under 19 Years Old inDifferent Land-use Areas-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43(6), 478-4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S. H. , Ko, J. C. , Lee, J. S. , 2011. The effect on urban child's health by indoor environment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11(2), 193-204. (in Koreanwith English abstract)
    24. Lee, S. H. , Jeong, S. K. , Lee, K. S. , Min, K. W. , Kim, H. S. , Kim, D. S. , Kang, Y. J. , Bae, S. J. , 2013.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pollutants using regression analysis in public facilitie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16(2), 123-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S. W. , Heo, Y. M. , Han, S. Y. , Kim, D. K. , 2014. Emiss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particles and bacteria from household vacuum cleaners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4), 256-2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Y. G. , Kim, N. H. , Jang, J. W. , Jeon, H. D. , Kim, D. S. , Cho, Y. G. , Kim, E. S. , 2015. Efficiency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removal using 7 indoor plants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4(2), 93-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im, J. H. , 2011. Analysis and methods of improving current conditions for indoor air quality in child care facilities.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28. Logue, J. M. , Mckone, T. E. , Sherman, M. H. , Singer, B. C. , 2011. Hazard assessment of chemical air contaminants measured in residences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oor Environment and Health21(2), 92-109.
    29.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2. A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method.
    30.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07. Survey on indoor air quality in multi-use facilities(II)-wedding hall indoor gym showroom social welfare facility.
    31.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0. Indoor air quality process test standard.
    3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1a. Multi-use indoor air quality consulting business: Elderly care facility, day care center, posnatal care center.
    33.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1b. Day care center and Child welfare facility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manual.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What is fine dust.
    34.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tion guidelines for indoor air pollutants.
    35. Park, G. J. , Lee, S. C. , Lim, D. M. , Park, S. D. , Lee, S. C. , Yoo, C. G. , Kim, S. Y. , Heo, J. , Lee, Y. J. , 2016. Seoul 2,000 year history, 35 City construction of modern Seoul.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36. Park, J. H. , 2010. A study on the field survey of the IAQ in the child care center. Master's Thesis. Choung Ang University.
    37. Park, S. G. , 2011.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 quality in the public facilities, Ulsan.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Ulsan.
    38. Park, T. H. , Kim, K. R. , Kwon, S. M. , EO, S. M., Shin, J. H., Jung, K., Kwon, M. H., Lee, C. M., 2017.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in facilities for medically sensitive users in Seoul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6(4), 345-355. (in Korean with Englishabstract)
    39. Ryu, H. S. , Hong, S. P. , Kwon, W. T. , 2014. Measure and measurements of indoor air quality at remodeling and newly-built school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2), 153-1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Ryu, I. C. , 2010. A study characteristic on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isk assessment in multi-use facilities. Master'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41. Sohn, J. R. , Kim, J. M. , Oh, H. J. , Nam, I. S. , Yang, J. H. , Lee, D. H. , Lee, B. Y. , 2014. Assessment of particles and bioaerosol concentrations at daycare centers in Seoul .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13(1), 40-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2. Burden of disease from household air pollution for 2012.
    43. Yang, J. Y. , Lim, Y. W. , Park, S. G. , Hong, C. H. , Kim, C. S. , Shin, D. C. , 2007. Factors related to aldehydes exposure and symptoms in residential indoor air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and Toxicology22(1), 37-47.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44. Yang, W. H. , Lee, S. K. , Seo, S. G. , Ahn, H. G. , 2012. Estimating Personal Exposures to Air Pollutants inUniversity Students Using Time-Weighted Average Model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9(4), 355-3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