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6 No.3 pp.211-217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7.16.3.211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in indoor air in an elderly activity space in Yeongwol county

Cheol Min Lee*, Tae Hyun Park, Si Hyun Park, Se Jung Park
Derpartment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Seokye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82-2-940-2924cheolmin@skuniv.ac.kr
May 10, 2017 September 16, 2017 September 20, 2017

Abstract

Senior citizens are reported to be highly sensitiv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including fine particulate mat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s of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town halls and senior citizens’ halls, where senior citizens typically spend a lot of time.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will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conducting indoor air quality studies and establishing a regional environmental health policy governing senior citizens’ facilities in Yeongwol county in the future. From January 4 to February 1, 2017,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in 170 seniors’ facilities located in Yeongwol county were measure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M10 and PM2.5 that were measured from each seniors’ facility chosen from Yeongwol county were 25.1 ± 18.9 μg/m3and 12.5 ± 9.3 μg/m3 respectively. Average concentrations and the average of maximum concentrations were lower than the living space standard of 100 μg/m3 for PM10 and the atmospheric environment standard of 50 μg/m3 for PM2.5, which were set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for populations vulnerable to environmental pollu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urces in seniors’ facilities in Yeongwol county during the winter months, it was found that indoor sources of air pollution such as cooking is main sources rather than outdoor sources of air pollution.


영월군 내 어르신 활동 공간 실내공기 중 PM10 및 PM2.5 분포 특성 조사 연구

이 철민*, 박 태현, 박 시현, 박 세정
서경대학교 화학생명공학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서 론

    영월은 강원도에 위치한 산간 지역으로 2개의 시멘 트 공장과 석회석 노천광산이 다수 위치하고 있어 PM10 및 PM2.5의 지역 배출량이 매우 높을 것으로 여 겨지는 지역으로 시멘트 공장으로부터 배출되는 대기 오염물질로 인한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되어져 오고 있 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영월에 위치한 시멘트 공장 주변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영향 조사를 수 행하는 등 환경보건학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Cho et al., 2016). 일반 실외환경 중의 미세먼지 농도 증가는 실내 미세먼지 농도의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축물의 실내는 환기와 침기 등에 의해 외부공기와 지속적으로 교환한다. 이 때 미세먼지 역시 건축물의 외피 및 창호의 틈새 또는 개구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어 실내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상승 시키게 된다(Liu and Nazaroff, 2001).

    최근 국내의 경우 일반 실외환경의 미세먼지 오염 증가로 인한 국민 건강 저하에 대한 중요한 사회적 환 경문제로 등장하였다. 미세먼지와 건강과의 관련성 연 구는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의 단기간 변화에 관한 연구와 장기간 변화에 관한 연구로 구분되어지고 있다. 단기간 건강영향 변화 연구는 급성노출에 의한 사망률 및 입원율의 변화, 폐 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들로 미세먼지와 호흡기계 증세 또는 폐 기능과의 관 련성을 평가한 연구들이 보고되었다(Pope III, 2000). 반면 장기 건강영향에 관한 대표적 연구로는 Pope III et al. (2002)에 의해 수행된 연구로 미국 도시지역 거 주자 500,000명을 대상으로 PM2.5의 노출과 심장질환 및 폐질환과의 관련성을 조사한 연구로 미세먼지 농도 가 증가될 때 폐암과 심장질환 사망 위해도 모두가 비 례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미세 먼지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으로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급만성 호흡기 질환, 폐암, 심혈관계 질환, 뇌졸중 등의 발병과 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ang, 2014). 이와 같은 연구들의 대부분은 실외 공기 중 미세먼지와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로 현대인의 경우 다양한 실내 환경에서 24시간 중 거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음을 고려할 때 실내 환경에서의 미 세먼지 노출에 의한 건강영향에 관한 연구는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어린이, 노약자 및 병약자들의 경우 대부분의 시간 을 실내 환경에서 보내고 있으며, 특히 나이가 증가함 에 따라 사람들이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증가하고, 실 외에서 이동하는 시간은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Barshe and Bischof, 2005). 특히, 어 린이, 노약자 및 병약자들의 경우 환경오염취약계층으 로 분류되어 환경오염물질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 로 알려져 있다(Faustman et al., 2000). 최근 이들 환 경오염취약계층을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은 환경보건학적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 리 잡고 있다.

    본 연구는 영월군에 거주하시고 계시는 어르신들의 대표적 거주공간인 주택 다음의 제 2의 거주공간이자 생활공간인 마을회관 및 경로당과 같은 어르신 활동공 간을 대상으로 PM10 및 PM2.5 농도 관리를 위한 미세 먼지 저감설비 설치에 관한 지역 환경보건 정책 사업 추진에 앞서 이 지역 환경 보건정책 사업 추진에 관한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한 사전 조사 및 스크린 조사를 목적으로 한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2.연구방법

    2.1.연구대상 및 기간

    본 연구는 2017년 1월 4일부터 2월 1일까지 영월군 에 위치한 전체 170개의 어르신 활동 공간 전수를 대 상으로 실내공기 중의 PM10 및 PM2.5 농도를 조사하였 다. PM10 및 PM2.5의 측정은 분진 측정기(MET ONE- 831, Met One Instruments Inc., USA)를 이용하여 어 르신 활동공간의 실내공기질을 대표할 수 있는 중앙 지점(단, 외부의 기류나 공조시설의 영향을 받을 것으 로 예상될 때에는 이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는 지점)에 어르신들의 호흡 영역을 고려하여 바닥으로부터 1 m 높이에서 이루어졌다. 측정은 10분 단위로 측정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측정기 설치가동 후 3개의 결과 즉, 30분간의 측정 자료는 측정기의 안정화 등을 고려하여 결과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측정은 측정기의 안정화 시 간인 30분을 제외하고 2시간 동안 연속 측정이 이루어 졌으며, 각 측정대상 어르신활동공간별로 점심 조리 및 식사시간이 측정시간 내에 포함되도록 하였다.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2.2.어르신 활동 공간 실내 공기 중 PM10 및 PM2.5 농 도 증감 환경요인 도출

    영월군의 경우 미세먼지 발생원이 다른 지역에 비해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 에서는 이들 발생원에 의한 미세먼지 발생이 어르신 활동 공간 내 실내공기질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 기 위하여 조사대상 어르신 활동 공간 주변에 시멘트 공장, 시멘트 클리커, 석회공장, 연탄공장 및 영월역과 태백선로와 38국도의 교차로가 어르신 활동공간으로부 터 3 Km 이내 위치하고 있는 어르신활동공간들과 이 들 발생원이 소재하지 않는 어르신 활동공간들로 구분 하여 실내 PM10 및 PM2.5의 농도 분포를 student's ttest를 활용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PM10과 PM2.5의 구성비 조사를 통해 영월군 소재 어르신 활동 공간 내 미세먼지의 발생원을 추정하였다.Table 1

    3.연구결과

    3.1.영월군 어르신 활동 공간 실내공기 중 PM10 및 PM2.5의 농도분포

    영월군에 위치한 어르신 활동 공간 실내공기 중 PM10 및 PM2.5의 각 조사대상시설에서 조사된 평균농 도에 대한 평균농도는 각각 25.1 ± 18.9 μg/m3, 12.5 ± 9.3 μg/m3으로 조사되었으며, 각 시설에서 조사된 최대 농도의 평균농도는 각각 70.5 ± 86.6 μg/m3, 25.9 ± 30.8 μg/m3로 조사되었다. PM10의 경우 환경부의 실내공기 질 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노 인요양시설 및 어린이집의 유지기준인 100 μg/m3에 비 해 각 시설별 평균농도의 평균 농도 값과 최대농도의 평균농도 값 모두 낮은 농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PM2.5 역시 국내 실내 환경에 관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아 일반대기환경에서 정하는 기준인 일평 균 50 μg/m3와 비교시 낮은 농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 으로 조사되었다. 환경부에서 정하고 있는 환경오염취 약인구 거주공간에서의 PM10 기준인 100 μg/m3을 초 과하는 어르신 활동공간의 수는 평균농도의 경우 1개 시설이, 최대농도의 경우 33개 시설이 기준을 초과하 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PM2.5의 대기환경기준 인 50 μg/m3을 초과하는 어르신 활동공간의 수는 평균 농도의 경우 PM10과 같이 1개 시설이, 최대농도의 경 우 14개 시설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 었다.

    3.2.주변 환경 특성 따른 영월 소재 어르신 활동 공간 실 내공기 중 PM10 및 PM2.5의 농도분포

    조사대상 어르신 활동 공간 주변에 시멘트 공장, 시 멘트 클리커, 석회공장, 연탄공장 및 영월역과 태백선 로와 38국도의 교차로가 어르신 활동공간으로부터 3 km 이내 위치하고 있는 어르신활동공간들과 이들 발 생원이 소재하지 않는 어르신 활동공간들로 구분하여 실내 PM10 및 PM2.5의 농도 분포 비교한 결과 Table 2 와 같은 결과를 산출하였다. 조사대상 어르신 활동 공 간 주변에 미세먼지 발생원으로 알려져 있는 발생원이 존재하는 어르신 활동 공간 내 PM10 및 PM2.5의 평균 농도는 각각 24.4 ± 16.2 μg/m3, 12.8 ± 9.1 μg/m3인 반 면 발생원이 존재하지 않는 어르신 활동 공간 내 PM10 및 PM2.5의 평균농도는 각각 25.9 ± 21.8 μg/m3, 12.2 ± 9.6 μg/m3으로 조사되어, 발생원 유무에 따른 PM10 및 PM2.5의 농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각, p > 0.05). 이는 본 조사가 겨울철 에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공기의 유입이 차단된 상태로 겨울철 영월군에 소재한 어르신 활동 공간 내 공기 중 의 PM10 및 PM2.5 농도는 실외 발생원에 의한 영향보 다는 실내 발생원 등의 다른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음 을 시사하는 결과로 여겨진다.

    또한 조사대상 시설 내 미세먼지 농도 증감에 기여 하고 있는 발생원을 간접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PM10 농도에 함유되어있는 PM2.5 농도의 구성비를 조사하여 일차적으로 미세먼지 농도 증가에 기여하는 발생원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영월군 소재 어르신 활동공간 내 PM10 농도에 함유되어 있는 PM2.5 농도의 구성비는 Table 3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0.51 ± 0.15로 조사되었 다. 실내 공기 중의 PM10에서 PM2.5사이 미세입자 농 도의 경우 실내 발생원에 영향을 받으며, 입자의 직경 이 작아질수록 실내 발생원보다는 실외 인위적 오염원 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Brani et al., 2005; Choi, 2008). 이와 같은 선행 연구결과들의 보고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조사된 PM2.5의 구성비 의 경우 약 0.5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선행 연구결과들(Brani et al., 2005; Choi, 2008)을 고려할 때 실내보다는 실외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받 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선행된 주변 실외 발생 원 유무에 따른 조사대상 시설 내 평균농도 비교 결과 와는 상반되는 결과로 실외 미세먼지의 인위적 발생원 들에 의한 실내 공기 중 PM2.5 농도의 증가보다는 실 내 PM2.5 미세먼지의 농도 증가에 기여하는 발생원의 존재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4.고 찰

    최근 국내 빠른 속도의 고령화에 의한 고령화 사회 (Ageing Society)의 진입과 이로 인해 발생되는 다양한 문제들은 중요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고 있다. 노인인 구의 증가에 따른 노인들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가 활 발히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대부분 경제, 의료문제, 여 가활동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도시에 비해 농촌노인의 인구비율이 압도 적으로 높지만 노인인구들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대부 분 도시에 집중되어 있고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Kim et al., 2011). 특히 고령자의 경우 환경오염취약계층으로 분류되어 환경오 염물질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 어(Faustman et al., 2000), 이들 노인인구를 위한 환경 보건학적 관심의 증대 및 환경보건정책 수립은 더 이 상 미룰 수 없는 국내 환경보건 분야에 있어 새로운 과 제라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중국의 산업화 및 황사현 상에 의한 동북아 오염물질 장거리 이동에 의한 국내 미세먼지의 증가와 국내 교통 환경 중 경유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미세먼지 증가로 인한 국민 건강상의 문 제는 더 이상 새로운 환경보건 분야의 문제가 아닌 적 극적 해결방안을 모색하여야할 사회적 환경문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지역인 영월군에 거주하 시고 계시는 어르신들의 대표적 거주공간인 주택 다음 의 제 2의 거주공간이자 생활공간인 어르신 활동공간 을 대상으로 PM10 및 PM2.5 농도 관리를 위한 미세먼 지 저감설비 설치에 관한 지역 환경보건 정책 사업 추 진에 앞서 사업 추진에 관한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한 사전 스크린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졌다.

    미세먼지의 발생원 규명에 관한 연구 대부분은 미세 먼지 내의 함유물들의 성분 분석 및 통계적 분석을 활 용하여 발생원 규명 등을 수행하여 오고 있다. 환경부 및 실내공간에서 미세먼지 측정에 사용된 이전 연구에 서는 미세먼지 농도 조사에 중량법에 의한 기기의 활 용을 권장하고 있는데(ME, 2010; Oh et al., 2013; Kim et al., 2014) 이러한 중량법에 의한 결과의 경우 본 연구에서 실태조사에 활용한 광산란법에 의한 측정 기기보다 결과의 정확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의 정량적 농도조사에 있어 결과분석 에 있어 그 한계점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중 량법에 의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기기의 경우 실시간 농도 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보유하 고 있으며 미세먼지 농도 측정에 있어 보조적으로 활 용되고 있다(Rattigan et al., 2011; De Marco et al., 2016). 또한 상기에 제시한 바와 같이 환경보건 정책 사업 추진에 앞서 단기간에 거주공간에서의 실시간 미 세먼지의 농도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 역 환경보건정책 사업추진의 필요성을 검토하기 위한 사전조사 및 스크린을 목적으로 수행한 연구라는 점으 로 본 연구에서 이용된 측정기기의 타당성을 부여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영월군에 위치한 어르신 활동 공간 실내공기 중 PM10 및 PM2.5 농도 분포를 조사한 결과 PM10의 경우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의료기 관, 산후조리원, 노인요양시설 및 어린이집의 유지기준 인 100 μg/m3을 초과하는 어르신 활동공간의 수는 평 균농도의 경우 1개시설이, 최대농도의 경우 33개 시설 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PM2.5 의 경우 실내공기 중의 기준이 없으나 ME (2002)의 실내기준을 실외 대기환경기준과 동일하게 보는 보고 평가하는 것은 실내 공기의 정화를 위해서는 외기를 곧바로 환기용으로 사용할 수 없으며, 별도의 정화설비 를 사용해야 함을 암시한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 기환경기준인 50 μg/m3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이를 초과하는 어르신 활동공간의 수는 평균농도의 경우 PM10과 같이 1개 시설이, 최대농도의 경우 14개 시설 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 은 결과를 통해 PM10 및 PM2.5 평균농도가 각각의 기 준을 초과하는 시설이 각 1개의 시설이지만 최대농도 의 경우 각각 33개 및 14개 시설에서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영월군 소재 어르신 활동공간의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의 관리에 관한 지역 환경보건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월군의 경우 다수의 시멘트 관련 사업장과 연탄 공장 등이 위치하고 있으며, 강원도와 내륙지역을 연결 하는 38국도가 위치하는 등 다양한 미세먼지 발생원이 존재하고 있어 영월군 소재 어르신 활동공간 내 실내 공기 중의 PM10 및 PM2.5 농도 증가에 기여하는 발생 원 규명을 통한 지역 환경보건 정책 수립의 방향을 제 시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들 발생원 유무에 따른 어르 신 활동공간 실내공기중의 PM10 및 PM2.5 농도를 비교 한 결과 실내공기중의 미세먼지 농도는 실외 발생원에 큰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론 본 연구가 겨울철에 단기간 수행된 결과임을 고려할 때 실내 보온을 위한 목적으로 단열에 의한 외부공기 유 입이 차단된 상태에서 조사되어 실외 발생원의 영향이 배제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영월군 의 경우 농촌지역으로 지역적 특성상 어르신 활동공간 의 이용 횟수나 거주시간이 농번기보다는 겨울철 농한 기에 증가함을 고려할 때 선행적으로 실외발생원에 관 한 관리보다는 실내발생원에 대한 관리를 통한 실내공 기질 관리방안 수립 및 실행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발생원의 규명을 위해 PM10 농도에 함유되어 있는 PM2.5 농도의 구성비를 조 사하여 일차적으로 조사대상 어르신 활동 공간 내 미 세먼지 농도 증가에 기여하는 실내 발생원을 추정하였 다(Fig. 1). PM10 농도에 함유되어 있는 PM2.5 농도의 구성비 조사결과 PM2.5의 구성비의 평균값이 0.5 이상 의 값을 나타냈으며, 겨울철 영월군 소재 어르신 활동 공간의 실내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는 실외 발생원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고려할 때 실내 PM2.5의 발생원에 의한 영향이 존재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내 공기 중의 PM10에서 PM2.5 사이 미세입자 농도의 경우 실내 발생원에 영향을 받 으며, 입자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실내 발생원보다는 실 외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 고 있다(Brani et al., 2005; Choi, 2008). 이와 같은 선 행 연구결과들의 보고를 고려할 때 본 연구에서 조사 된 PM2.5의 구성비의 경우 약 0.5이상의 높은 값을 나 타내고 있어 실내보다는 실외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영향을 받고 있는 여겨지나 선행된 주변 실외 발생원 유무에 따른 조사대상 시설 내 평균농도 비교 결과와 는 상반되는 결과로 실외 미세먼지의 인위적 발생원들 에 의한 실내 공기 중 PM2.5 농도의 증가보다는 실내 PM2.5 미세먼지의 농도 증가에 기여하는 발생원의 존 재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ME (2002)의 보고에 의 하면 ‘초미세입자(Aitken nuclei) 범위에 속하는 입자는 보통 0.08 μg 이하의 크기를 갖는 입자를 지칭하며 연 소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배출되거나 배출원에서 가스 상으로 배출된 이후 곧바로 냉각, 응축되어 생성된다. 초미세입자(Aitken nuclei)영역에 속하는 입자는 대기 중 체류시간이 매우 짧다. 이는 대기 중에서 보다 큰 입자와 급속히 병합되거나 구름이나 안개 액적 핵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배출원에서 새로이 배출된 배가스 중 에서나 대기 중에서 새로이 생성된 입자 등에서 검출 가능하다. 축적범위(accumulation range)에 해당되는 입자는 0.08~2.00 μg 크기를 갖는 입자를 지칭하며, 이 러한 입자는 연소과정, 휘발성 물질의 응축, 가스-입자 전환이나 지면의 토양먼지 등에서 발생한 보다 작은 입자들의 병합으로부터 생성된다. 초미세 입자 영역과 축적 범위에 속하는 입자들의 화학성분은 H+, SO42-, NH4+, OC (Organic Carbon)과 EC (Elemental Carbon) 등 이온이 풍부하고 이중에서도 OC와 SO42−가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μg보다 큰 조대입자 (coarse particle)은 주로 기계적인 처리과정, 지각, 해양 기원성분으로 구성되며, 이 밖에도 꽃가루, 포자 등과 도로 위의 각종 쓰레기, 나뭇잎과 타이어 마모로 인한 먼지 등 주로 자연적인 배출원을 통해 배출된다.’ 라고 보고하였다. Brani et al. (2005)Alshitawi and Awbi (2011)의 학교 환경을 대상으로 PM10, PM2.5, PM1의 세 가지 입경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 보고에 의하면 실내 1~2.5 μg의 농도는 실외 발생원이 주요 발생원이 며, 2.5~10 μg의 경우 학생들의 활동이 주요 발생원임 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또한 Hussein et al. (2006) 은 0.014~0.552 μg의 ultra fine particle의 경우 실내에 서 연소를 동반하는 조리와 흡연이 주요 발생원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PM2.5의 구성비 결과와 어르 신 활동 공간 내 거주자들의 행동 특성 및 이들 선행연 구결과의 보고에 비추어 볼 때 영월군 소재 어르신 활 동 공간 내 겨울철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 증가 는 실내 조리를 위한 연소 활동에 의한 영향인 것으로 여겨진다. 다음 그림은 이를 확인을 위해 영월군 어르 신 활동공간에서 조사된 PM10 및 PM2.5의 시간별 평균 농도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 조리활동이 이루어지는 11시부터 13시의 농도가 다른 시간대의 농도에 비해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향후 어르 신 활동 공간 실내공기질 관리방안 수립에 있어 조리 시의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관리방안 수립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5.결 론

    영월은 시멘트 공장 및 석회석 노천광산 등 다수의 분진 배출원이 위치하고 있으며 관련 민원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어 과거 정부 및 여러 연구기관들에 의해 실외 미세먼지 농도 조사 연구와 주민 건강영향 조사 등이 수행되어졌으나 실내 환경에 대한 조사는 전무한 실정에 있다. 특히 최근 국내 사회적 문제인 노령화사 회로의 진입과 환경문제인 노약자와 같은 환경오염 취 약자의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 마련의 필요성 증가 등 을 고려하여 이들 노약자들이 주택 이외 가장 많은 시 간을 보내는 어르신 활동 공간 내 미세먼지 농도분포 를 조사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영월지역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 및 지역 환경보건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목적의 일환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획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 과 같다. 영월군에 위치한 어르신 활동 공간 실내공기 중 PM10 및 PM2.5 농도 분포를 조사한 결과 PM10의 경우 환경부의 실내공기질 관리법에서 정하고 있는 실 내공기 중 유지기준인 100 μg/m3을 초과하는 어르신 활동공간의 수는 평균농도의 경우 1개 시설, 최대농도 의 경우 33개 시설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되었으며, PM2.5의 경우 대기환경기준인 50 μg/m3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이를 초과하는 어르신 활동공간 의 수는 평균농도의 경우 1개 시설, 최대농도의 경우 14개 시설이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르신 활동 공간 내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발생원을 규명을 위한 실외 발생원 유무에 따른 실내공기 중의 농도 비교 및 PM10에 대한 PM2.5 구성비 평가한 결과 본 연구의 경우 겨울철에 수행된 연구로 단열난방을 위한 이유 등으로 실외 발생원에 의한 영향보다 조리 활동 등의 실내 발생원에 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조 사되었다.

    본 연구는 영월 소재 환경오염취약계층인 노약자를 대상으로 이들 어르신들의 대표적 거주공간인 주택 다 음의 제 2의 거주공간이자 생활공간인 마을회관 및 경 로당과 같은 어르신 활동공간을 대상으로 PM10 및 PM2.5 등의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공기청정기 등의 저감설비 설치에 관한 지역 환경보건 정책 사업 추진 에 앞서 지역 환경보건정책 사업 추진에 관한 필요성 을 검토하기 위한 사전 조사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로 연구기간 및 조사항목 등이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제한적인 연구결과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영월 소재 어 르신 활동공간을 대상으로 최초로 수행된 실내공기질 개선 및 환경보건정책 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로서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영월군에서의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실내공기질 및 환경보건증진 연구의 수행이 기대된다.

    Figure

    JOIE-16-211_F1.gif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distribution over time in Yeongwol county.

    Tabl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PM10 and PM2.5 in indoor air in Yeongwol county (Unit: μg/m3)

    Comparis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in elderly activity space in Yeongwol county based on existence of outdoor source

    PM2.5/PM10 composition ratio in the elderly activity space in Yeongwol

    Reference

    1. Alshitawi M.S. , Awbi H.B. (2011)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effect of students '(tm) activities on airborne particulate concentration in a classroom , HVAC & R Res, Vol.17 (4) ; pp.446-464
    2. Barshe S. , Bischof W. (2005) Daily time spent indoors in German homes-baseline data for the assessment of indoor exposure of German occupants , Int. J. Hyg. Environ. Health, Vol.208 (4) ; pp.247-253
    3. Brani M. (2005)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PM10, PM2.5, and PM1 in a classroom , Environ. Res, Vol.99 (2) ; pp.143-149
    4. Cho S.H. , Kim H.W. , Han Y.J. , Kim W.J. (2016)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s measured in two different functional areas and identification of factors enhancing their concentrations , J. Korean Soc. Atmos. Environ, Vol.32 (1) ; pp.100-113
    5. Choi S.J. (2008) The effect of outdoor air and indoor human activity on mass concentrations of size-selective particulate in classrooms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Vol.34 (2) ; pp.137-147
    6. De Marco C. , Ruprecht A.A. , Pozzi P. , Munarini E. , Ogliari A.C. , Mazza R. , Boffi R. (2016) Particulate matters from diesel heavy duty trucks exhaust versus cigarettes emissions: a new educational antismoking instrument , Multidiscip. Respir. Med, Vol.11 (2) ; pp.1-5
    7. Faustman E.M. , Silbernagel S.M. , Fenske R.A. , Burbacher T.M. , Ponce R.A. (2000) Mechanisms underlying children ?(tm)s susceptibility to environmental toxicants , Environ. Health Perspect, Vol.108 ; pp.13-21
    8. Hussein T. , Glytsos T. , Ondrek J. , Dohnyosov P. (2006) Particle size characterization and emission rates during indoor activities in a house , Atmos. Environ, Vol.40 (23) ; pp.4285-4307
    9. Jang A.S. (2014) Impact of particulate matter on health , J. Korean Med. Assoc, Vol.57 (9) ; pp.763-768
    10. Kim K.J. , Lee S.H. , Hyeon D.R. , Ko H.J. , Kim W.H. , Kang C.H. (2014) Composition comparison of PM10 and PM2.5 fine particulate matter for Asian dust and haze events of 2010-2011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7 (1) ; pp.1-10
    11. Kim Y.S. , Lee C.M. , Namgung S.J. , Kim H.G. (2011) A study on the social networks effectiveness to prevent the lonely death of the elderly who live alone , Research in Social Science, Vol.50 (2) ; pp.143-169
    12. Liu D.L. , Nazaroff W.W. (2001) Modeling pollutant penetration across building envelopes , Atmos. Environ, Vol.35 (26) ; pp.4451-4462
    13. (2002) A study on indoor air pollution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cited 2016 Dec 10]; Available from: URL: http://www.prism.go.kr/homepage/entire/retrieveEntireDetail.do;jsessionid=2819DBB00295EA40C90CFD9ED5B38293.node02?cond_research_name=&cond_research_start_date=&cond_research_end_date=&research_id=1480000-200800499&pageIndex=1771&leftMenuLevel=160
    14. (2010) Testing for indoor air quality, [cited 2016 Dec 10]; Avaliable form: URL: http://webbook.me.go.kr/DLi-File/NIER/09/018/5509906.pdf
    15. Oh Y.H. , Nam I.S. , Kim S.D. , Kim D.S. , Park D.S. , Kim J.H. , Sohn J.R. (2013) Health risk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particulate matter(PM10, PM2.5) of indoor air in subway station ,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20 (1) ; pp.29-36
    16. Pope C.A. III (2000) Epidemiology of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human health: biologic mechanisms and who ?(tm)s at risk? , Environ. Health Perspect, Vol.108 ; pp.713-723
    17. Pope C.A. III, Burnett R.T. , Thun M.J. , Calle E.E. , Krewski D. , Ito K. , Thurston G.D. (2002) Lung cancer, cardiopulmonary mortality, and long-term exposure to 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 JAMA, Vol.287 (9) ; pp.1132-1141
    18. Rattigan O.V. , Felton H.D. , Bae M.S. , Schwab J.J. , Demerjian K.L. (2011) Comparison of long-term PM2.5 carbon measurements at an urban and rural location in New York , Atmos. Environ, Vol.45 (19) ; pp.3228-3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