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1 pp.63-69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1.63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adsorbents using oyster shell for the control of acetaldehyde

Ha Rim Lee, Chan Jin Par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Urban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Tel: +82-32-835-8746 E-mail: cjpark@inu.ac.kr
30/01/2023 14/02/2023 20/02/2023

Abstract


Oysters are the most widely produced shellfish culture in Korea and 90% of their weight. Main component of oyster shell is CaCO3 and an appropriate calcination temperature was derived us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he difference in components for each calcination temperature was confirmed and the adsorbent was manufactured by activation. The oyster shell adsorbent surface area was 5.72m2/g with pores in the mesopore range. The adsorption amount was 37.44 mg/g.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using oyster shell as an adsorbent was confirmed.



아세트알데하이드 제어를 위한 굴패각 활용 흡착제 제조 연구

이 하림, 박 찬진*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환경공학전공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최근 도시 재개발에 따른 환경기초시설 등 생활 악 취 발생 업종이 주거지역과 혼재하거나 충분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지 못하여 지속적으로 악취 민원이 증 가하는 추세이다(Park and Yoo, 2020) 악취는 대표적 인 감각 공해로서 황화수소, 메르캅탄류, 아민류, 그 밖에 자극성이 있는 물질이 사람의 후각을 자극하여 불쾌감과 혐오감을 주는 냄새로 악취방지법에 정의 되어 있으며 관련하여 22가지의 지정악취물질과 악 취배출시설을 환경부령으로 규제하고 있다. 악취방 지법 시행 이후로도 악취 민원은 지속적인 증가 추 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거주지역과 산업단지의 위치가 근접한 도시에서는 민원이 보다 더 빈번하 게 발생하고 있다. 인천광역시는 거주지역과 산업 단지가 혼재되어 있는 특징이 있으며, 보건환경연 구원에서 실시한 악취관리지역 실태조사 결과 아세 트알데하이드는 암모니아 다음으로 많은 곳에서 검 출되었다.

    특히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배출허용기준은 0.05 ppm 로 비교적 높은 편이나 최소감지농도가 0.002 ppm으 로 낮은 농도에서도 악취로 쉽게 느껴지는 특징이 있 으며 종이제품 제조업 및 섬유 가공업에서 주요 배출 물질로 확인되었다(Kim and Park, 2021).

    악취 물질은 일반적으로 흡수, 흡착, 촉매 및 미생 물 반응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해 제어되며, 그중 흡착 법은 큰 비표면적과 다공성 구조를 갖추고 있는 활성 탄을 주로 활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질 제거에 효과적인 방법이다(Park and Park, 2021). 하지만 활성 탄의 높은 구입 단가로 산업시설에서 활용할 경우 비 용 부담이 발생하여 교체 시기를 놓치는 등 효율적인 운영에 어려움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양한 폐기물을 재활용한 흡착제를 제조하여 기존 활성탄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패류 양식수산물 중 가장 많은 생산량 을 차지하는 굴은 2020년 약 30만 톤(각굴 기준)이 생 산되었으며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MOF, 2021). 굴 생산량은 패각을 포함한 각굴 생산량과 알굴 생산 량으로 나눌 수 있고 굴패각 발생량은 각굴 생산량에 서 알굴 생산량을 뺀 값과 알굴 대비 굴패각의 평균 중량 9배를 적용한 값, 각굴 생산량에서 식품수급표 상의 폐기율을 적용하는 값으로 추정치를 계산할 수 있다. 굴생산량과 더불어 굴패각 발생량을 각굴 생산 량에서 알굴 생산량을 뺀 것으로 추정하였을 때 2015 년 253,852톤에서 2019년 325,272톤으로 꾸준히 증가 하고 있다(MOF, 2020). 이렇듯 전체 생산량 중 소비된 양을 제외하고는 폐기물로 배출되는데, 비료와 사료 등으로 일부 재활용하고 남은 패각은 매립, 방치되거 나 주변에 방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Baek and Lee, 2020).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지난 10년간 굴패각의 누적 방치량은 약 20만 톤 이상으로 추정되어 이를 처 리할 수 있는 재활용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NARS, 2020).

    굴패각은 생분해가 되지 않아 방치로 인한 자연경 관 훼손뿐 아니라 패각에 붙은 유기물로 인한 악취 문 제, 부패수로 인한 수질오염 등 여러 환경문제를 발 생시킨다(Nam et al., 2018). 굴패각의 주성분은 CaCO3 이고 얇은 막이 여러겹 싸인 다공질체로 큰 비표면적 을 가졌으며 이러한 특성을 활용한 재활용 방안으로 소성가공에 의한 생석회나 탈황제, 수처리용 흡착제, 건설용 자재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되고 있다(Park et al., 2001).

    본 연구에서는 누적된 굴패각 미처리량의 재활용 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에서 가스상 흡착제로 재활용 하고자 온도 범위를 다양하게 설정하여 소성가공 후 온도 변화에 따른 표면적을 관찰하고 화학적 활성화 를 통해 제조한 흡착제의 성능, 특성, 세공 분석을 평 가하여 폐자원 흡착제 제조의 최적 조건에 대한 연구 를 진행하고자 한다.

    2. 실험방법

    2.1 실험 재료

    실험에 사용한 굴패각은 서해 해안 지역에 방치되 어있는 폐 굴패각을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일차적으 로 솔을 사용하여 유기물을 제거하고 이차적으로 염 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증류수에 48시간 이상 담가둔 후 3% HCl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세척하였다. 세척을 완료한 굴패각은 건조기(JSOF-150, JSR)를 사용하여 100°C 조건에서 48시간 이상 열풍 건조 후 500 μm 크 기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2.2 흡착제 제조

    소성 온도에 따른 제조 흡착제의 특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전기로(CT-MF3T, CORETECH)에서 300°C~ 900°C 범위로 2시간동안 소성 반응시켰으며 온도범 위에 따라 OS300~900으로 분류하여 명명하였다. 활 성화 단계에서는 소성 반응을 완료한 굴패각을 ZnCl2 수용액을 사용하여 활성화하였다. 수용액의 농도와 활성화 반응 시간의 차이를 두어 제조하고 불순물이 없도록 수세하였으며 이후 완전히 건조시킨 흡착제 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2.3 특성 분석

    열중량 분석기(TG209F3, NETZSCH, Germany)로 상온에서 900°C까지 분당 10°C의 승온조건으로 N2 가 스를 주입해 열분해에 따른 소성 특성을 관찰하였다. 제조 조건에 따른 시료의 표면과 구조 분석은 주사전 자현미경(FE-SEM/EDS, JSM-7001F, JEOL, Japan)을 이용하여 일정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또한 흡착제의 비표면적과 기공 부피는 비표면적 분석기(3Flex, MICROMERITICS,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4 실험 장치

    흡착 실험에 사용한 장치를 Fig. 3에 도시하였다. 장 치는 악취 가스 제조장치, 흡수용 임핀저, 고정층 흡 착 장치로 구성되었으며 가스로 발생시킬 용액을 원 하는 농도로 제조해 흡수용 임핀저에 채운 후 공기를 주입하여 제조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가스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실험에 따라 필 요한 농도로 제조하였고 가스 유량은 1 L/min으로 주 입시켰다. 항온 수조의 온도를 25°C로 유지하고 아세 트알데하이드 가스가 안정적으로 발생하면 흡착 실 험을 진행하였다. 고정층 흡착장치에 흡착제를 충전 하고 제조 가스를 하부에서 상부로 주입하여 흡착 실 험을 진행하였다. 유입, 유출구 농도를 계측기(SKT- 9300, TESTAUCTIO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유 출 가스의 유출농도가 유입농도의 10%가 되는 지점 을 파과점으로 설정하고, 이후 유입농도와 유출농도 가 동일해지는 지점에서 실험을 종료하였다.

    2.5 흡착량 계산

    본 실험에서 입구 농도와 출구 농도가 같아지는 구 간을 흡착 평형상태로 설정하고 식 (1)을 사용하여 흡 착된 피흡착질의 양(mg/g)을 산출하였다(Woo and Park, 2017).

    q = 1 W C i Q [ t r 1 C i 0 t r C o d t ]
    (1)

    위 식에서 q는 평형상태에서 흡착제 단위 질량당 흡 착량(mg/g), W는 흡착 실험에 사용한 흡착제의 양(g), Ci는 유입구의 피흡착질 농도(ppm), Q는 유입되는 피 흡착질 가스의 부피 유속(L/min), tr은 흡착제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는 시간(min), Co는 유출구의 피흡착질 농도(ppm)이다.

    3. 결과 및 고찰

    3.1 열중량(TGA) 분석 결과

    굴패각의 주요 구성성분인 탄산칼슘은 특성상 산 화칼슘보다 이용 효율이 낮아 소성 반응에 의해 산화 칼슘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연구 사례가 있으며 소 성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물리화학적인 성질 이 달라지기 때문에 활용할 용도에 맞는 적절한 소성 조건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Woo, 2019).

    굴패각의 열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열중량분 석기(TG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소성 반응에 따 른 TGA 분석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600°C까지 는 무게 감소가 거의 없었던 것으로 보아 굴패각에 달 라붙어 있던 유기물 연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 되며 불순물 수세 과정이 잘 진행된 것으로 생각된다 (Lee et al., 2018). 약 650°C 구간부터 무게 감소가 시작 되어 800°C 부근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이 구간 사이에서 휘발분이 날아가고 탄산칼슘(CaCO3) 이 생석회(CaO)로 소성 반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된다.

    탄산칼슘(CaCO3)을 고온조건에서 소성 반응시키게 되면 CO2가 탈기되어 생석회(CaO)로 전환되며 식(2) 와 같은 반응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Lee et al., 2009b).

    CaCO 3 + heat CaO + CO 2
    (2)

    분석 결과를 통하여 온도에 따른 굴패각의 열적 반 응의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활성화 과정에 적절한 온 도 조건은 패각 성분이 생석회로 변환되지않는 750°C 내 범위가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3.2 주사전자현미경(SEM) 분석 결과

    소성 온도에 따른 굴패각 표면 변화를 주사전자현 미경(SEM)을 통해 관찰하였다. Fig. 5(a)에서 소성 하지 않은 굴패각은 겹겹이 쌓인 구조를 가지고 있으 며 모서리가 정리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굴패각 은 층 사이로 기공을 형성하고 있으며 선행연구의 SEM 사진과 유사한 모양임을 확인하였다(Park et al., 2001;Lee et al., 2018). (b)의 OS400에서는 소성하지 않은 표 면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매끄러워지고 갈라지는 표 면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전처리에서 유기물이 잘 제 거되어 무게 감소가 일어나지 않는 구간이라 표면만 매끄럽게 정리된 특징이 있다. (c)의 OS700은 표면이 전체적으로 (a)와 다른 모양을 띠고 있으며 표면 사이 로 기공이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온으로 소 성할수록 끝과 모서리가 둥글게 변화하였는데 이는 Na기가 작용하여 소결 현상으로 인해 표면이 달라붙 은 것으로 판단된다(Lee et al., 2018). 소성 온도 300~700°C 범위에서 반응시킨 굴패각은 공통적으로 겹겹이 쌓인 형태가 잘 유지된 것으로 관찰하였다. (d) 의 OS900은 이전의 시료들과는 다른 형태를 보였는 데 이는 소성 반응 후 생석회로 모두 변환된 표면이 관찰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소성 온도별 흡착 실험에서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 난 OS700을 1 M 농도의 염화아연(ZnCl2)으로 1, 2, 4 시간 조건에서 활성화한 굴패각 흡착제의 표면을 Fig. 6에 나타내었다. 활성화를 하지 않은 굴패각의 표면 사진과 비교하였을 때 활성화 과정을 거친 흡착제에 서 기공이 발달된 것을 관찰하였다. 이를 토대로 활 성화 시간에 차이를 주어 제조하여 표면을 관찰하였 고 (a), (b)에서는 기공이 발달된 형태를 관찰할 수 있 었고 (c)에서는 기공이 눌린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표면분석을 통한 기공의 형태를 토대로 Fig. 8의 파과곡선 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으며 화학적 활 성화 시간을 2시간으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3.3 비표면적(BET) 분석 결과

    제조 조건에 따른 흡착제의 비표면적을 측정하여 Table 1에 나타내었다. IUPAC의 기준에 따르면 흡착 제의 기공 크기 분류는 micropore는 2 mm 이하, mesopore는 2~50 nm 범위, macropore는 50 nm 이상으로 정 한다(Choi et al., 2018). 활성화 약품 농도 조건 1 M, 2M을 적용한 흡착제의 비표면적을 비교한 결과 1 M 수용액으로 활성화하였을 때 0.3378 m2/g 큰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1 M의 약품 농도로도 충분히 세공이 증 가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조건의 흡착제 모두 굴 패각보다 비표면적이 약 6배 증가하였으며, 기공 크 기 또한 미세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굴패 각 흡착제의 기공은 mesopore의 범위에서 발달한 것 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와 Fig. 9에 나타낸 실험결과 를 토대로 활성화 과정에서 약품의 농도보다 활성화 를 진행하는 시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3.4 제조 조건에 따른 흡착제 성능 비교

    흡착제 제조는 굴패각 소성, 약품 활성화, 수세, 건 조의 단계로 제조된다. TGA 분석을 통하여 유기물과 휘발분이 제거되는 적정 온도를 설정하여 흡착제 제 조에 적용하였다. 활성화 과정에서는 약품 농도 및 활 성화 시간의 차이를 두어 흡착제를 제조하고 성능평 가를 통해 최적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실험 조건은 아 세트알데하이드 농도 50 ppm, 가스 유량 1 L/min, 항 온 수조 온도 25°C, 흡착제 5 g을 사용하였고 유출농 도를 기준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3.4.1 소성 온도에 따른 흡착 성능

    소성 온도 조건을 300°C~900°C로 다양하게 설정하 여 활성화를 진행하였고 흡착 성능을 비교한 결과 OS700 >OS600 >OS50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표면을 관찰 한 결과를 토대로 OS300은 소성하지 않은 굴패각의 성질과 비슷하여 약품 활성화를 진행하였을 때 표면 개질이 일어난 것이 아닌 패각 표면에 약품이 붙어있 는 것만 관찰되었다. 따라서 활성화가 진행되었다기 보다는 표면에 붙은 약품에 흡착 반응이 일어난 것으 로 판단된다. OS700에서 나타난 결과는 TGA 분석결 과에서 예상한 것과 같이 휘발분이 날아간 OS700에 서 흡착 성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OS800, OS900의 흡착성능이 낮게 나타난 것은 흡착제 형태가 고운 가 루의 형태로 제조되었으며 이는 소성한 시료의 성분 차이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토대로 OS700 시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화학적 활성화를 진행하였다.

    3.4.2 활성화 조건에 따른 흡착 성능

    화학적 활성화의 메커니즘은 활성화제를 활용한 탈 수와 산화, 침식 현상을 통해 탄소를 소비하고 다공 성 탄소질을 형성하는 과정이다(Lee et al., 2009a). 약 품 활성화 과정에서는 원료에 대하여 침투시킨 약품 의 양이 중요한 척도이고, 함침 질량비가 적은 경우 에는 미세한 세공이 형성되고 증가함에 따라 큰 세공 을 발달시키기도 한다(Hong, 1998).

    3.4.1의 결과를 토대로 OS700을 활성화 반응시간, 약 품 농도 조건에 따른 제조 흡착제의 성능을 비교, 분 석하였다. 제조한 흡착제는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50 ppm, 가스 유량 1 L/min, 항온 수조 온도 25°C, 흡착 제는 5 g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유입과 유출 농 도가 같아지는 지점을 파과점으로 설정하였다.

    약품 활성화 반응시간에 따른 실험결과를 Fig. 8에 나타내었다. 활성화 2시간 조건으로 제조하였을 때 흡 착 시간이 가장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EM 사진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 활성화 시간이 2시간 이 상일 경우 기공과 표면 구조가 나타나지 않고 매끈해 지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하여 적절한 활성화 시간 조건은 2시간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를 토 대로 1시간과 2시간 조건에서 약품 농도를 1 M, 2M 로 하여 흡착제를 제조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약품 활성화에 사용된 용액의 농도에 따른 흡착 성 능 비교를 실험하였고 Fig. 9에 나타내었다. 활성화 약 품의 농도 차이에 따른 파과곡선은 1 M 조건에서 2시 간 활성화 시 흡착 성능이 가장 효율적인 것으로 나 타내었다. 약품 농도가 낮을수록 좋은 효율을 보였는 데, 이는 굴패각을 활용한 흡착제는 유기물을 제거하 는 활성화가 아닌 표면개질이기 때문에 과량의 약품 으로 활성화 시 오히려 표면이 막히고 기공 형성에 방 해를 주어 기공이 발달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함침에 사용된 약품의 농도가 비교적 낮을수록 작은 크기의 기공을 발달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 적으로 굴패각을 활용한 흡착제의 가장 효율적인 제 조 조건은 700°C 온도에서 소성 반응한 굴패각을 1M 의 염화아연(ZnCl2)으로 2시간 약품 활성화 과정을 통 해 제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5 흡착제 사용량에 따른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량

    흡착제 사용량에 따른 흡착 성능을 비교하기 위하 여 5 g, 10 g, 15 g, 20 g을 사용하여 고정층 흡착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10 ppm, 유량 1 L/min, 항온 수조 온도 25°C, 실험은 상온 에서 진행하였으며 결과는 Fig. 10에 나타내었다. 파 과점은 앞선 실험들과 같이 유출 농도가 유입 농도의 10%인 지점으로 설정하고 실험 결과를 분석하였다. 흡착제 양이 5 g일 경우 약 9분 정도 흡착이 진행되었 고 20분 이내로 파과되어 실험을 종료하였다. 흡착제 를 10 g 사용하였을 때 실험 시작 후 18분 지점에서 파 과되었고 실험종료까진 약 30분이 소요되었다. 15 g 을 사용하였을 경우 파과점이 38분인 지점이고 20 g 을 사용하였을 때는 68분으로 많은 흡착제를 사용할 수록 파과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험결과와 식 (1)을 활용하여 아세트알 데하이드의 흡착량을 산출한 결과를 Fig. 11과 같이 나 타내었다. 흡착제의 사용량에 따라 5 g에서 15.3 mg/g, 10 g에서 17.55 mg/g, 15 g에서 23.04 mg/g, 20 g에서 30.825 mg/g 흡착되어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흡착량도 늘어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흡착제의 양이 많 을수록 피흡착물질과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더 많은 양의 물질을 흡착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적 절한 양의 Mesopore를 활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면 파과시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흡착제 의 양과 기공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면 흡착 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Zeng et al., 2018). 이를 기초 실험 자료로 활용하여 다양한 실험 조건에서 성능평가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자 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패류 양식수산물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점유하는 굴에서 배출되는 굴 패각을 소성 반응과 활성화 과정을 통하여 기상용 흡착제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물질은 22종 지정악취물질 중 인천지역 악취관리지역 실태조사와 산업공정 등 많은 곳에서 검출되며 배출허용기준에 비해 최소감 지농도가 낮아 악취기여도가 높은 아세트알데하이드 를 대상으로 흡착 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굴패각의 주요 구성성분은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도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성질을 활용하기 위하여 TGA 분석 결과를 통하여 600°C~ 800°C 구간에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소성 반응을 완료한 OS200~900을 동일한 조건에서 화학적 활성화하여 흡착 효율을 확인하였으며 실험 결과 OS700에서 가장 높은 흡착 효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토대로 OS700을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화 학적 활성화를 진행하였고 1 M 농도의 염화아연(ZnCl2) 수용액으로 2시간 동안 활성화한 경우 아세트알데하 이드 흡착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흡착제 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파과시간에 도달하는 시간 과 흡착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굴패각을 활용하여 소성 반응과 활성화 과정을 거쳐 제조한 흡착제의 성능을 평가하 고 폐기물 활용 흡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 였다. 굴패각을 단일 재료로 활용하여 재활용하는 방 안 중 기상용 흡착제로 활용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 기 때문에 이를 통하여 누적된 굴패각의 친환경적 활 용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정보>

    이하림(석사과정 학생), 박찬진(교수)

    Figure

    JOIE-22-1-63_F1.gif

    The tendency of odor complaints in the whole country (KOSIS, 2015~2018).

    JOIE-22-1-63_F2.gif

    The amount of oysters harversted and the amount of oyster shells (MOF, 2020).

    JOIE-22-1-63_F3.gif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JOIE-22-1-63_F4.gif

    TGA analysis results of oyster shell.

    JOIE-22-1-63_F5.gif

    SEM images of (a) oyster shell (×1,000), (b) OS400 (×2,000), (c) OS700 (×1,000), (d) OS900 (×1,000).

    JOIE-22-1-63_F6.gif

    Oyster shell adsorbent SEM images of activation time (a) 1 hour, (b) 2 hours, (c) 4 hours (×2,000).

    JOIE-22-1-63_F7.gif

    Efficiency of acetaldehyde removal by OS300~900 oyster shell adsorbent.

    JOIE-22-1-63_F8.gif

    Breakthrough curves according to activation times.

    JOIE-22-1-63_F9.gif

    Breakthrough curves according to activation times and molarity.

    JOIE-22-1-63_F10.gif

    Breakthrough curves according to oyster shell adsorbent amount.

    JOIE-22-1-63_F11.gif

    Acetaldehyde adsorption amount by oyster shell adsorbent amount.

    Table

    Surface area properties and pore volume, diameter of oyster shell adsorbent

    Reference

    1. Baek, E. Y. , Lee, W. G. ,2020. A study on the Rational Recycling of Oyster-Shell. The Journal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51(2), 7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Y. J. , Lee, Y. S. , Im, J. S. ,2018. Effect of pore structure of activated carbon fiber on mechanical propertie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9(3), 318-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ong, J. D. ,1998. Prearation and adsorption capacity of high-surface area activated carbon from rice hulls. (Masters dissertation), Myong ji Unversity,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S. H. , Park, C. J. ,2021. A study of recent research trends on the control of aldehydes in designated odor compounds in Korea.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4), 275-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15~2018. Status of occurrence of odor complaint. Available from URL: https://stat.me.go.kr/portal/stat/easyStatPage.do?cateId=106H_01_002014
    6. Lee, T. R. , Chung, C. K. , Joe, Y. C. ,2009a.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ctivated Carbons from Sewage Sludge. Clean Technology 15(1), 3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H. S. , Park, D. W. , Woo, D. S. ,2009b. A Study on physicochemical and calcination processed characteristic of oyster shel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0(12), 3971-39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J. W. , Choi, S. H. , Kim, S. H. , Cha, W. S. , Kim, K. J. , Moon, B. K. ,2018. Mineralogical Changes of Oyster Shells by Calcination: A Comparative Study with Limeston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51(6), 485-4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2020. Available from URL: http://klri.re.kr:9090/handle/2017.oak/9292
    1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MOF),2021. Available from URL: https://www.mof.go.kr/article/view.do?articleKey=42505&boardKey=22&menuKey=1009¤tPageNo=1
    11. Nam, G. , Lee, N. J. , Ahn, J. H. ,2018. Sustainable Management of Oyster Shell By-Products and Recent Research Techniques.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27(1),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NARS),2020. Available from URL: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043&brdSeq=27372
    13. Park, C. J. , YOO, J. Y. ,2020. On the method of odor management with the civil complaint patterns for the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9(2), 120-12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Park, Y. S. , Park, C. J. ,202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garding adsorbents using waste resources for odor contro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2), 97-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Park, H. J. , Lee, B. H. , Lee, B. H. , Jeong, S. U. , Jeong, J. W. , Jeong, U. ,2001. Calcination Characteristics of Corbicula japonica and Ostrea virginic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3(11), 1835-18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Woo, E. J. , Park, C. J. ,2017. On the control of odor and VOCs in a living system with the application of waste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4), 369-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Woo, H., E. ,2019. An experimental study on behaviors of pore water in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s using pyrolyzed oyster shells. (Masters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Zeng, F. , Liao, X. , Hu, H. , Liao, L. ,2018. Effect of potassium hydroxide activation in the desulfurization proces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by sewage sludge and corn straw.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8(3), 255-2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