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2 No.2 pp.153-166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3.22.2.153

An analysis of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borne microorganisms in non-regulated public-use facilities

Hye-won Lee1, Yeon-soo Woo2, Honggi Kim3, Hyuk-ku Kwon4*
1Institute of Environment & Health
2Mirae HighTECH Co., Ltd.
3Green Environment Industrial Institute
4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Hoseo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Tel: +82-41-540-9625 E-mail: hkkwon@hoseo.edu
15/06/2023 26/06/2023 26/06/2023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otal airborne bacteria (TAB) and airborne mold in non-regulated public-use facilities. The arithmetic mean (AM) of the TAB in all facilities was 356.5 ± 419.3 CFU/m3, and the geometric means (GM) was 157.8 CFU/m3, which did not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800 CFU/m3. The highest concentration was 637.3 ± 372.0 CFU/m3 (GM: 534.9 CFU/m3) in the underground shopping mall. The AM of airborne mold in all facilities was 448.2 ± 429.6 CFU/m3 (GM: 285.4 CFU/m3), which did not exceed the standard value of 500 CFU/m3, but was close to it. In particular, subway station (AM: 661.5 ± 441.2 CFU/m3, GM: 540.0 CFU/ m3), large-scale store (AM: 587.6 ± 683.2 CFU/m3, GM: 297.8 CFU/m3),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AM: 528.8 ± 379.6 CFU/m3, GM: 373.7 CFU/m3) exceeded the standard. Operational taxonomic unit of 16S rDNA and ITS2 rDNA region was analyzed to profile bacteria and mold component in the air of the public-use facilities. As a result, Pseudomonas and Morganella are the major bacterial groups. Regarding mold, Aspergillus, Candida, Malassezia, and Penicillium are the major groups. Component of each airborne bacterial and mold groups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use facilities.



미적용 다중이용시설내 부유미생물 농도 및 분포 특성 분석

이혜원1, 우연수2, 김홍기3, 권혁구4*
1(주)환경보건연구소
2미래하이텍
3(주)푸른환경산업연구소
4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현대인들은 하루의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오염된 실내공기는 재실자들의 건강에 직접 적으로 영향을 미쳐 알레르기, 두통, 호흡기질환 등의 질병을 야기하기 때문에 실내공기질 관리는 환경보 건학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Park et al., 2023;Maciag and Phipatanakal, 2022;Jang et al., 2017;NIER, 2010). 실내에서 발생하고 존재할 수 있는 오염물질로는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총부유세균(Total airborne bacteria; TAB), 라돈 등 다 양한 유해물질이 존재하며(Park et al., 2022), 지난 몇 년간 성행한 COVID-19로 인하여 특히 공기 중 부유 미생물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Xie et al., 2021). 부 유미생물 중 미세입자(<1 mm)와 초미세입자(<0.1 mm) 크기의 미생물군에 노출될 경우 폐질환 및 두통, 알 레르기 등을 유발하며 높은 부유곰팡이 농도는 기도 염증 및 호흡기 증후군과 같은 질환을 야기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Hwang et al. 2016;Mui et al., 2008;Douwes et al., 2003).

    환경부에서는 실내공기질관리법을 통해 여러 실내 환경에서의 공기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 하여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의료기관, 산후조리원 등 25개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유지기준(미세먼지 (PM10, PM2.5), 이산화탄소, 폼알데하이드, 총부유세균, 일산화탄소)과 권고기준(이산화질소, 라돈, 총휘발성 유기화합물, 곰팡이)을 적용하여 쾌적하고 안전한 실 내공기질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공 기 중 부유미생물에 해당하는 총부유세균과 곰팡이 는 어린이와 노인, 임산부 등 환경보건학적으로 민 감·취약한 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 실내공기질 관리법나군, 이하 ‘민감계층 이용시설’)에만 기준 이 적용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지하역사, 터미널, 항만시설, 전시시설 등 부유곰팡이 농도가 권고기준 치 500 CFU/m3를 초과하는 민감계층 이용시설 외 시 설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ME, 2017). 이는 민 감계층 이용시설뿐만 아니라 일반 다중이용시설에서 도 부유미생물에 대한 노출이 가능하며, 따라서 이들 시설에서 부유미생물의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서울시 부유곰팡이 기준 초과 시설군의 경우 대부 분 이용자 수가 많은 시설로, 일반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노약자 등의 민감·취약계층 인구도 다수 이용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이 시설을 이용함에 따라 부 유미생물에 노출될 경우 건강장해 발현의 가능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준 적용시설을 제외한 시설에 서의 총부유세균 및 부유곰팡이 분포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총부유세균과 부유곰팡이 의 종에 따라 독성에 차이가 있어 시설별 종 분포 특 성이 다를 경우 위해도 역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 상되나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종 분석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기질관리법총부유 세균 유지기준 및 부유곰팡이 권고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군의 부유미생물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일부 시설을 대상으로 총부유세균 및 부유곰 팡이 농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들 시설에서의 공기 시료에서 Operational taxonomic unit of 16S rDNA and ITS2 rDNA region 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미 적용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부유미생물 분포 에 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2. 연구방법

    2.1 다중이용시설 대상 선정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민감계 층 이용시설을 제외한 다중이용시설 중 문헌고찰을 통해 연중 곰팡이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시설 중 이용자 수 등의 관련 환경인자를 고려하여 측정 대상 시설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방형 시설 4개군 (지하역사, 여객자동차터미널의 대합실, 지하도상가, 항만시설 중 대합실) 및 준 주거형 시설 5개군(전시 시설, 도서관, 대규모 점포, 목욕장업의 영업시설, 학 원)이 선정되었다.

    지하역사의 경우 2020년 6월 기준 수도권에 총 273 개의 역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용자 수에 따라 상위(1,200명/일 이상) 1개소, 중위(800~1,200명 /일) 1개소, 하위(800명/일 이하) 1개소 총 3개소를 선 정하였다. 여객자동차터미널과 도서관 역시 이용자 수에 따라 상위 1개소, 중위 1개소, 하위 1개소 총 3개 소를 선정하였다. 항만시설의 경우 수도권에는 인천 항만만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국제 및 연안여객터미 널 2개소를 선정하였으며, 지하도상가는 면적의 크기 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 각 1개소씩 선정하였다. 대 규모점포의 경우 수도권에 있는 동일 회사의 이용자 수에 따라 상위, 중위, 하위로 구분하여 각 범위에서 1개소씩 총 3개소를 선정하였다. 학원의 경우 COVID- 19 확산 여파로 섭외에 어려움이 있어 측정을 승인한 1개소에서 측정을 수행하였으며, 이용자 수 기준 중 위 수준의 시설이다. 목욕장업의 영업시설은 COVID- 19의 확산으로 업장이 운영하지 않아 측정 대상시설 에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19개소가 선정되었다.

    2.2 부유미생물 측정방법

    2016년~2017년 수행된 선행연구(ME, 2017)에서 일 부 다중이용시설의 부유곰팡이 농도는 6월 및 8월~10 월에 500 CFU/m3를 초과하는 고농도를 나타냈다. 농 도의 월별 경향은 곰팡이의 경우 중앙값을 기준으로 3월부터 10월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이후 다 음해 2월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 라서 본 연구에서는 곰팡이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7월에서 10월까지를 집중 조사 기간으로 설정하여 측 정 대상시설에서 부유미생물을 측정하였다. 또한, 지 하역사의 경우 출·퇴근 시간과 그 외 시간의 이용자 수가 다르며, 따라서 이용자 수 등에 의한 부유미생 물 농도 기여도 평가 등을 위해 혼잡(출근시간; 07:00~09:00)과 비혼잡(출근시간 외; 14:00~16:00) 시간 대로 구분하여 1회 측정 시 시간대별로 한 번씩, 총 2 번 측정하였다.

    각 시설에서 부유곰팡이와 세균은 실내공기질공 정시험기준의 ‘실내 공기 중 부유곰팡이 측정방법 (ES 02702.1a)’, ‘실내 공기 중 총부유세균 측정방법(ES 02701.1c)’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설별 측정지점은 유 동인구가 많거나 사람들이 밀집된 공간을 우선으로 고려함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온·습도의 상관성 분석 을 위해 매회 측정 시 온·습도를 같이 측정하였다. 1 회 측정마다 충돌식 방법에 따라 총부유세균은 MAS- 120 장비를 이용하여 1회 총포집 유량 200L 이하로 TSA 배지를 사용하여 연속으로 3번 반복 측정하였다. 부 유곰팡이는 KAS-120을 이용하여 1회 총포집 유량 250L 이하로 MEA 배지를 사용하여 1회 측정마다 연속으 로 3번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미생물 동정을 위 하여 Biosampler를 이용하여 30분 동안 1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지점의 대푯값으로 사용하였다.

    측정된 배지의 배양 후 나타난 세균, 곰팡이의 집락 수를 계수한 뒤 집락 계수 환산표를 이용하여 총부유 세균, 곰팡이의 집락 수를 보정하였다. 보정된 집락 수 는 포집된 총 공기 유량으로 나누어 단위 체적 당 집 락수의 농도 단위로 제시하였다. 농도의 계산은 다음 식을 활용하였다.

    C = C F U V ( 25 o C , 1 a t m )

    여기서,

    • C : 실내공기 중 부유세균의 농도(CFU/m3)

    • CFU : 보정된 집락 수(CFU)

    • V(25°C, 1atm): 포집된 총 공기체적량(m3)

    2.3 부유미생물 종 분석

    포집된 시료는 0.22 μm 필터로 여과한 후 QIAGEN 사의 DNeasy Blood & Tissue kit를 사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각 DNA로부터 Herculase II Fusion DNA Polymerase Nextera XT Index Kit V2를 사용하여 16S 분석용(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분석) 및 ITS분석 용 앰플리콘 라이브러리(Amplicon library)를 각각 제 작하였다. 이때 세균은 16S V3-V4 region을 사용하였 고, 곰팡이 분석용으로는 ITS2 region (ITS3-4 primer; 곰팡이의 ribosomal DNA ITS2 region 염기서열을 비 교하는 유전형적(Genotypic) 기법)을 사용하였다. 19 개 시설군에서 측정된 시료에 대한 각각의 앰플리콘 크기는 Agilent사의 TapeStation D1000 Screen Tape로 그 크기를 확인하고, DNA 분석 기기(Quant-iTTM PicoGreen, Thermo Fisher Scientific Korea Ltd)를 이 용하여 농도를 확인하였다. 제작된 총 38종의 library 는 Illumina 사의 Miseq 장비를 사용하여, 300PE 조건 으로 시퀀싱(Sequencing) 하였다.

    시퀀싱을 통해 얻은 원시자료(Raw data)는 전처리 과정을 거쳤다. Trim galore software (https://www. bioinformatics.babraham.ac.uk/projects/trim_galore)를 사용하여 Q30 이하의 리드를 제거하였고, 효율적인 분석을 위해 일반적으로 표본별로 약 0.06 Gbp의 데 이터를 무작위로 측정(Random sampling)하지만 본 연 구에서는 0.06 Gbp 이상의 샘플이 존재하지 않아 보 정된 데이터(Trimming data) 전체를 사용하였다. QIIME2 프로그램(Bolyen et al., 2019)으로 16S 및 ITS metagenome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Taxonomic 분석에 는 Greengenes DB (DeSantis et al., 2006)를 사용하였다.

    3. 결 과

    3.1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 총부유세균 분포 현황

    측정 대상시설 19개소 전체에서 총부유세균 농도 의 산술평균은 356.5 ± 419.3 CFU/m3, 기하평균은 157.8 CFU/m3로 조사되었다(Table 1). 전반적으로 실 내공기질관리법에서 제시하는 민감계층 이용시설 유지기준인 800 CFU/m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 다. 평균 농도는 기준치보다 낮았으나 일부 시설에서 기준치 이상의 농도가 관찰되기도 하였다.

    이용자 수 또는 면적 크기가 상위에 해당하는 시설 에서 대부분 총부유세균 유지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역사의 경우 혼잡시간 대의 평균 농도는 638.3 ± 549.2 CFU/m3 (GM: 368.4 CFU/m3)로 기준(800 CFU/m3)보다 낮았으나 비혼잡 시간대 평균 농도 388.5 ± 381.2 CFU/m3 (GM: 209.3 CFU/m3)의 약 1.6배(기하평균 약 1.8배), 시설 전체평 균(356.5 ± 419.3 CFU/m3)의 약 1.8배(기하평균 약 2.3 배) 높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학원 역시 평균 농도는 유지기준 미만이었지만 측정 기간 중 기준치 를 초과한 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COVID- 19로 인해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시설의 수가 적고 측 정 횟수가 다른 시설에 비해 부족하였기에 시설의 특 성을 대표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향후 총부유세균 조 사 대상시설 선정 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중이용시설 총부유세균 농도는 전반적으로 7~8 월에 높았으며, 이용자 수가 많은 시설일수록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지하역사의 경우 혼잡도가 높은 출·퇴근 시간대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 과로 비추어 불 때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의 수가 총 부유세균의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2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 부유곰팡이 분포 현황

    측정 대상시설 19개소 전체에서 부유곰팡이 농도 의 산술평균은 448.2 ± 429.6 CFU/m3, 기하평균은 285.4 CFU/m3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제시하 는 민감계층 이용시설 권고기준인 500 CFU/m3보다 낮았지만 근접한 수준으로 나타났다(Table 1). 그러나 지하역사의 경우 혼잡시간대의 평균 농도는 866.3 ± 505.2 CFU/m3 (GM: 752.5 CFU/m3)로 기준(500 CFU/ m3)의 약 1.7배에 해당하는 값을 나타냈으며, 시설 전 체평균(448.2 ± 429.6 CFU/m3)의 약 2배에 달하는 높 은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다중이용시설 부유곰팡이 농도는 전반적으로 7~8 월에 높은 농도가 나타난 총부유세균과는 달리 시설 별로 높은 농도가 나타난 시기에 차이가 있는 것으 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용자 수가 많은 시설일수록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 총부유세균에 비해 이용자 수와 농도의 상관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하역사의 경우 총부유세균과 마찬가지로 혼잡도 가 높은 출·퇴근 시간대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 불 때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 의 수는 총부유세균에 비해 부유곰팡이의 농도와는 큰 상관성은 없지만,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3.3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 총부유세균 분석 결과

    3.3.1 속(Genus) 단위 총부유세균 분석

    측정 대상시설 19개소 전체에서 16S rDNA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 분석을 기반으로 발견된 총부유세균은 32속이었으며, 속 단위의 주요 종류는 Pseudomonas, Morganella 등으로 분석되었다. 시설별 총부유세균의 OTU 수 및 속 수를 정리하여 Fig. 1에 나타내었다. 발견된 총부유세균 속 단위 상위 20개를 관련 시설별로 구분하였으며, 지하역사, 지하도상가 와 대규모점포의 경우 Pseudomonas가 높은 비율을 차 지하는 반면, 여객자동차터미널, 항만시설과 도서관, 전시시설의 경우 Morganella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별 최빈 출현 상위 20개에 대 한 비율을 Table 2로 정리하였다.

    3.3.2 종 (Species) 단위 총부유세균 분석

    측정 대상시설 19개소 전체에서 16S rDNA OTU 분 석을 기반으로 발견된 총부유세균은 14종으로 Morganella morganii, Acinetovacter guillouiae 등이 주요 종으로 조 사되었다. 시설별 총부유세균의 OTU 수 및 종 수를 정리하여 Fig. 2에 나타내었다. 발견된 총부유세균 종 단위 상위 10개를 관련 시설별로 구분하였으며, 대부 분 시설에서 Morganella morganii 종이 높은 비율을 차 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규모점포의 경우에는 Arthrobacter psychrolactophilus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 지하였다. 시설별 최빈 출현 상위 10개에 대한 비율을 Table 3으로 정리하였다.

    3.4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 부유곰팡이 속 분석 결과

    측정 대상시설 19개소 전체에서 ITS2 rDNA 영역 OTU 분석을 기반으로 발견된 부유곰팡이는 총 255 속이었으며, 주요 종류는 Aspergillus, Candida, Malassezia, Penicillium 등으로 분석되었다. 시설별 부유곰팡이의 속 수 및 발생빈도를 정리하여 Fig. 3에 나타내었다. 발 견된 부유곰팡이 속 단위 상위 20개를 관련 시설별로 구분하였으며, 기타 종류(알 수 없는 부유곰팡이 종 류)를 제외하고, 총부유세균과 달리 가장 크게 차지 하는 비율이 약 30%로 한 가지 종류로 크게 치우치지 않았다. 시설별 최빈 출현 상위 20개에 대한 비율을 Table 4로 정리하였다.

    기타 종류를 제외하고 Aspergillus는 모든 시설에서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지하역사에서는 기타류를 제 외하고 Aspergillus, Naganishia, Periconia, Rhodotorula 등의 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A 역사의 혼잡시간대에서 Naganishia가 61.0%로 눈에 띄는 결 과를 보였다. B 여객터미널에서는 기타류 제외 Pseudocosmospora가 55.9%로 조사되었으며, C 여객터미널 에서는 Chalara가 5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도상가와 도서관 역시 지점마다 분포 양상이 다 르게 나타났다. B 도서관에서는 Arachnopeziza의 출현 율이 75.6%로 높았으나 다른 시설군에서는 전혀 검출 되지 않았다. 대규모점포 A와 B에서는 Penicullium이 주요 속으로 확인되었으나 C에서는 Aspergillus로 차 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ITS2 염기서열 만으 로는 곰팡이 종을 판별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종 수 준에서의 분석은 제외하였다. 향후 종 수준의 분석을 통해 인체에 유해한 곰팡이 종의 파악이 필요하다.

    고 찰

    현재 우리나라는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총부 유세균은 유지기준, 부유곰팡이는 권고기준을 설정 하였으나 기준적용 대상 시설은 나군에 해당하는 민 감·취약계층 이용시설로 지하역사나 지하도상가, 대 규모점포 등의 일반시설 역시 민감·취약계층 인구가 많이 이용하는 시설임에도 불구하고 기준적용 대상 에서 제외되어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다. 선행연 구 역시 관련 법에 의거하여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 설, 대형병원과 같은 기준적용 시설에 주로 집중되어 있다(Park et al., 2022;Kim et al., 2021). 그러나 본 연 구에서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 내 총부유세균 및 부유곰팡이 농도를 측정한 결과, 지하역사와 대규모 점포, 학원에서 부유곰팡이 농도가 권고기준 값 500CFU/ m3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에서의 부유미생물 관리가 필요함을 시 사하였다. 또한, 부유곰팡이의 경우 지상보다 지하에 위치한 실내 공간에서의 농도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 로 보고되었는데(Kim et al., 2008) 본 연구에서도 지 하역사 내 부유곰팡이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지하 환경은 일반적으로 자연환기에 어려움 이 있고, 결로가 잘 발생하는 환경으로 습도와도 연 관이 있기에 부유곰팡이의 서식 조건이 지상에 비해 지하가 더 유리하여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Kimand Seo, 2022;Kim et al., 2008;Lee et al., 2004).

    COVID-19로 인한 팬데믹(Pandemic) 현상으로 부 유미생물에 관한 관심은 증대되었지만, 여전히 다른 실내 유해인자에 비해 과소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부유미생물에 노출될 경우 아토피피부염과 같은 피 부 질환, 알레르기 질환, 호흡기질환 등의 발병 위험 이 있어 반드시 관리가 필요한 물질이다(Kim et al., 2022c;Jeon and Hwang, 2015;Srikanth et al., 2008). Jeon and Hwang (2015)의 연구에서 다중이용시설 내 총부유세균 농도는 어린이집 199.57 CFU/m3, 대학병 원 124.14 CFU/m3, 노인요양시설 95.35 CFU/m3, 버스 터미널 76.32 CFU/m3, 지하역사 72.29 CFU/m3로 본 연 구에서 조사된 결과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부유미생 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여름 동안 높아져 유지기준 (또는 권고기준)을 초과하는 사례가 다수 보고되었 다(Kim et al., 2022b;Park et al., 2020;Hamner et al., 2020). 선행연구의 경우 2004년 9월부터 2007년 2월까 지 측정된 결과로 총부유세균의 농도가 낮아지는 계 절이 조사기간에 포함되어 농도가 과소평가되어 본 연구와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Kim et al. (2011)의 연구에서 서울 지하역사의 총부유세균 농도 는 플랫폼에서 134 ± 36CFU/m3, 지하도상가에서 224 ± 102 CFU/m3로 역시 본 연구대상 지하역사와 지 하도상가에서 조사된 농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해당 연구 역시 조사 기간이 2006년 11월부터 2007년 2월 까지로 총부유세균 농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을 포함 하지 않아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Lee et al. (2010)은 광주지역 다중이용시설에서 총부유세균의 농도를 조 사하였으며, 찜질방(625.3 CFU/m3), 보육시설(455.7 CFU/m3), 의료기관(272.6 CFU/m3), 대규모점포(180.4 CFU/m3), 지하역사(111.9 CFU/m3), 실내주차장(53.9 CFU/m3) 순으로 농도가 높았으나 전 시설이 유지기 준에는 적합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찜질방과 보육시 설의 경우 다른 시설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냈는데 이 들 시설의 경우 온도와 습도가 높게 유지되어 이와 같 은 결과를 보인 것으로 사료된다.

    Lee et al. (2022)는 전국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부유곰팡이 농도 현황을 파악하였다. 학교, 유치원, 어 린이집 등의 교육복지시설은 1,207.5 CFU/m3, 장례식 장, 종교시설, 휴게소 등의 다중밀집시설은 1,209.3 CFU/ m3로 권고기준의 2배 이상의 값을 보였으며, 연구대 상시설 25개 중 3개소만이 기준 이하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도 총부유세균에 비해 부유곰팡이가 기준을 초과하는 시설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부 유곰팡이의 경우 유지기준이 아닌 권고기준 항목으 로 해당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법적 책임이 부과되지 않아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Kim and Jang (2019)은 다중이용시설 중 취약계층 이용시 설인 의료시설,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어린이집 에서 공기 중 곰팡이를 조사하였으며, 평균 농도는 160.3 ± 130.1 CFU/m3로 권고기준 대비 32.1% 수준이 며, 본 연구의 결과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기준 적용 다중이용시설보다 미적용 시설에서 농도가 더 높은 사례로 이들 시설에서도 관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다중이용시설은 시설의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 라 실내에 다양한 오염원이 존재하므로 이에 따라 공 기 중 존재하는 부유미생물의 종에도 차이가 있을 것 으로 판단되며, 이러한 차이는 건강위해도 영향을 미 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곰팡이에 대한 노출을 규 제하는 국가는 거의 없으며, 부유미생물 종 중심의 관 리는 분석의 시간적·경제적 한계로 인하여 전 세계적 으로 드문 실정이다(ME, 2021;ME, 2015;WHO, 2008). 일부 수행된 연구는 어린이집, 산후조리원, 노인요양 시설과 같은 민감·취약계층 이용시설과 지하역사, 도 서관, 대규모점포 등의 일반 다중이용시설에서 총부 유세균과 부유곰팡이의 농도와 종류를 분석하였다. Kim et al. (2022b)의 연구에 따르면 도서관의 경우 Pseudomonas putida (10.66%)와 Pseudomonas silesiensis (10.02%)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인체 병원균으로는 Bacillus anthracis (0.66%)와 Bacillus cereus (0.60%), Pseudomonas fluorescens (0.57%) 등이 발견되었지만 그 비율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 연구에 서는 도서관에서 Morganella morganii가 약 85%로 가 장 높은 출현율을 보여 차이가 있었다. Jeon and Hwang (2015)의 연구에서 Group 1 (노인시설, 대학병원, 어 린이집), Group 2 (대규모점포), 그리고 Group 3 (지하 역사, 버스터미널) 모두 Staphylococcus 속이 가장 많이 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점 포의 경우 Pseudomonas (85.9%, 97.9%)와 Arthrobacter (99.2%) 속이 높은 검출빈도를 나타냈으며, 지하역사 의 경우 Pseudomonas (약 87%), 그리고 버스터미널의 경우 Morganella (56.4%)와 Arthrobacter (43.7%), Novosphingobium (25.1%) 등의 속이 주로 검출되어 기존 연구와 다른 양상을 보였다. Staphylococcus 속은 사람 과 동물의 점막이나 피부, 머리카락, 구강 등에서 서 식하는 세균으로(Pastuszka et al., 2000) 주택 실내와 대 학교 캠퍼스, 사무실 등 사람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흔 히 발견되지만(Lou et al., 2012;Bonetta et al., 2010) 본 연구에서 조사된 시설에서는 주요 종으로 검출되 지 않았다. 이외에도 Micrococcus, Kocuria 속이 실내공 기에 많이 서식하는 세균이라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 에서는 눈에 띄지 않았다. 이는 시설 유형에 따라 실 내공기 중 분포하는 세균 종이 달라질 수 있으며, 따 라서 향후 시설별 총부유세균 종에 대한 충분한 자료 를 확보하여 관리정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함을 보 여준다.

    본 연구 대상시설 중 여객자동차터미널, 항만시설 을 제외한 시설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Pseudomonas 종은 대부분 토양이나 수층에서 많이 분포하는 것으 로 알려져 있다. 이 속의 대표 균종으로 녹농균으로 알려진 P. aeruginosa는 오염된 의료장비 및 의료진의 손을 통해 인체감염을 야기하여 하부호흡기감염이나 패혈증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Yook, 2005). Providencia는 흔하지 않지만, 대부분 요로를 포함하 나 위장염 및 균혈증과도 관련이 있다(O’Hara et al., 2000). 대규모점포의 경우 다른 시설보다 Arthrobacter 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해 당 종은 토양에 존재하며, 식물생장촉진세균 중 하나 이다(Kim et al., 2022a). Novosphingobium은 유일하게 지하도상가 C에서만 100%의 출현율을 보였다. 거의 모든 시설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Morganella morganii는 주로 수술 후 상처와 요로감염을 일으키 는 특이한 기회감염 병원체이며, 다양한 저항성 유전 자를 운반하여 항생제 내성 유전자를 증가시키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Kwon, 2016). 지하역사의 경우 혼잡 시간대와 비혼잡시간대에 분포하는 총부유세균의 종 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같은 혼잡시간 대지만 A 역사와 C 역사에서 관찰된 종이 다른 양상 을 보였다. C 역사의 경우 혼잡시간대에 Morganella morganii가 출현 종의 약 9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 나 A 역사에서는 해당 종이 차지하는 비율은 32.1%, Pelomonas saccharophila의 비율이 37.4%, Methylobacterium adhaesivum은 25.9%로 보다 다양한 분포가 관 찰되었다.

    부유곰팡이는 다양성이 크며, 대표적으로 Alenaria, Aspegillus, Cladosporium, Penicillium 등이 실내공간에 주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Denning et al., 2006). Hwang et al. (2014)는 서울시 일부 지하역사에 서 부유곰팡이를 동정하였다. GeotrichumPenicillium 이 가장 흔히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Aspergillus, Cladosporium 등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 서 조사된 세 개의 지하역사에서도 Aspergillus가 평균 적으로 10%의 검출률을 보여 우점균 중 하나로 나타 났지만, A 지하역사의 혼잡시간대에 Naganishia (61.0%), Rhodotorula (14.8%) 등이 차지하는 비율이 크게 조사 되었다. 중국의 톈진에서 수행된 연구에서는 Alternaria (22%), Cladosporium (18.4%), Naganishia (14.1%) 속 이 주로 검출되었다(Nageen et al., 2021). 본 연구와 Nageen et al. (2021)의 연구에서 공통으로 검출된 곰 팡이 중 Naganishia 속은 연구가 거의 없지만, 톈진의 야외에서 검출되었기에 야외 환경에서 발견되는 종 으로 유추되며, 특히 albida 종은 이진균증 및 표피 감 염의 원인으로 보고되었다(Aboutalebian et al., 2020;Gharehbolagh et al., 2017). 국내 지하역사에서 이용객 이 매우 증가하는 출·퇴근 시간에 해당 종이 검출된 것으로 비추어 볼 때, N. albida의 존재는 국민의 건강 에 대한 잠재적인 위험 요소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서관 B에서만 관찰된 Arachnopeziza 속은 죽은 나무와 다른 식물 물질에서 자라는 비균성 미생물로 알려져 있으나 실내 환경에 서 검출되어 보고된 사례는 없었다. 측정지점의 경우 일반 열람실 형태로 해당 종의 발생원으로 유추되는 시설은 없어 외부에서 기인한 것으로 유추된다. Pseudocosmospora 속은 여객자동차터미널 B에서만 검출 되었다. 이 속은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온대 및 열 대 지역에서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Zeng and Zhuang, 2022;Herrera et al., 2013).

    국내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수행된 다양한 선 행연구에서 총부유세균 및 부유곰팡이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에서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례들이 다 수 보고되었다. 따라서 기준적용 시설인 어린이집과 노인요양시설, 산후조리원, 의료시설 등의 민감·취약 계층 이용시설 외 다중이용시설에서도 부유미생물의 모니터링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겨울철과 같이 총부유세균과 부유곰팡이의 농 도가 낮아지는 시기를 포함하여 측정된 연구는 장마 철 및 여름철에 측정된 결과에 비해 상당히 낮은 농 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실제 농도보다 과소평가 될 우 려가 있음을 보여주며, 따라서 실내 부유미생물의 측 정은 온·습도가 높은 7~9월에 수행되어야 관리의 의 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설마다 주요 종으로 보 고되는 총부유세균과 부유곰팡이는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중이용시설의 용도와 특성, 이 용 시간, 인구 밀도 등과 같은 여러 요인에 따라 실내 부유미생물 종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처럼 분포하는 종이 다른 경우에는 인체에 유해한 정도 역 시 다르기에 각 시설에서의 부유미생물 분포 특성을 잘 파악하여야 함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경우 서울· 경기에 위치한 다중이용시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시설의 수와 측정 횟수 등이 많지 않아 대표성이 다소 부족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총부 유세균 및 부유곰팡이에 대한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에서 부유미생물의 농도뿐만 아니라 분 포 종을 분석함으로써 기준 미적용 다중이용시설에 서의 부유미생물 관리 필요성을 제시하고, 관리를 위 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환경보건학적 의 미가 있는 연구라고 판단된다.

    5. 결 론

    본 연구는 실내공기질관리법에서 제시한 총부 유세균 유지기준과 부유곰팡이 권고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다중이용시설을 대상으로 농도를 측정하고, 종 분석을 수행하여 부유미생물 분포 특성을 규명하고 자 하였다. 전반적으로 연구 대상시설에서 부유미생 물은 혼잡도가 높은 출·퇴근 시간과 상대적으로 이용 자 수가 많은 시설에서 높은 농도가 관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총부유세균에 비해 부유곰팡이는 상관성이 다소 약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미 적용 다중이용시설의 부유미생물 농도는 5.0~2,571 CFU/ m3로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기준 적용 다중이용시설 의 부유미생물 농도(54~1,209 CFU/m3)와 비슷하거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해당 시설들에서도 부유미생 물 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다중이용시설 별 부유미생물 분포 종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같은 시설군에서도 서로 다른 양상을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실내 부유미생물 종에 영향 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생활공감 R&D 개 발사업 (실내공기 생물학적 위해인자 관리 기술개발 사업; 과제번호 2021003380004)” 지원으로 수행되었 습니다. 재정지원 등에 많은 감사를 드립니다.

    <저자정보>

    이혜원(박사과정학생), 우연수(박사과정학생), 김홍기(박 사), 권혁구(교수)

    Figure

    JOIE-22-2-153_F1.gif

    Number of OTU read and genus of airborne bacteria detected in the multi-use facilities.

    A: Subway station A (Congested), B: Subway station A (Non congested), C: Subway station B, D: Subway station C (Congested), E: Subway station C (Non congested), F: Passenger car terminal B, G: Passenger car terminal C, H: Underground shopping mall A, I: Underground shopping mall B, J: Underground shopping mall C, K: Harbor facility A, I: Harbor facility B, M: Library A, N: Library B, O: Library C, P: Large-scale store A, Q: Large-scale store B, R: Large-scale store C, S: Exhibition facility A.

    JOIE-22-2-153_F2.gif

    Number of OTU read and species of airborne bacteria detected in the multi-use facilities.

    A: Subway station A (Congested), B: Subway station A (Non congested), C: Subway station B, D: Subway station C (Congested), E: Subway station C (Non congested), F: Passenger car terminal B, G: Passenger car terminal C, H: Underground shopping mall A, I: Underground shopping mall B, J: Underground shopping mall C, K: Harbor facility A, I: Harbor facility B, M: Library A, N: Library B, O: Library C, P: Large-scale store A, Q: Large-scale store B, R: Large-scale store C, S: Exhibition facility A.

    JOIE-22-2-153_F3.gif

    Number of OTU read and genus of airborne mold detected in the multi-use facilities.

    A: Subway station A (Congested), B: Subway station A (Non congested), C: Subway station B, D: Subway station C (Congested), E: Subway station C (Non congested), F: Passenger car terminal B, G: Passenger car terminal C, H: Underground shopping mall A, I: Underground shopping mall B, J: Underground shopping mall C, K: Harbor facility A, I: Harbor facility B, M: Library A, N: Library B, O: Library C, P: Large-scale store A, Q: Large-scale store B, R: Large-scale store C, S: Exhibition facility A.

    Table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TAB and airborne mold by facility ( Unit: CFU/m3)

    The top 20 genera of TAB detected and detection frequency by facility (Unit: %)

    The top 10 species of TAB detected and detection frequency by facility (Unit: %)

    The top 20 genera of airborne mold detected and detection frequency by facility (Unit: %)

    Reference

    1. Aboutalebian, S. , Mahmoudi, S. , Okhovat, A. , Khodavaisy, S. , Mirhendi, H. ,2020. Otomycosis due to the rare fungi Talaromyces purpurogenus, Naganishia albida and Filobasidium magnum. Mycopathologia 185, 569-575.
    2. Bolyen, E., Rideout, J. R., Dillon, M. R., Bokulich, N. A., Abnet, C. C., Al-Ghalith, G. A., Alexander, H., Alm, E. J., Arumugam, M., ... Caporaso, J. G.,2019. Reproducible, interactive, scalable and extensible microbiome data science using QIIME 2. Nature Biotechnology 37, 852–857.
    3. Bonetta, S. A. , Bonetta, S. I. , Mosso, S. , Sampo, S. , Carraro, E. ,2010. Assessment of microbiological indoor air quality in an Italian office building equipped with an HVAC system.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Assessment 161(1-4), 473- 483.
    4. Denning, D. W. , O'driscoll, B. R. , Hogaboam, C. M. , Bowyer, P. , Niven, R. M. ,2006. The link between fungi and severe asthma: a summary of the evidence.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7(3), 615-626.
    5. DeSantis, T. Z. , Hugenholt, P. , Larsen, N. , Rojas, M. , Brodie1, E. L. , Keller, K. , Huber, T. , Dalevi, D. , Hu, P. , Andersen1, G. L. ,2006. Greengenes, a chimera-checked 16S rRNA gene database and workbench compatible with ARB.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2(7), 5069-5072.
    6. Douwes, J. , Thorne, P. , Pearce, N. , Heederik, D. ,2003. Bioaerosol health effects and exposure assessment: progress and prospects.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7(3), 187-200.
    7. Gharehbolagh, S. A. , Nasimi, M. , Afshari, S. A. K. , Ghasemi, Z. Rezaie, S. ,2017. First case of superficial infection due to Naganishia albida (formerly Cryptococcus albidus) in Iran: A review of the literature. Current Medical Mycology 3(2), 33- 37.
    8. Hamner, L. , Dubbel, P. , Capron, I. , Ross, A. , Jordan, A. Lee, J. , Lynn, J. , Ball, A. , Narwal, S. , Russell, S. , Patrick, D. , Leibrand, H. ,2020. High SARS-CoV-2 attack rate following exposure at a choir practice-Skagit County, Washington, March 2020.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Washington, 69(19), 606-610.
    9. Hwang, S. H. , Ahn, J. K. , Park, J. B. ,2014. Concentrations of airborne fungi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0(2), 8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wang, S. H. , Hong, S. Y. , Seok, J. W. , Yoon, C. S. ,2016. Season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on culturable airborne fungi levels in microbiology laborato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42(1), 19-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errera, C. S. , Rossman, A. Y. , Samuels, G. J. , Chaverri, P. ,2013. Pseudocosmospora, a new genus to accommodate Cosmospora vilior and related species. Mycologia 105(5), 1287-1305.
    12. Jang, E. A. , Kim, J. S. , Kim, B. J. , Kim, M. J. , Park, I. B. , Kim, J. B. , Kim, K. S. , Lee, J. G. ,2017. A study on PM2.5 pollution in public use facilities i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2), 157-16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eon, B. H. , Hwang, I. Y. ,2015. Concentrations of total culturable microorganisms and its identification in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1), 868-8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D. J. , Jang, H. N. ,2019. Evaluation of indoor air quality of vulnerable class facility in public-use facility.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5(2), 49-56.
    15. Kim, D. S. , Shin, H. Y. , Han, S. I. ,2022a. Isolation of Indole- 3-acetic acid (IAA) producing Arthrobacter sp. and plant growth promotion effect.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39(6), 831-838.
    16. Kim, H. J. , Seo, S. C. ,2022.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irborne mold concentrations in subway stations and major contributing factors by literature review and measurement.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1(2), 73-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K. Y. , Kim, Y. S. , Kim, D. K. , Kim, H. T. ,2011. Exoposure level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Seoul metropolitan subway stations. Industrial Health 49(2), 242-248.
    18. Kim, K. Y. , Rho, Y. M. , Kim, Y. S. , Lee, C. M. , Sim, I. S. ,2008. Profile of airborne microorganisms distributed in general offic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Environmental Hygiene 18(1), 11-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Kim, M. K. , Soe, S. C. , Park, D. S. ,2022b. Identification of bacteria and fungi in various types of multi-use facilities in Bucheon, South Korea. Environments 9(11), 136.
    20. Kim, S. , Kim, Y. E. , Noh, H. , Lee, D. H. , Kim, J. Y. , Ahn, G. R. , Kim, S. H. ,2021. Investigation of air-borne bacteria in the indoor of un-disinfected libraries of the National Archives, Seou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 76- 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im, T. Y. , Kim, M. J. , Baek, M. K. , Kim, S. H. , Moon, J. P. , Jo, J. K. , Choi, Y. K. , Park, J. W. , Kweon, B. Y. ,2022c.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rmaldehyde, volatile organic compounds, particulate matter, and airborne bacteria in indoor play centers.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5(4), 117-131.
    22. Kwon, P. S. ,2016. Comparison of quantitative endotoxin against 5 species of enterobacteriaceae.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48(2), 124-1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C. M. , Kim, Y. S. , Lee, T. H. , Park, W. S. , Hong, S. C. ,2004.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ioaerosol concentration in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13(3), 215-2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Lee, D. H. , Lee, S. H. , Bae, S. J. , Kim, N. H. , Park, K. S. , Kim, D. S. , Paik, K. J. , Moon, Y. W. ,2010. The concentration of indoor air quality and correlations of materials at multipleuse facilities in Gwanju.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2(11), 1001-10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H. S. , Kwon, B. Y. , Jeong, H. S. , Jo, K. H. , Yoon, W. S. ,2022. Analysis of the status of suspended fungal concentration in indoor air of national multi-use facilities and their correlation with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ng factors according to regional and facility classification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1(3), 170-1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ou, X. , Fang, Z. , Si, G. ,2012. Assessment of culturable airborne bacteria in a university campus in Hangzhou, Southeast of China. African Journal of Microbiology Research 6(3), 665-673.
    27. Maciag, M. C. , Phipatanakul, W. ,2022. Update on indoor allergens and their impact on pediatric asthma. Annals of Allergy Asthma & Immunology 128(6), 652-658.
    28.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ME),2017. Research on indoor airborne mold management plans.
    29.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ME),2021. Research on advanced management of airborne microorganisms in multi-use facilities.
    30.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ME),2015. Indoor fungi identification analysis and concentration research study.
    31. Mui, K. W. , Wong, L. T. , Hui, P. S. ,2008. Risks of unsatisfactory airborne bacteria level in air-conditioned offices of subtropical climates. Building and Environment 43(4), 475-479.
    32. Nageen, Y. , Asemoloye, M. D. , Polme, S. , Wang, X. , Xu, S. , Ramteke, P.W. , Pecoraro, L. ,2021. Analysis of culturable airborne fungi in outdoor environments in Tianjin, China. BMC Microbiology 21, 1-10.
    3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2010. A study on individual exposure assessment according to daily activities.
    34. O'Hara, C. M. , Brenner, F. W. , Miller, J. M. ,2000. Classification, identification, and clinical significance of Proteus, Providencia, and Morganella.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13(4), 534-546.
    35. Park, J. S. , Park, M. K. , Rhee, H. J. , Seo, M. J. , Jang, M. H. , Cho, S. S. , Min, B. C. , Park, E. S. , Lee, S. H. , ... Shin, Y. S. ,2023. Assessment of indoor air quality and health risk from formaldehyde exposure in postnatal care centers and elderly care facilities in Seou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2(1), 46-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S. Y. , Kim, Y. M. , Yi, S. , Lee, S. , Na, B. J. , Kim, C. B. , Kim, J. I. , Kim, H. S. , ... Jeong, E. K. ,2020. Coronavirus disease outbreak in call center, South Korea.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26(8), 1666-1670.
    37. Park, Y. S. , Kwon, S. H. , Lee, J. H. , Lee, H. S. , Park, S. Y. , Kee, S. H. , Yoon, W. S. ,2022. Analysis of the national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door airborne bacteria.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1(3), 191-19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Pastuszka, J. S. , Paw, U. K. T. , Lis, D. O. , Wlazło, A. Ulfig, K. ,2000. Bacterial and fungal aerosol in indoor environment in Upper Silesia, Poland. Atmospheric Environment 34(22), 3833-3842.
    39. Srikanth, P. , Sudharsanam, S. , Steinberg, R. ,2008. Bioaerosols in indoor environment: composition, health effects and analysis. Indian Journal of Medical Microbiology 26(4), 302-312.
    40.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2008. Interventions and actions against damp and mould: report on a WHO working group meeting.
    41. Xie, W. W. , Li, Y. P. , Bai, W. Y. , Hou, J. L. , Ma, T. F. , Zeng, X. L. , Zhang, L. Y. , An, T. C. ,2021. The source and transport of bioaerosols in the air: A review. Frontiers of Environmental Science & Engineering 15, 1-19.
    42. Yook, K. D. ,2005. Identifica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using fatty acid analysis.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37(3), 164-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3. Zeng, Z. Q. , Zhuang, W. Y. ,2022. New species of Nectriaceae (Hypocreales) from China. Journal of Fungi 8(10), 1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