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1738-4125(Print)
ISSN : 2287-7509(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9 No.3 pp.299-313
DOI :

충북지역 건축물 형태에 따른 고형 석면 분포 조사

정춘화*
세명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

An Investigation of Asbestos Distribution on Bulk Samples According to Building Types in Chungbuk Area

Chun-Hwa Je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Health & Safety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Received 9 August, 2012 ; Revised 28 August, 2012 ; Accepted 13 September, 2012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sbestos contents on bulk samples of 4 building types(public,commercial, residential, school) in chungbuk area and collected from june 3, 2010 to July 10, 2011. We classifiedthe bulk samples into the regulated asbestos containing building materials(ACBM) and architecturematerials by 4 building types at removal and disposal si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detection rate of the ACBMs were found mainly public(86.6%), and residential (82.1%) buildings. Thefounded asbestos were chrysotile and amosite. Compared with 4 building types, the contents of chrysotile inpublic, commercial, residential and school were 32.6% (3-70%), 43.9% (5-87%), 39.6(5-72%) and46.7%(range 4-89%), respectively. The miscellaneous materials were found chrysotile and a mixed form withchrysotile and amosite for 4 building types.
In the architecture materials, the contents of chrysotile was found mainly in slate (11.4%, range 2-37%).The slate in residential had high asbestos content of chrysotile (15.9%, range 1-31%). The textiles whichcollected from 4 building types were found chrysotile, the mixed form. The contents of chrysotile in cementflat board in public, commercial, residential and school were 8.9% (2-24%), 7.1% (1-16%), 7.9%(1-29%)and 3.7%(1-9%),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is study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contributed to manage the ACBM in 4 buildingtypes and to protect the health of workers at building removal sites.

9권3호_정춘화(299-313).pdf404.7KB

1. 서 론

 석면은 1975년 이전에 건축된 건물에서 다양하게 사용되어 왔으며, 리모델링, 해체, 제거과정에서 많은 건축물에서 석면함유물질이 포함되어 있었다(R.J.Lee and D.R. Van Orden, 2007).

공기 중에 발생하는 석면을 흡입하게 되면 석면폐(asbestosis)와 예후가 불량한 폐암(lung cancer), 늑막과 복막에 악성중피종(mesothelioma) 등이 유발되며 특히 폐암과 중피종은 저 농도의 석면에서 일정시간 폭로되면 발생될 수 있는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Wanger et al., 1960). 석면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면 대략 15~30년의 잠복기를 거쳐 석면폐, 폐암, 악성 중피종 등의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기 때문에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cancer, IARC)에서는 석면을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였다. 이미 세계적으로 오래전에 석면이 건강문제를 일으킴이 널리 알려져 왔고,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2004년 약 1억 2천5백만명이 석면에 노출되고 있으며, 매년 90,000명이 폐암, 악성중피종, 석면폐증으로 사망하였다(WHO, 2006). 

 세계의 석면 생산량은 연간 약 200만∼240만톤으로 유지되고 있다. 미국 EPA에서는 1972년 건물의 화재 방지용이나 단열재로 석면사용을 금지한 이후 석면사용이 급감하여 현재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유럽 27개국 국가에서는 1950년대 석면사용이 급증하여 1980년대 계속 되었고, 그 후 일부 국가에서는 사용 제한이나 금지제도를 도입하면서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1990년대에 석면사용이 급감하기 시작하였고 (European Commission Directive 1999/77/EC), 2005년 1월 석면이 함유된 제품의 사용과 거래에 대한 완전금지가 발효되었다. 2006년 4월부터는 석면작업자 보호조치 규정(2003/18/EC)에 대한 후속조치로서 석면 채광 및 석면 함유제품의 생산 및 가공 금지가 발효되었다. 따라서 유럽에 있어서 석면과 관련된 문제는 건물이나 공장 및 장비 등에 이미 사용된 석면으로 인한 것만 남았다(Virta, 2006). 

세계적으로 주로 사용하고 있는 석면은 백석면으로 전체 사용량의 95%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부분은 백석면으로 전량을 수입에 의존했으며 1970년대는 주로 건축자재인 슬레이트 원료로 사용하였고, 많은 건축물에 석면함유 건축자재 사용이 높았던 점(82%)과 자재 노후화 등으로 인한 건축물 내 석면의 비산여부 및 석면함유 건축자재 수준 등에 대한 실태 조사가 매우 미비하다. 건축자재에 사용되는 석면 중 문제가 되는 것은 비고형으로 건물의 표면에 살포되어 기류, 건물의 진동, 유지보수, 건물의 노후화 등의 문제로 쉽게 부스러져 유해한 석면섬유를 다량으로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경우이다. 우리나라의 석면 사용실태를 살펴보면, 석면은 1961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수립과 더불어 산업사회에서 광범위하고 대량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고, 당시에는 법적 규제가 미비하여 석면 분진에 노출되는 경우도 많았다. 1960년대까지도 수입량이 꾸준하다가 1990년대 후반에 와서야 석면이 사회문제로 부각되자 감소하였고 1970년대 약 96%가 건축자재인 슬레 이트 원료로 사용되었다. 우리나라는 1990년 7월 산업안전보건법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정 시 석면을 특정화학 물질1류로 분류하여 석면사용의 규제를 강화해오고 있으며(고용노동부, 1990), 청석면, 갈석면 사용을 전면 금지 시키고 있으며, 백석면 등 기타 석면은 적정 시설·설비를 갖추고 허가를 받아 철저한 관리하여 사용토록 하고 있고, 2009년 1월 1일부터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석면이 0.1%이상 함유된 건축자재 등 석면 함유 제품은 제조, 수입, 사용을 금지하였다(고용노동부, 2009).

고용노동부의 산업안전보건법 외 환경부의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법, 폐기물법, 건설교통부의 건축법 등에서도 석면의 사용 및 제조를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최근에는 건축자재 등이 다량 사용된 일부 건축물의 노후화, 기존 건물의 재건축 및 리모델링 시기가 도래하여 공기 중으로 근에는 비산되어 국민 건강상 위해를 미칠 가능성는 상존하여 석면의 비산에 대한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기존 건축물의 석면에 관한 연구는 고용노동부, 환경부, 교육과학기술부 등에 의하여 개별 건축물에 대한 실태조사가 진행되었고 국내 연구의 대부분도 개별 건축물에 대한 석면의 종류, 함유량, 공기 중 석면 노출실태 조사나 분석 방법에 관한 일부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0조의4의 규정에 의하여 고용노동부로 부터 지정받은 일개 석면조사기관에서 2010년 6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충북지역에 위치한 건축물 중 형태에 따라 공공건물, 상업용건물, 주택건물, 학교 건물 4가지로 구분하여 건축물 해체, 제거, 리모델링 현장에서 발생되는 고형 석면시료에 대한 종류와 함량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건축물 형태별로 자료를 구축하여 석면 분포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며 석면 함유 여부와 구성 성분에 관한 분석 결과는 건축물 특성에 따라 해체 및 리모델링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건축물의 석면관리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및 분류

 본 연구를 위해 충북지역에 분포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0조의4의 규정에 의하여 고용노동부로부터 지정받은 1개 석면조사기관에서 2010년 6월부터 2011년 7월까지 건축물 형태에 따라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에 대해 조사하였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의2 및 동법 시행령 제30조3의 규정에 따라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축물이나 설비”를 조사 대상으로 분류 하였고, 표1과 같이 건축물 형태에 따라 공공건물 27개소에 고형시료 수 112건, 상업용 건물 34개소에 172건, 주택 135개소에 216건, 학교건물 24개소에 134건으로 총 742건에 대해서 조사·분석하였다.

Table 1. Summary of bulk samples collected according to building types

2.2 시료 채취 및 분석

건축물 형태에 따른 시료 채취 분석을 위하여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의2, 제38조의5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80조의4, 제80조의11에 따른 건축물 또는 설비의 석면조사 및 공기 중 석면농도 측정과 정도관리 규정(고용노동부, 2009)에 따라 고형시료 채취 시에는 물질 또는 자재의 종류와 균질부분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분류하였다. 석면함유의심자재(ACBM : Asbestos Containing Building Material)를 채취하여 밀봉한 후 운반하였고, 분석결과의 정확도와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필요에 따라 시료의 대표적인 부분을 분쇄 및 혼합하였다. 

시료를 고온에서 회화시켜 시료 중 셀룰로 오즈 및 합성 고분자물질 등 유기결합재를 쉽게 제거하여 석면을 결합재로부터 유리시키거나 광학특성이 석면과 유사한 유기섬유를 제거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였다. 또한, 시료를 강산용액으로 용해시켜 시료 중 석고, 탄산칼슘류, 규산칼슘류 광물 등 산 용해성 물질을 제거하였고, 석면을 결합재로부터 유리시키거나 광학특성이 석면과 유사한 일부 무기섬유를 제거하여 분석의 정확도를 높였다. 굴절률과 굴절시약으로 전 처리 한 후 편광현미경(PLM, LV100POL, NIKON, Japa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축자재 등 고형시료 중 석면형태를 보이는 물질의 굴절률 등 결정광학 특성을 확인하여 석면 함유 여부와 함유된 석면의 종류 및 함유율을 분석하였고 정량분석은 시야평가법을 활용하여 가정량 하도록 하였으며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2.3 건축물 형태에 따른 석면 함유 자재별 분류

석면조사 대상은 건축물의 형태에 따라 표 2과 같이 구분하였다. 석면 함유 의심 자재(Asbestos containing building material, ACBM)의 형태와 기능에 따라 크게 3가지로 구분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표면재(Surfacing materials)와 유리섬유, 단열보온재 등의 단열재(Thermal system insulations, TSI), 천장텍스, 바닥타일 등은 기타 자재(Miscellaneous materials)로 분류하였다. 또 한, 건축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슬레이트(Slate)와 천장재인 텍스타일(Textile), 밤 라이트(Cement Flat Board)의 세 종류로 구분하고 건축물 형태에 따라 표 3과 같이 분류하였다. 

Table 2. Summary of asbestos containing building materials(ACBM)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Table 3. Summary of architecture materials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3. 연구 결과

3.1 건축물 형태에 따른 석면의 검출 여부

건축물 형태에 따라 고형 시료 중에서 중량 1%를 초과하여 검출되는 석면 시료의 검출율을 그림 1에서 나타내었다. 공공건물의 경우 고형 시료의 112건수 중 86.6%인 97건, 상업용 건물 의 경우 172건수 중 72.1%인 124건, 주택의 경우 324건수 중 77.5%인 251건, 학교의 경우 134건수 중 82.1%인 110건로 나타났다. 공공건물의 경우가 가장 많이 석면이 검출되었다.

Fig.1 Detection rate of bulk samples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strong

 건축물 형태에 따라 석면의 검출된 건수와 석면의 종류는 그림 2와 같다. 공공건물에서는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검출되었고 백석면이 함유된 시료가 84건 (85.6%),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가 13건(13.4%) 검출되었다. 상업용 건물에서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검출되었고 백석면이 함유된 시료가 109건 (87.9%),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가 15건(12.1%) 검출되었다.

Fig.2 Number detected in sample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strong</EM

 주택 건물에서도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검출되었고 백석면이 함유된 시료가 224건(89.2%),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가 27건(10.8%) 검출되었다. 학교 건물에서는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검출되었고 백석면이 함유된 시료가 97건(88.2%),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가 13건(11.8%) 검출되었다. 4개의 건축물 모두 백석면이 함유된 시료가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시료보다 많았으며 청석면은 검출되지 않았다.

3.2 건축물 형태에 따른 석면 함유 의심 자재별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3.2.1 건축물 형태에 따른 표면재와 단열재의 석면 종류 및 함유량

건축물 형태에 따른 표면재와 단열재 2종류의 석면 함유 의심자재를 합산한 결과 나타난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범위는 Table 4에 나타내었다. 공공건물에서는  총 28건의 시료중 16건의 시료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으며, 백석면의 기하평균은 32.6%, 함유량 범위는 3~70%로 조사되었다. 

Table 4. Types of asbestos and contents in surfacing material and thermal system insulation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상업용 건물에서는 총 29건의 시료중 14건의 시료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으며, 백석면의 기하평균은 43.9%, 함유량 범위는 5~87%로 조사 되었다. 공공건물보다 백석면의 함유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주택건물에서는 총 81건의 시료중 28건의 시료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으며, 백석면의 기하평균은 39.6%, 함유량 범위는 5~72%로 조사되었다. 학교건물에서는 총 29건의 시료중 9건의 시료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으며, 백석면의 기하평균은 46.7%, 함유량 범위는 4~89%로 조사되었다. 4개의 건축물 중에서 백석면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곳은 학교건축물로 조사 되었다.

3.2.2 건축물 형태에 따른 기타자재의 석면 종류 및 함유량

 건축물 형태에 따른 기타자재의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범위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공공건물에서는 총 86건의 시료에서 68건이 백석면으로 조사되었고 함유량은 10.9%, 범위는 1~21%  나타났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13건이 검출되었고 백석면의 함유량이 5.4%, 범위는 1~13%, 갈석면의 함유량은 4.2%, 범위는 1~12%로 조사되었다. 상업용 건물에서는 총 143건의 시료에서 95건이 백석면으로 조사되었고 함유량은 13.9%, 범위는 2~67%나타났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15건이 검출되었고 백석면의 함유량이 6.3%, 범위는 1~19%, 갈석면의 함유량은 8.4%, 범위는 2~16%로 조사되었다. 주택 건물에서는 총 243건의 시료에서 105건이 백석면으로 조사되었고 함유량은 11.8%, 범위는 1~29%나타났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27건이 검출되었고 백석면의 함유량이 8.8%, 범위는 1~16%, 갈석면의 함유량은 7.7%, 범위는 2~19%로 조사되었다.

Table. 5. Types of asbestos and contents in miscellaneous materials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학교 건물에서는 총 105건의 시료에서 88건이 백석면으로 조사되었고 함유량은 6.7%, 범위는 4~16%나타났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13건이 검출되었고 백석면의 함유량이 10.9%, 범위는 2~28%, 갈석면의 함유량은 12.7%, 범위는 2~43%로 조사되었다. 

3.2.3 건축물 형태에 따른 슬레이트의 석면 종류 및 함유량

 건축물 형태에 따라 구분된 상업용 건물과 주택건물의 지붕재는 대부분이 슬레이트가 사용되어 있었고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범위는 Table 6에 나타내었다. 공공건물과 학교 건물에서는 슬레이트가 지붕재로 사용되고 있지 않아 시료에서 제외하였다. 상업용 건물에서 건축자재 중 슬레이트의 고형시료 14개 중 모두 다 백석면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11.4%, 범위는 2~37%로 조사되었다. 주택 건물에서는 49개 시료중 49개 시료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으며, 석면 함유량은 15.9%, 범위는 1~31%로 조사되었다. 주택 건물에서도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로 석면이 검출된 시료는 없었다.

Table 6. Types of asbestos and contents in slate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3.2.4 건축물 형태에 따른 텍스타일의 석면 종류 및 함유량

건축물 형태에 따른 석면의 종류 및 함유량 범위는 Table 7에 나타내었다. 공공건물에서는 고형시료 54개 중 백석면은 41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5.7%, 범위는 2~13%로 조사되었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은 9건이 조사되었으며 백석면의 함유량은 3.5%, 범위는 4~15%, 갈석면의 함유량은 2.9%, 범위는 1~17%를 나타내었다. 그 외 4건은 석면은 검출되지 않았다. 

Table 7. Types of asbestos and contents in textile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상업용 건물에서는 고형시료 87개 중 백석면은 72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4.9%, 범위는 2~18%로 조사되었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은 10건이 조사되었으며 백석면의 함유량은 4.3%, 범위는 3~11%, 갈석면의 함유량은 5.4%, 범위는 2~10%를 나타내었다. 주택 건물에서는 고형시료 172개 중 백석면은 143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5.8%, 범위는 4~15%로 조사되었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은 석면건이 조사되었으며 백석면의 함유량은 3.8%, 범위는 2~11%, 갈석면의 함유량은 2.7%, 범위는 1~15%를 나타내었다. 학교 건물에서는 고형시료 64개 중 백석면은 46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6.7%, 범위는 4~14%로 조사되었다.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은 11건이 조사되었으며 백석면의 함유량은 7.9%, 범위는 3~21%, 갈석면의 함유량은 1.7%, 범위는 1~7%를 나타내었다 

3.2.5 건축물 형태에 따른 밤라이트의 석면 종류 및 함유량

건축물 형태에 따른 밤라이트의 고형시료를 조사한 결과는 표 8에서 나타내었다. 공공건물는 시료 25건 중 21건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8.9%, 범위는 2~24%로 조사되었다. 

Table 8. Types of asbestos and contents in cement flat board collected from building types

 상업용 건물에서는 고형시료 46개 중 백석면은 34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7.1%, 범위는 1~16%로 조사되었다. 주택 건물에서는 고형시료 54개 중 백석면은 44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7.9%, 범위는 1~29%로 조사되었다. 학교 건물에서는 고형시료 29개 중 백석면은 21건 검출되었고, 석면의 함유량은 3.7%, 범위는 1~9%로 조사되었다. 4개 건물 모두에서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은 검출되지 않았다.

4. 고 찰

본 연구는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30조의4의 규정에 의하여 고용노동부에서 지정받은 일개 석면조사기관에서 충북지역에 위치한 건축물 중 형태에 따라 공공건물, 상업용건물, 주택건물, 학교 건물 4가지로 구분하여 석면 조사보고서를 2010년 6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작성하였고 충북지역 석면 국내 건축물 등 해체, 제거, 리모델링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고형 시료에서 석면의 종류와 함유량 등을 건축물 형태에 따라 조사, 분석하여 결과를 고찰하였다. 

외국의 문헌을 고찰한 결과 Fischbein 등 (1979)의 연구에서도 석고벽이나 회반죽에 들어있는 백석면의 농도가 6∼12%범위라고 보고하였고, Robert 등(2007)의 결과에서도 건축물 해체 작업시 석고보드에서 2∼8%, 바닥재에서 2∼3%, 천장재에서 5%의 백석면이 조사되어 석면의 함유율이 본 연구와 거의 유사함을 알 수 있다. 

국내 연구결과를 고찰하면 심상효 등(2010)의 연구에서 석면함유 건축자재는 슬레이트 268건 (53.7%)으로 가장 많았고, 천정 마감재인 텍스166건(33.3%), 석면시멘트판(밤라이트) 58건 (11.6%)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텍스 377건 (62.7%), 밤라이트 154건(25.6%), 으로 2배정도 높았지만, 슬레이트는 약 1/3수준으로 차이점을 보였다. 공공건물과 학교건물에서는 슬레이트 건물이 많이 존재하지 않았고 대부분 천장텍스가 많이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유찬영 등(2002)의 서울시 역사 내부 설비 공사 중인 10개 지하역사에 대한 석면조사 결과 고형시료 44개 중 29개에서 석면이 검출되어 조사대상의 65.9%가 검출된 결과를 보였고, 이 중 27개는 백석면, 2개는 투각섬석이 검출되었다. 황순용 등 (2003)은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건물의 석면조사에서 충북 지역 10개 건물에서 21개, 서울지역 3개 건물에서 10개의 시료를 채취하였고, 그 결과 충북지역은 21개 시료에서 중에서 7개에서 석면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지역은 10개 시료 중 5개에서 석면이 함유된 것으로 나타났다. 석면의 종류는 백석면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건축자재에서 석면의 검출률이 높고, 사용한 석면 종류의 대부분이 백석면인 것을 확인되었다. 

정용현 등(2005)의 연구에서는 외벽재나 지붕재로 사용되는 슬레이트에는 백석면이 10% 정도 함유되어 있고, 칸막이로 사용되는 밤라이트나, 나무라이트는 8%정도 석면이 함유되어 있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슬레이트(지붕재)에 함유된 석면의 함유율은 상업용 건물에서 14.0%, 벽재의 석면 함유율은 8.9%로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2009)의 공공건물의 석면함유물질 사용 실태조사 결과에서 224개 공공건물 중 170개 건물에서 석면이 검출되어 75.9%의 검출률이 보였다.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해 보면 검출율이 86.6%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뿜칠재에서 백석면 2%, 파이프 보온재 등 단열재에서 백석면 2∼35%, 가스켓에서 백석면 5∼70%, 밤 라이트, 석고보드 등 벽재에서 백석면 2∼24%, 슬레이트 등 지붕재에서 백석면 6∼18%, 천장재에서 백석면이 극미량∼15%, 갈석면이 극미량∼15%, 공조덕트 연결관, 패킹, 창문 코킹 등 기타재질에서 백석면 2∼30%이 검출되었고, 석고 회반죽, 창틀 마감 등 마감재 및 바닥재에서는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 (2007)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100개교에 대한 석면 함유 의심자재에 대한 분석결과 88개교에서 88%로 석면검출율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도 학교 건물에서 검출율이 82.1%로 거의 비슷하게 조사되었다. 석면이 검출된 자재를 보면 천정텍스, 밤라이트보드에서는 각각 77%, 71.4%의 석면검출율을 보였으며 석면의 함유율은 백석면이 1∼40%, 갈석면이 1∼10% 함유되어 있었다. 가스켓의 경우 83.3%의 높은 석면검출율을 보였으며 그 함유량도 백석면이 80%이상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도 표면재와 단열재는 상업용 건물과 학교건물에서 백석면의 함유량이 높게 나타나 있어서 이에 따른 대체제의 개발 및 관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최호춘 등(2011)의 연구에서는 슬레이트, 밤라이트 등을 포함하는 기타자재의 고형시료에서 79.2%의 높은 석면 검출률을 나타냈으며, 천장재, 지붕재, 벽재에서는 백석면과 백석면과 갈석면의 혼합된 형태의 석면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건축물 형태별로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 된 형태로 검출되어 유사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우리나라 건축자재별로 사용된 석면의 대부분이 백석면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외 백석면의 변성 온도를 높이기 위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이 사용되었다. 그 외 바닥재(범위 2∼12%), 가스켓(범위 2∼90%), 그 외 자재(석면포, 석면사 등)에서 범위 8∼80%에서 백석면이 검출되었다. 건축 자재 종류별 분류에서는 슬레이트 (92.6%, 범위 2∼21%), 텍스(80.6%, 범위 1∼17%), 밤라이트(73.4%, 범위 2∼19%) 고형시료 모두 백석면 검출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도 슬레이트의 경우 상업용 건물에서 백석면 100.0%, 주택의 경우 백석면이 75% 검출되어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슬레이트의 경우 상업용 건물과 주택에서 석면이 검출되어 개보수시 훼손, 손상 등에 의해 부스러져 석면분진이 비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석면관리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고 추후 건물의 개보수시 석면의 비산 가능성이 있으므로 석면지도 작성을 통한 관리가 필요하다. 지붕재 중 석면 검출비율이 97.3%인 슬레이트가 대다수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슬레이트는 2004년 11월 이후 생산이 중단되기 전까지 주택, 공장, 축사, 창고 등 모든 건축물의 지붕 및 벽체 건축자재로 꾸준히 사용되었으며, 특히 1970~1980년대에 새마을 운동의 일환으로 지붕개량사업이 시행됨에 따라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가 최고에 달하였으며, 그 후 점차 줄어들었다. 석면 슬레이트는 백석면을 10~20%를 첨가하여 생산되고, 농촌 지붕개량 사업으로 사용된 슬레이트의 양은 정확한 파악은 어려우나, 73년부터 76년까지 연간 3,500만개가 판매되었다(김현욱 등, 2010).

 김지영 등(2009)의 연구에서도 건물 13개소에서 고형시료 38건을 채취한 결과 19건(50.0%)이 백석면, 1건(3.3%)이 투감섬석으로 확인되었으며, 천장텍스의 경우 73.3%가 백석면으로 분석되어 건축물은 대부분은 백석면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지금까지 국내의 석면에 관련된 연구 내용은 건축물 내 석면 실태조사 및 특성에 관한 연구(유성환 등, 1996 ; 정용현 등, 2005; 장승희, 2006; 김지영 등, 2009; 최호춘 등, 2011), 일부 공공 및 학교시설에서의 석면 분포 특성조사(노영만 등, 2007) 관한 내용 등 다양하게 석면노출 수준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건축물 형태별로 분류하여 공공건물, 상업용 건물 주택건물, 학교 건물별로 고형 시료에 대한 석면의 종류 및 함량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적합한 관리대책의 수립 및 활용 방안의 설정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로 부터 지정받은 1개 석면조사기관에서 충북지역에 위치한 220개 건축물 중 형태에 따라 공공건물, 상업용건물, 주택건물, 학교 건물 4가지로 구분하여 석면 조사보고서를 작성하였고 이를 통해 건축물 해체, 제거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형 시료 중에 함유된 석면의 종류와 함량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건축물 형태별로 석면 분포특성에 관한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이다. 또한, 석면 함유 여부와 구성 성분에 관한 분석 결과는 건축물 형태에 따라 해체 및 리모델링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건축물의 석면관리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 

5. 결 론

본 연구는 일개 석면조사기관에서 2010년 6월부터 2011년 7월까지 충북지역에 위치한 건축물 중 형태에 따라 4가지로 구분(공공건물, 상업용건물, 주택건물, 학교건물)하여 건축물 해체, 제거, 리모델링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고형 시료에서 석면의 종류와 함유량 등을 조사, 분석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물 형태별로 분류하였을 때 공공건물과 주택건물의 고형 시료에서 석면의 검출율이 각각 86.6%, 82.1%로 상업용 건물(72.2%)과 학교건물(77.5%)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석면의 종류는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이 검출되었다. 

2) 건축물 형태별로 표면재와 단열재에서 석면의 함유량은 공공건물에서 백석면이 32.6% (범위 3~17%). 상업용 건물에서 43.9%(범위 5~87%), 주택에서 39.6%(범위5~72%), 학교건물에서 46.7%(범위 4~89%)로 조사되었고, 백석면과 갈석면의 혼합된 형태의 석면이 검출되지 않았다. 기타물질에서는 공공건물, 상업용 건물, 주택, 학교건물 모두에서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의 석면이 검출되었다. 

3) 건축물 형태별 자재 종류별 분류에서는 슬레이트의 경우 상업용 건물과 주택 건물에서에서 백석면 11.4%(범위 2-37%), 백석면 15.9% (범위 1-31%)로 각각 검출되었고,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에서는 석면이 검출되었다.

4) 건축물 형태별 자재 종류별 분류에서는 텍스타일의 경우 4개 건물 모두에서 백석면, 백석면과 갈석면이 혼합된 형태는 검출되었고 밤라이트의 경우 공공건물과 상업용건물에서 각각 백석면 8.9%(범위 2~24%), 7.1%(범위 1~16%)으로 조사되었고 주택건물과 학교 건물에서는 백석면 7.9%(범위 1-29%), 3.7% (범위 1-9%)나타났다. 

연구대상 건축물이 충북지역 220개소로 국내 건물 전체를 대표할 수 없지만 석면의 대체적인 분포 경향이 파악되었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해 4가지 형태의 건축물 해체, 제거, 리모델링 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고형 시료 중에 석면 함유 의심자재의 차이점을 파악 하였고, 이를 토대로 작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건강관리와 건축물의 석면관리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ments

This paper was supported by the Semyung University Research Grant of 2010. 

Reference

1.Choi, H.C., Ahn., S.H., Hong J.R., Jeon, B.H., Lee, Y.P., Park C.Y., (2011) A study on types and contents of asbestos in bulk samples,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1(4), 201-208.
2.Chung, Y.H., Han, J.H., Sung, J.H., Song, K.S., Lim, K.T., Yu, I.J., (2005), Investigation of asbestos and MMMF containing construction material in Korean build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1(2), 156-165.
3.Fischbein A, Rohl AN, Langer AM, Selikoff IJ(1979) Drywall construction and asbestos exposure. Am Ind Hyg Assoc J. 40 (5), 402-407.
4.Hwang, S.Y., Kim, Y.S, Suk, M.H., Kim, D.H., Hwang, I.W., Lee, C.H.,(2002), Asbestos inspection in building by using polarized light microscopy(PLM),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ment. 4(2), 112-131.
5.Jang, S.H., (2006) A study on management condition of asbestos abatement in stru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gree of Master Thesis, 1-26.
6.Kim, H.W., Park, G.Y., Han, J.G., Han, Y.S., Hwang B.G., Lee, J.H., (2010) Releasing of asbestos fibers from the weathered asbestos cement slate roofing,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0(2), 88-93.
7.Kim, J.Y., Lee, S.K., Lee, J.H., Lim, M.H., Kang S.W., Phee, Y.G., (2009)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sbestos exposure level from asbestos abatement in building demolition sites,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9(1), 8-15.
8.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7), A survey on asbestos material in school buildings and a study of the standard model of asbestos management.
9.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1990),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10.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09),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11.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2010),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12.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A survey on asbestos-containing material in public buildings.
13.R.J. Lee, D.R. Van Orden(2007) Airborne asbestos in buildings. Regulatory toxicology and pharmacology. 50, 218-225.
14.Rober A. Perkins, John Hargesheimer, Walter Fourie(2007) Asbestos release from whole-building demolition of buildings with asbestos-containing materi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4 (12), 889-894.
15.Roh, Y.M., Park, W.M., Lee, C.M., Kim, Y.S., Lee, S.W., Suk, M.H., Jeoung, C.H.,(2007), The characteristics of asbestos distribution in some public and school building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4(3), 184-193.
16.Sim, S.H., Kim, J.M., Jin, C.H., Park, H.L., Jeoung, C.H.(2010) A survey of asbestos dismantlement & removal compan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7(3), 166-178.
17.Virta, RL. Worldwide abestos supply and consumption trends from 1900-2000. U.S dept.of interior US geological survey.
18.Wagner JC., Sleggs CA., Paul Marchand. (1960) Diffuse pleural mesothelioma and asbestos exposure in the North Westem Cape province, British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17(4), 260-271.
19.WHO(2006), Elimination of asbestos-related disease WHO/SDE/OEH/06.3 available at h t t p : / / h w q l i b d o c .-who.int/2006/WHO_OEM_06.0_eng.pdf.
20.Yoo, C.Y., Roh, J.H., Chung, H.K., Kim, C.N., (2002) Indoor air quality and control of asbestos during the renovation work of subway stations in seoul,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2(3), 178-186.
21.Yu, S.W., Kim, H.W.,(1996) Characterization of asbestos content in friable sprayed – on surface material and airborne asbestos concentrations in buildings by TEM,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5(2),137-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