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18 No.3 pp.195-202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19.18.3.195

A study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Fields emission levels from underground cables in Korea

Joon-sig Jung1,2*, Hyun-sung Jung1, Kyu-mok Lee1, Jae-won Lee1, Myung-hee Kwon1, Jin-hoi Gu1
1Indoor air and noise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Nakdo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Monitoring and Analysis Division

현재 소속기관은 ‘낙동강유역환경청 측정분석과’ 임


Corresponding author Tel : +82-55-211-1686 E-mail : jsjung080@korea.kr
18/06/2019 26/08/2019 26/08/201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F-MF emissions from UCLs and to compare the ELF-MF emission levels of HVTLs and UCLs.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and management pla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posure to ELF-MF emissions from UCLs. The ELF-MF emissions from the 154 kV UCL were 15.4±24.4 (GM: 7.8)mG, while from the 345 kV line they were 6.0±2.4 (GM: 5.7)mG.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ELF-MF emissions of 154 kV UCL and HVTL, at about 20 m distance from an overhead line the emissions level is 4 mG, while from an underground line at about 10 m distance the emission level was recorded as less than 4 mG. Through comparing the ELF-MF emission amount of the UCL according to the burial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ELF-MF emission levels are 15.3±7.4 (GM: 13.9)mG at the direct point, in the conduit type 21.0±30.4 (GM: 10.8)mG, and in the buried form 8.5±12.3 (GM:5.1)mG. In this study, ELF-MF emissions were about 37.0% and 47.5% lower,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direct power and conduit type. The correlation between ELF-MF emission (mG) and power load (A) was analyzed. The higher the power load, the higher the ELF-MF emission. The correlation between ELF-MF emission at the direct point and depth of the UCL was also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as the depth of line burial increased, ELF-MF emissions decreased.



우리나라 일부 지중송전선의 극저주파 자기장(ELF-MF) 방출특성 연구

정 준식1,2*, 정 현성1, 이 규목1, 이 재원1, 권 명희1, 구 진회1
1국립환경과학원 환경기반연구부 생활환경연구과
2낙동강유역환경청 측정분석과

초록


    Ministry of Environment
    NIER-2018-01-01-086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현대사회에서 전기·전자제품 사용 증가는 필수적으 로, 극저주파(ELF: Extremely Low Frequency) 자기장 (MF: Magnetic Field) 노출과 건강과 관련된 인체 영향 (Adverse health effects)이라는 국민들의 관심(issue)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국가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 (8차 전력수급기본 계획)을 위해서는 고압 가공·지중송 전선 건설/확충(94회선, 1,560 km 증설 예상)이 필연적 이라는 주장(Park et al., 2018)과 고압 가공·지중송전선 에서 발생하는 60 Hz ELF-MF 장기 노출에 따른 건강 영향과 재산권 피해라는 주장이 서로 상반되어 현재 논쟁거리의 핵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지역주민들의 송 전선 건설 주요 반대 사유는 신체적 위해성(전체의 33.7%)을 가장 높게 주장하고 있다(Hong and Choi, 2008).

    고압송전선과 관련하여 한국전력은 국제비전리방사 선보호협회(ICNIRP: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의 기준인 833 mG (현재 2,000 mG)을 준용하고 있다(ICNIRP, 2004;Lin et al., 2010). 산업통상자원부의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에 따라 “특고압 가공송전선은 지표상 1 m에서 전자파가 83.3 μT (=833 mG) 이하가 되도록 시설하는 등 사람에 게 위험을 줄 우려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라고 명시 하고 있다.

    그러나 고압 가공·지중송전선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 및 NGO 단체는 ELF-MF로 인한 건강상의 위해 성(adverse health effect)을 고려하여 3~4 mG의 자기장 노출기준을 주장하기도 하였다(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 2012). 2010년 국민권익위원회 조사 자료에 의하면, 고압 송전선과 관련하여 2005년~2010 년까지 제기된 민원(1,154 건) 중 약 16.1%가 극저주 파 자기장(전자파)과 관련한 피해를 원인으로 지목하 고 있었다(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 2010 ).

    미국에서는 1994년부터 1998년까지 국가적 차원의 EMF RAPID (Electric and Magnetic Field Research and Public Information Dissemination) 프로그램을 수 행하여, 대중들에게 EMF-MF의 노출수준 정보를 제공 하였다(NIEHS, 2002). 우리나라도 환경부에서 2007년 부터 2009년까지 EMF RAPID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생활환경에서 노출되는 ELF-MF 수준을 조사하였다 (MOE, 2007;2009).

    극저주파 자기장(ELF-MF) 노출과 인체 건강영향 및 노출평가 등의 수많은 연구 결과가 존재하나, 현재까지 국내/외에 일관성 있고 뚜렷한 결론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Savits et al., 1998;Cho et al., 2004;Kim et al., 2005;2006;Choi et al., 2015;Jung et al., 2012;2015;2017;2018;Park et al., 2018). 그러나, 세계보건기구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의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에서는 “사전주의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의거하여 ELF-EMF 노출 감소를 위하여 각 나라에 실행 및 적용 가능한 자발적인 노력을 권고 하고 있다(WHO, 2007).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 가공송전선(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과 관련된 노출 및 방출 연구는 다수 존재하나, 지중송전선(underground cable)과 관련된 노 출량 및 방출량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 이다. 또한 앞서 전술 하였듯이 지중송전의 극저주파 자기장 방출량과 관련한 지속적인 분쟁의 증가로 인하 여 사회적 손실(행정소송, 집회 등)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중송전선에서 발생하는 극저 주파 자기장(ELF-MF)의 방출량을 조사하는 것에 1차 적인 목적이 있으며, 추가적으로 가공송전선과 지중송 전선의 ELF-MF 방출 특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154 kV, 345 kV 고압 지중송전선 방출량 조사 및 분 석은 2008년 1~12월간 한국전력의 협조를 얻어 서울 권, 대구권, 부산권 지역에서 실시하였다. 조사 전 해당 T/L (Transmission Line)의 리스트를 확인 후,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T/L을 선정하고, 현장 확인 결과를 토대로 최종 80 T/L (165 site)을 조사하였다. 총 165 site중 외부 전기적 자원(배전 등)에 영향을 받는 site, 매설방식의 혼재한 site, 정확한 깊이 및 전력부하량 등 의 제반 정보를 파악할 수 없는 site를 제외한 134 site 를 최종 분석하였다.

    지중송전선과 가공송전선의 ELF-MF 방출량 비교는 가공 및 지중송전선이 혼재하는 동일 T/L에 대하여 ELF-MF 방출량을 조사하였다(Fig. 1).

    2.2 측정기기 및 방법

    본 조사에서 사용된 기기는 EMDEX II와 EMDEX Lite, EMDEX II-Linear Data Acquisition System (ENERTECH Inc.)이다. EMDEX 기기는 미국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한 삼 축 방향(x, y, z)의 Electric and Magnetic Field Digital Exposure System이다. 기기의 분석 감도는 자기장 (magnetic field)의 경우는 0.1 mG이고, 최대 분석 가능 치는 3,000 mG, 측정값의 정확도는 ±3%이다. 분석은 EMDEX 전용 프로그램인 EMCALC 2007을 이용하여 방출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EC 62110 (2009)의 3점 측정 방법 (Magnetic field levels generated by AC power sys-tems - Measurement procedures with regard to public exposure)을 준용(0.5 m, 1.0 m, 1.5 m을 동시 측정하여 평균값 사용)하여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량을 조 사하였다(Fig. 2).

    2.3 통계분석 및 정도관리

    자료의 통계 분석은 SPSS version 12.0 (SPSS Institute,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량의 비교 분석은 t-test (평균비교)와 ANOVA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방출값의 분포 특성를 파악하기 위하여 산술평균(arithmetic mean, 이하 AM), 기하평균(geometrical mean, 이하 GM)등으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기기 간의 측정값 비교 및 정도 관리를 위하여 EMDEX II 및 EMDEX LITE를 전기 적 자원의 영향이 없는 공간에 각 2대를 위치하게 한 후, 반복적으로 10회 측정을 하였으며, 각 기기간의 측 정값 일치를 확인하였다.

    3. 연구결과 및 고찰

    3.1 고압 지중송전선 ELF-MF 방출량

    고압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량을 비교한 결과, 직상지점에서 154 kV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량 은 15.4±24.4 (GM:7.8)mG으로 나타났으며, 345 kV는 6.0±2.4 (GM:5.7)mG으로 나타났다(Table 1). 154 kV 지 중선로의 이격거리별 ELF-MF 방출량은 약 9~10 m 이 상 이격된 거리에서는 4 mG 미만으로 나타났으며, 직 상지점과 비교하여 약 27.0%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 로 확인되었다(Table 2).

    서울시 어린이집 경계지점에서의 지중송전선(154 kV) ELF-MF 방출량을 측정한 결과, 직상지점(directly point)에서는 11.14±17.99 (GM:6.05)mG으로 나타났으 며, 지중선로에서 약 5m 이격된 거리에서 4 mG로 나 타났다. Jung et al. (2016)의 연구에서는 154 kV는 11.34±18.17 (GM:6.15)mG, 345 kV는 3.20±1.30 (GM: 2.98)mG으로 154 kV 지중송전선이 345 kV와 비교하 여 산술평균은 약 3.54배, 기하평균은 약 2.0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유는 1차적으로 매설방식 매설깊이에 주요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 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는 154 kV 지중송전선이 345 kV보다 높게 나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345 kV 지 중송전선 T/L이 3개로 조사수가 적어 결과값을 일반화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존재한다. 차후 345 kV 지중송 전선 T/L을 추가하여 조사할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2 매설방식에 따른 ELF-MF 방출량

    Fig. 3은 매설 방식에 따른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량을 나타낸 것이다. 직상지점에서 ELF-MF 방출 량은 직매 형태의 경우 15.3±7.4 (GM:13.9)mG, 관로 형태는 21.0±30.4 (GM:10.8)mG, 전력구 형태는 8.5± 12.3 (GM:5.1)mG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구 형태가 직매, 관로와 비교(직상지점)하여 ELF-MF 방 출량은 각각 약 37.0%, 약 47.5% 낮은 수준으로 나타 났다. 이러한 사유는 매설깊이가 1차적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전력부하량도 일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전력에서 확인한 결과, 지역, 전 력수요, 주변 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인 매설깊이의 경우 직매식은 1~1.5 m, 관로식은 1~4 m, 전력구식은 4~10 m이다.

    Fig. 4는 매설형태 별 이격거리에 따른 ELF-MF 방 출량을 비교(기하평균; GM)한 결과이다. 본 연구에서 는 직매형태의 경우 약 7 m 이격된 거리에서 4 mG 이 하로 나타났으며, 관로는 약 6 m 이격된 거리, 전력구 는 약 2 m 이격된 거리에서 4 mG 이하로 나타났다.

    Jung et al. (2016)의 연구에서는 관로형태의 경우 직 상지점에서 ELF-MF 방출량은 15.55±21.62 (GM:9.95) mG, 전력구 형태의 ELF-MF 방출량은 3.92±2.80 (GM: 2.67)mG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로 전 력구 형태가 여타 매립방식보다 ELF-MF 방출량이 낮 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유는 전술하였듯이 전력 부하량에 1차적으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매설 깊이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4 mG 기준으로 정한 사유는 건강영향 에 대한 종말점(end point)이 아니라, 평균적인 일상생 활 수준 노출을 적용하여 나타낸 것이다. 환경부 비자 발적 전자파 노출인구 건강영향평가연구에서는 전국 350명의 24시간 노출 평균은 1.5 mG이며, 95% 집단이 4mG을 초과하지 않는 수준으로 나타났다(MOE, 2007). 미국 EMF RAPID Program에서는 전체 미국인 의 ELF-MF 노출량별 인구수를 추정한 연구에서 50% (중간값)은 0.87 mG이며, 95% 노출량은 3.4 mG로 나 타났다(NIESH, 2002).

    3.3 전력부하량 및 매설깊이에 따른 ELF-MF 방출량

    Fig. 5는 ELF-MF 방출량과 전력부하량, 깊이와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측정 당시에 해당 지 중송전선에 흐르는 전력 부하량(A)과 직상지점에서 ELF-MF 방출량(mG)의 Pearson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전력 부하량이 높을수록 ELF-MF 방출량이 높은 것으 로 나타났다(r = 0.468, p-value < 0.01). 측정 대상 지중 송전선의 깊이와 직상지점에서 ELF-MF 방출량의 Pearson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매설 깊이가 깊을수록 ELF-MF 방출량은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r = -0.188, p-value <0.05).

    본 연구의 결과는 선행적으로 조사한 지중송전선 ELF-MF 방출량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Hong et al., 2008;Jung et al., 2014;2016). 이처럼 선 행연구와 본 연구 결과에서 고압송전선의 ELF-MF 방 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격거리, 전력부하량, 매설 깊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차후 ELF-MF 저감방안 으로 적용할 수 있는 현실방법은 적정 이격거리를 산 정하여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나, 건설 단계에서 적정 매설 깊이를 감안하여 계획하는 것도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된다.

    3.4 지중송전선과 가공송전선의 ELF-MF 방출량

    동일 T/L에 가공송전선과 지중송전선이 병행하여 경 과하는 4개 Site(#2, #3, #4, #5)를 조사한 결과, 직상지 점에서 ELF-MF 방출량은 지중송전선(Range: 4.26~ 75.95 mG)이 가공송전선(2.35~43.45 mG)보다 최대 약 2~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6). 그러나 직상 (하)지점에서 약 5~10 m 이격된 거리부터는 가공송전 선이 지중송전선 보다 높게 나타났다.

    Jung et al. (2014)의 연구에서는 지중송전선의 시뮬 레이션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동일 전력 부하량에서 154 kV 가공송전선로는 10 m 이격된 거리에서는 최대 약 9배, 345 kV는 약 13배 정도 차이가 나며, 지중송전 선로의 감소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 인 비교는 될 수 없으나, 미국 California주 교육청의 송전선로 가이드라인에서는 50~133 kV 전압의 경우 가공송전선로의 경우는 100 feet (30.48 m), 지중송전선 로는 25 feet (약 7.6 m) 이격거리를 설정하게 되어있다. 220~230 kV 송전전압에서는 가송송전선로의 경우 150 feet, 지중송전선로의 경우 37.5 feet로 설정하였다 (Seo., 2012).

    일반적인 가공송전선의 ELF-MF 저감방안으로는 대 안노선(우회) 계획 및 대체부지 확보, 송전탑 높이 변 경과 같은 거리를 조절하는 완화법이 있으며, 지중화공 법 적용이 대표적이다. 국부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방 법으로는 도체 간격축소, 위상 상쇄(phase cancellation) 저감기법 등이 존재한다(Jeon et al., 2006). 지중송전선 이 가공송전선과 비교하여 ELF-MF 감소율(%)이 높은 사유는 매립시 절연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선간 의 간격 P(상간거리)를 작게 할 수 있어 ELF-MF 저감 율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Jung et al., 2014).

    가공송전선과 비교하여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 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저감율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 으로 나타나므로, 지역주민간 분쟁의 소지가 없다면 현 실적인 ELF-MF 저감 방안으로 효용성이 있다고 사료 된다.

    4.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부 지역의 지중송전선에서 발 생하는 극저주파 자기장(ELF-MF) 방출량을 조사하는 것이며, 추가적으로 가공송전선과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 특성을 비교 하였다.

    154 kV 지중송전선과 가공송전선의 이격거리별 ELF-MF 방출량을 비교한 결과, 가공송전선은 직하지 점에서부터 약 20 m 이격된 거리에서 4 mG 이하로 나 타났으며, 지중송전선은 직상지점에서부터 약 10 m 이 격된 거리에서 4 mG 이하로 나타났다.

    매설 방식에 따른 지중송전선의 ELF-MF 방출량을 비교한 결과, 직매 형태의 ELF-MF 방출량은 직상지점 에서 15.3±7.4 (GM:13.9)mG, 관로 형태는 21.0±30.4 (GM:10.8)mG, 전력구 형태는 8.5±12.3 (GM:5.1)mG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전력구 형태가 직매, 관로와 비교(직상지점)하여 ELF-MF 방출량은 각각 약 37.0%, 약 47.5%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전력 부하량(A)과 깊이에 따른 직상지점에서 ELF-MF 방출량(mG)의 상 관성을 분석한 결과, 전력 부하량이 높을수록 ELF-MF 방출량이 높았으며, 매설깊이가 깊을수록 ELF-MF 방 출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동일 T/L에 가공송전선과 지중송전선이 병행하여 경 과하는 지점의 T/L을 조사한 결과, 직상지점에서 ELFMF 방출량은 지중송전선이 가공송전선보다 최대 약 3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약 10 m 이격된 거리 부터는 가공송전선이 지중송전선 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재 ELF-MF의 인체위해성과 관련하여 국외 및 국 내의 명확한 인과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다만, 사전 주의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따라 노출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중송전선 주변 지 역의 노출 민감군 또는 시설을 조사하여 방출량 분포 도(2D 적용)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필요시 3D로 방출 분포도를 작성하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 료된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지중송전선의 ELF-MF 노출량 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회적 노출 기준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된다.

    감사의 글

    본 논문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환경과학원의 지 원을 받아 수행하였습니다(NIER-2018-01-01-086).

    Figure

    JOIE-18-3-195_F1.gif

    Survey of main electric instrument.

    JOIE-18-3-195_F2.gif

    Sampling of ELF-MF emission levels.

    JOIE-18-3-195_F3.gif

    ELF-MF emission levels by construction type.

    JOIE-18-3-195_F4.gif

    ELF-MF emission levels by distance(each construction type).

    JOIE-18-3-195_F5.gif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ELF-MF level and operating condition.

    JOIE-18-3-195_F6.gif

    Comparison of ELF-MF emission levels of HVTL and UCL in the same conditions.

    Table

    ELF-MF level in accordance with operating voltage

    ELF-MF level by the separated distance of Underground cable (154 kV)

    Reference

    1. Anti-Corruption & Civil Rights Commission.2010. 33p http://ecolibrary.me.go.kr/nier/search/DetailView.ax?sid=1&cid=5514267
    2. Cho, Y. S. , Kim, Y. S. , Lee, J. T. , Hong, S. C. , Jang, S. K. 2004. Relationship between urinary melatonin levels and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for the selected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and away from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30(3), 191-20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S. H. , Jung, J. S. , Jeon, H. J. , Kim, Y. S. , Kim, N. , Hong, S. C. ,2015. Study on effect of exposure to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from power line on health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4(3), 199-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ong, S. C. , Jung, J. S. , Kim, K. Y. , Park, H. J. , Choi, S. H. 2008. Evaluation of the Magnetic Field Exposure Level in 60Hz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Nearby Residential Area.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4(1), 27-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ong, S. M. , Choi, H. S. 2008. A Study on the Conflict Management and Risk Frame in Siting Policy for NIMBY Public Facilities.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6(1), 113-1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International Commission on Non-Ionizing Radiation Protection (ICNIRP).2004. ICNIRP statement related to the use of security and similar devices utilizing electromagnetic fields. Health Physics 87(2), 187-196.
    7.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 62110.2009. Electric and magnetic field levels generated by AC power systems-Measurement procedures with regard to public exposure.
    8. Jeon, I. S. , Kim, H. N. 2006. Exposure range setting method for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 Electromagnetic wave. KEI (Korea Environmental Institute).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 J. S. , Kim, K. Y. , Hong, S. C. , Cho, Y. S. , Kim, Y. S. 2012. Estimation of ELF-MF Exposure Levels in the Korean Population through 24-Hour Personal Exposure.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38(1), 18-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Jung, J. S. , Choi, S. H. , Jeon, H. J. , Kim, Y. S. , Hong, S. C. ,2014. Evaluation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emission level from high voltage transmission line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3(5), 353-3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Jung, J. S. , Jeon, H. J. , Choi, S. H. , Song, H. S. , Kim, Y. S. , Hong, S. C. ,2015. A study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ELF-MF) exposure levels of korean students by daily activity patter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2(2), 228-2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ung, J. S. , Gu, J. H. , Jung, D. K. , Lee, K. M. , Lee, W. S. , Kwon, M. H. ,2016. Characteristics of ELF-MF emissions levels from underground cable lines near daycare centers in Seoul, Korea.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5(2), 182-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ung, J. S. , Lee, Y. J. , Kawshalys, R. , Lee, J. W. , Hong, S. C. ,2017. Study of ELF-MF exposure levels in living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EMF for Elderly group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3), 218-2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Jung, J. S. , Kawshalys, R. , Shim, I. K. , Ryu, J. M. , Kwon, M. H. , Park, D. S. , Hong, S. C. ,2018. Extremely lowfrequency magnetic field exposure level for Koreans by occupational code. Emerging Contaminants 4, 40-46.
    15. Kim, Y. S. , Hyun, Y. J. , Cho, Y. S. , Choi, S. H. , Lee, K. S. and Hong, S. C. 2005. Emitting characteristics of extremely low frequency electromagnetic field in the micro-environments.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2(1), 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Y. S. , Hyun, Y. J. , Choi, S. H. , Lee, C. M. , Roh, Y. M. , Cho, Y. S. and Hong, S. C. 2006. Exposure assessment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 by variable exposure matrices for the selected primary schoolchildren living nearby and away from a overhead transmission power lin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6(4), 334-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orea Legislation Research Institute.2012. http://ecolibrary.me.go.kr/nier/search/DetailView.ax?sid=1&cid=5514267
    18. Lin, J. , Saunders, R. , Schulmeister, K. , Söderberg, P. , Swerdlow, A. , Taki, M. , Ahlbom, A. ,2010. ICNIRP Guidelines for limiting exposure to time-varying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1 Hz to 100 kHz). Health Physics 99, 818-836.
    19. Ministry of Environment (MOE).2007. http://ecolibrary.me.go.kr/nier/search/DetailView.ax?sid=1&cid=5514268
    20. Ministry of Environment (MOE).2009. http://library.me.go.kr/search/DetailView.ax?sid=1&cid=5514264
    2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NIEH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NIH).2002. EMF RAPID Program.
    22. Park, S. A. , Jung, J. S. , Choi, T. B. , Jeong, M. J. , Kim, B. K. , Lee, J. C. ,2018. Study on Standardiz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Evaluation Method of Extremely Low Frequency Magnetic Fields near High Voltage Overhead Transmission Line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7(6), 658-6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avitz, D. A. , Wachtel, H. , Barnes, F. A. , John, E. M. , Tvrdik, J. G. ,1988. Case-control study of childhood cancer and exposure to 60Hz magnetic field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28(1), 21-38.
    24. Seo, K. K. ,2012. Occurrence and Regulatory Standards of Magnetic Field on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Lines. Journal of Daegu Gyeongbuk Development lnstitute 11(3), 133-145.
    2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2007. Extremely low frequency fields. Environmental Health Criteria.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