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288-9167(Print)
ISSN : 2288-923X(Online)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Vol.21 No.4 pp.237-244
DOI : https://doi.org/10.15250/joie.2022.21.4.237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adsorbents using waste starfish for the control of odorous organic compounds

Ye Won Ji, Chan Jin Park*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ollege of Urban Science,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Corresponding Author: Tel: +82-32-835-8746 E-mail: cjpark@inu.ac.kr
05/10/2022 24/10/2022 24/10/2022

Abstract


Starfish are creatures that destroy marine ecosystems due to their high reproductive rate and predatory nature. Instead of mass inciner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utilize them as functional adsorbents to control odorous organic compounds. This waste starfishbased adsorbent showed a high aldehyde capture efficiency of 91.1%. The maximum specific surface area of the prepared waste starfish adsorbent was 2.19m2/g, and the adsorption amount was 101.66mg/g.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waste starfish had the ability to perform well as an adsorbent.



악취성 유기화합물 제어를 위한 폐불가사리 활용 흡착제 제조 연구

지 예원, 박 찬진*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환경공학전공

초록


    © Korean Society of Odor Research and Engineering & Korean Society for Indoor Environment. All rights reserved.

    1. 서 론

    우리나라는 좁은 국토로 인해 인구밀도가 높아 주 거지역과 산업 지역이 혼재하여 악취와 같은 감각공 해의 피해가 급속하게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Jung and Lee, 2012). 대부분 악취는 사업장 제조공정, 폐기 물 처리공정, 축산시설 등에서 발생하며, 최근 규제 대 상이 아닌 음식점, 인쇄소, 세탁 시설 등과 같은 생활 악취 배출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Noh and Kim, 2019;Cho and Song, 2021). 특히, 직화구이 음식 점으로부터 배출되는 유증기는 미세입자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환경부는 직화구이 음식점을 미세먼지 배출 생활 오염원으로 보고, 향후 규제 및 효율적 관리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유증기 및 미세입자 제거를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Seo et al., 2017). Lee et al. (2019)에 따르 면 직화구이 음식점에서 암모니아 911~4,197 ppb, 아 세트알데하이드 214~631 ppb, 톨루엔 66~232 ppb으로 발생되며, 암모니아 성분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지 만, 최소 감지농도를 고려한 악취 활성 수치는 아세 트알데하이드가 가장 높았다.

    일반적으로 알데하이드류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소, 흡착, 촉매 분해 등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경제적, 실용적인 측면에서 흡착 이 사용된다. 그중 활성탄은 높은 기계적 강도, 넓은 비표면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흡착제이지만 낮 은 분자량의 오염물질 제거 성능이 낮으며, 활성탄 원 료물질의 수입으로 제조단가가 높다(Kwon et al., 2017;Kim and Park, 2021).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의 고분 자 유기 수지, 활성알루미나 등의 전통적인 흡착제 대 신, 탄소 함량이 높고, 표면적이 큰 다공성 물질이며, 다량으로 발생하지만 처리 방안이 미흡한 폐자원을 활용한 흡착제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Park and Park, 2021).

    불가사리는 최근 몇 년 동안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 는 주요 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한 번에 2-3백만 개 의 알을 낳을 수 있는 높은 번식률을 보인다.또한 불 가사리는 굴, 전복, 해삼, 조개류, 성게 등 다양한 해저 무척추동물을 약 10 kg/yr를 소비한다(Moon et al., 2018). 불가사리에 의한 전복, 조개 등의 어업 피해액 이 연간 100억 원에 달하며 강한 번식력에 천적마저 없어 어장 황폐화의 원인이 되고 있으며, 전국에 불 가사리는 약 6,600톤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Shin and Jeon, 2012). 이에 수협에서는 매년 어민들을 통해 조업 중 인양하는 어선어업 및 수중내 직접 인양하는 나잠을 통해 평균 1,500원/kg 가격으로 수매를 진행하 고 있다. 그러나 수매 후 처리 방법이 마땅치 않아 대 부분을 소각 처리하고 있다. 이에 재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Jeon et al., 2020).

    불가사리의 수매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산업 협동조합중앙회에서 편람 한 년도 별(2018 ~ 2022년) 수산예산을 참고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수매량은 평 균적 수매단가를 적용하여 산출한 결과를 Fig. 1 (a), (b)에 나타냈다.

    자료분석에 따르면 해양수산부, 도·광역시(8개소), 시·군·구(31개소)는 매년 불가사리 수매 사업을 실시 하고 있다(Suhyup, 2022).

    위의 사업은 매년 실시하고 있는 지방보조사업의 성과 평가에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 는 낮은 수매 단가로 인해 어민들의 협조가 저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불가사리의 수매 후 폐 기 처리 방법이 미흡하여 대부분 소각되므로 수매 및 폐기에 많은 예산이 낭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매년 수매 예산이 감소하여 수매량이 줄어들고 있으나 매 년 불가사리의 피해는 증가하고 있어 친환경적 활용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불가사리는 체벽 내부에 다수의 골판(skeletal plate) 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내골격을 형성하고 있으며, 주성분은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져 있다(Park et al., 2012). 이러한 탄산칼슘(CaCO3)으로 이루어진 달걀 껍질(egg shell), 굴 껍질(oyster shell), 석회석(lime stone) 등 흡착제로 활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Kose and Kivanç, 2011;Han and Kim, 2013;Lee et al., 2018).

    현재 국내외에서 토양개량제 및 안정화제, 이온교 환을 위한 표면 흡착제의 담체, 폐수 내 중금속 처리 를 위한 흡착제 연구만 진행되었을 뿐 휘발성유기화 합물과 같은 대기오염물질 처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 하다(Jeon et al., 2020).

    기존 활성탄은 높은 기계적 강도, 넓은 비표면적으 로 많이 사용되는 흡착제이지만 수입 의존도가 높으 며, 제조단가가 높아 사업장들의 경제적 부담이 크다 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활성탄 교체 주기가 길어 져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Park and Park. (2021)에 따 르면 폐자원을 이용하여 제조한 흡착제를 기존 활성 탄과 비교하였을 때 훨씬 경제적 이점이 있으며, 많 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불가사리는 전국에 약 6,600톤이 있는 것으로 추정 되며 매년 약 500~800톤을 수매하고 있다(Shin and Jeon, 2012;Suhyup, 2022). 이처럼 양식업에 피해를 주 며 매년 발생하고 있는 폐 불가사리를 이용한 흡착제 를 개발하여 성능 평가가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기존 활성탄과 경쟁력의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 친화성, 자원절약성 등 경제 성을 위해 불가사리 이용하여 흡착제를 제조하였으 며, 직화구이 음식점이나 음식물 처리 시설 등에서 발 생되나 관리가 쉽지 않은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대상 으로 흡착능 실험을 진행하고 비표면적, 세공 분석을 통해 흡착제 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2. 실험방법

    2.1 실험 재료

    본 실험에서 사용된 불가사리(Starfish)는 강원도 속 초시 인근 해역에서 아무르불가사리(Asterias amurensis) 를 채집하여 사용하였다. 불가사리는 증류수로 세척 후 수분 제거를 위하여 건조기(JSOF-150, JSR, Korea) 를 이용하여 100°C에서 2~3시간 건조한다. 건조한 불 가사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다.

    탄화는 전기로(DMF-3T, Lab House, Korea)를 이용 하였으며, 탄화 온도는 300~500°C에서 1시간 동안 실 시하였다. 활성화제로 NaOH를 사용하였으며, 1M, 2 M NaOH 용액을 제조하여 탄화시료 10 g과 각 용액을 100 mL 첨가하여 100~200°C, 2시간 동안 Hot plate에서 활 성화하였다. 활성화를 완료한 시료를 pH 6~7이 될 때 까지 여러 차례 수세한 후 건조기(JSOF-150, JSR, Korea)에 넣어 100°C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수분을 제 거한 다음 2 mm (10 mesh)Sieves로 걸러 데시게이터 에서 최종 보관한다.

    2.2 흡착제 특성 분석

    불가사리 시료와 제조된 흡착제의 기공 발달확인 을 위해 주사전자현미경(FE-SEM/EDS, JSM-7001F, JEOL, Jap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비표면적 분석기(3Flex, MICROMERITICS, U.S.A)를 이용하여 제조된 흡착제의 비표면적과 기공부피를 측정하였다.

    2.3 흡착 실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흡착 실험장치의 개요를 Fig. 2 에 도시하였다. 실험장치는 공기펌프, 악취 가스 제조 기, 흡수용 임핀저 및 고정층 흡착장치로 구성되어 있 다. 고정층 흡착장치는 내경 2.5 cm, 외경 3 cm, 높이 17 cm인 유리관을 사용하였다.

    모든 실험은 상온(20 ± 5°C), 상압(1 atm)에서 진행 하였다. 우선 가스발생 장치에서 아세트알데히드 100 ± 5 ppm을 제조한 다음 흡수용 임핀저에 300 mL를 채운 후 공기를 주입하여 악취 가스를 발생시킨다. 고정층 흡착장치에 각각의 제조 흡착제를 5 g 충전하고 온도 조절기(INF100, MTOPS, Korea)로 25°C를 유지하며, 1 L/min 유량으로 악취 가스를 하단으로 주입하였다. 이 때 유입농도, 출구 농도를 아세트알데히드 측정기 (SKT9300, TESTAUCTION, China)를 이용하여 측정하 였으며 악취 가스의 유입농도의 10% 수치가 출구 농 도에 도달되는 시점을 파과점으로 하였다. 아울러 유 입 농도와 출구 농도가 같아지는 시점을 흡착 평형 상 태로 간주하여 흡착 실험을 종료하였다. 이후 식(1)을 사용하여 흡착량(mg/g)을 구하였다(Woo and Park, 2017).

    q = 1 W C i Q [ t T 1 C i 0 t T C o d t ]
    (1)

    이 식에서 q는 평형상태에서의 흡착제 단위질량당 흡착량(mg/g), W는 흡착제의 양(g), Q는 유입되는 피 흡착질 가스의 유속(L/min), tT는 흡착제가 포화상태 에 도달되는 시간(min), Ci는 유입되는 피흡착질의 농 도(ppm), Co는 출구에서의 피흡착질의 농도(ppm)이다.

    3. 결과 및 고찰

    3.1 불가사리 흡착제의 기공 분석

    폐 불가사리로 제조한 흡착제의 표면 특성 및 기공 형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사전자현미경(FE-SEM/ EDS, JSM-7001F, JEOL, Japan)를 사용하였다. Fig. 3 (a), (b), (c)는 각각 300°C, 400°C, 500°C에서 탄화한 불 가사리(SF300, SF400, SF500)이며 (d)와 (e)는 1, 2M NaOH 수용액에서 활성화한 불가사리(1M-NSF400, 2M-NSF400)의 시료를 1,000배 확대하여 촬영한 흡착 제의 표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300°C, 400°C에서 탄 화한 불가사리는 세공이 잘 발달되어 있지만 표면이 거칠고 불순물이 기공을 막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500°C에서 탄화한 시료는 온도가 너무 높아 다 공성 구조가 무너지며 기공을 막는 것으로 보인다. 약 품 활성화 과정을 거치면서 약품의 산화반응 및 탈수 현상으로 표면에 많은 기공을 형성하였다. 활성화제 의 농도가 높을수록 불순물 제거에 효과적이며 세공 이 고르게 발달되어 (e)가 가장 흡착제로써 충분한 가 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2 비표면적에 따른 흡착량 계산

    탄화 및 활성화 제조조건에 따른 제조흡착제를 대 상으로 각각 비표면적(BET) 평가를 하였다. 비표면적 에 따른 흡착성능 비교를 위하여 고정층 흡착탑에 제 조 흡착제(SF400, 1M-NSF400, 2M-NSF400)를 5 g 충 진하고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 100 ppm, 가스 유량 1 L/ min의 조건에서 연속 흡착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 후 식(1)을 사용하여 구한 흡착량(mg/g)을 Table 1에 나 타냈다. IUPAC의 기준이 따르면 고체 흡착제의 기공 크기는 micropore는 2 nm 이하, mesopore는 2~50 nm, macropore는 50 nm 이상으로 분류된다(Choi et al., 2018). 약품활성화를 진행한 시료의 비표면적이 탄화 만 진행한 시료보다 약 6~7배 증가하였으며, 기공크 기는 약 11~15배 작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식(1)으로부터 구한 흡착량은 약 16~27배 증가하였 다. 약품의 농도가 높을수록 불가사리의 다공성 구조 에 깊게 함침되어 탈수, 탈산 등 작용으로 인해 물, 이 산화 탄소가 빠져나가며 비표면적이 증가하고 기공 크기가 작아지며 이에 따른 흡착량은 증가하였다. 그 러나 대부분의 기공크기가 mesopore와 macropore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3 제조조건에 따른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효과 비교

    제조 흡착제의 표면적 및 다공성과 같은 특성은 제 조 조건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제조 변수인 탄 화 온도 및 활성화 처리에서 표면 특성과 기공 발달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Yunus et al., 2022).

    3.3.1 탄화 온도

    탄화과정에서는 400°C~600°C에서 탈수, 탈산 등의 분해가 일어나고 산소 결합이 끊어져 물, 이산화탄소 등이 빠져나가고 고정탄소가 남게 된다(Woo and Park, 2017). 본 연구에서는 탄화 온도별 고정층 흡착성능 평가를 위해 300°C, 400°C, 500°C에서 탄화한 시료를 5 g씩 사용하였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25 ± 5 ppm, 유량은 1 L/min, 실험온도는 25°C로 유지하였다. 고정층 흡착 실험을 진행한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 는데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효율은 각각 21.1%, 23.9%, 13.1%로 나타났다.

    300°C, 400°C는 비슷한 제거효율을 보였지만 500°C 탄화 시료는 현저히 낮은 효율을 보였는데 이것은 온 도가 상승하면서 기공이 무너졌을 것으로 판단하였 다. 이에 따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500°C 시료는 제외하고 300°C, 400°C 시료에 화학적 활성화를 통하 여 탄화 온도를 조정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적의 탄화 온도를 정하기 위하여 300°C, 400°C에 서 탄화한 시료에 1M NaOH 수용액으로 Hot plate에 서 100°C, 2시간 동안 화학적 활성화를 진행한 시료(1MSF300, SF400)를 흡착실험에 사용하였다. 시료는 각각 5 g씩 사용하였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25 ± 5 ppm, 유량은 1 L/min, 실험온도는 25°C로 유지하였다. 그 결과를 Fig. 5에 나타내었다. 300°C에서 활성화한 시료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효율은 37.3%이며 400°C 에서 활성화한 시료는 49.9%으로 나타났다. 300°C에 서 탄화시킨 시료보다 400°C에서 탄화한 시료에 약품 처리를 했을 경우 흡착성능이 더 높게 나타났으므로 400°C가 최적의 탄화 온도일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탄화시료는 400°C로 고정하여 활성화를 진행함 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3.3.2 화학적 활성화

    제조 흡착제의 활성화 약품의 농도, 활성화 시 온 도, 교반의 유무에 따라 비표면적과 기공크기가 달라 진다(Kam et al., 2017). 활성화제인 NaOH는 시료의 탄 소층으로 침입하여 그 과정에서 탄산염이나 물, 이산 화탄소와 가스화 반응이 일어나 탄소를 소비하여 미 세세공을 형성시켜 흡착능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Kam et al., 2017).

    화학적 활성화 시 제조 조건에 따른 아세트알데하 이드 제거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400°C 탄화시료에 1 M, 2M NaOH 수용액으로 Hot plate에서 100°C, 2시간 동 안 화학적 활성화를 진행하였다. 실험조건은 시료를 5 g씩 사용하였으며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0 ± 5 ppm, 유량은 1 L/min, 실험온도는 25°C로 유지하였다.

    흡착실험의 결과를 Fig. 6에 나타냈으며 결과는 각 각 49.1%, 72.1%의 제거효율을 나타냈다. 약품의 농도 가 높을수록 탄소층에 깊게 침입하여 기공이 잘 발달 되어 흡착능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교반의 유무에 따른 흡착능 비교를 위해 20 rpm에 서 100°C, 2시간 동안 화학적 활성화를 진행하였으며 실험 조건은 위와 같다. 육안으로 관찰하였을 때 시 료의 크기가 많이 감소하였으며 흡착실험 결과 32.2% 의 제거율을 나타냈었다. 특히 교반을 진행하지 않을 경우 72.1%의 제거율을 보여 교반 과정에서 다공성 구 조가 무너져 흡착 효과가 낮아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약품 활성화 시 온도를 100°C, 150°C, 200°C로 다르 게 한 후 2 M NaOH 수용액에서 2시간 동안 화학적 활 성화를 진행하여 흡착실험한 결과를 Fig. 7에 나타내 었는데 온도 조건에 따라 각각 72.1%, 91.1%, 91.6%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150°C와 200°C의 제거효율 차이 가 거의 없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을 고려하여 약품 활 성화 시 온도를 150°C로 고정하였다.

    화학적 활성화시 약품의 농도, 온도, 교반의 유무의 조건을 거쳐 400°C에서 탄화한 시료를 2 M NaOH 수 용액으로 Hot plate에서 150°C, 2시간 동안 교반 하지 않고 활성화한 시료를 최종시료로 결정하였다. 탄화 온도부터 화학적 활성화까지 제조조건에 따른 흡착 제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성능을 Fig. 8에 나타냈 다. 제조 흡착제의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효율이 23.9% 에서 91.1%까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Fig. 9는 최적의 조건에서의 흡착제를 고정층 흡착 컬럼에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흡착시킨 파과곡선을 나타내었다. 파과점은 출구농도(Co)가 유입농도(Ci) 의 10%가 되는 지점으로 선정하였다. 순간적인 제거 효율은 높았지만 파과시간이 상대적으로 짧게 나타 나 고정층 흡착층을 다양하게 변화시키어 흡착제의 양에 따른 성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3.4 흡착제 사용량에 따른 아세트알데하이드 제거 효율

    흡착제의 사용량에 따라 흡착 성능 차이가 발생한 다. 이를 고려하여 최종 흡착제(2M-NSF400)를 사용 하여 고정층 흡착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조건은 아 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는 10 ± 5 ppm, 유량은 1 L/min, 실험온도는 25°C로 유지하였으며 5 g, 20 g의 조건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10에 나타 내었다.

    파과점은 출구농도(Co)가 유입농도(Ci)의 10%가 되 는 지점으로 선정하였다(Woo and Park, 2017). 흡착제 의 양이 5 g일 경우 실험이 시작하는 동시에 유출구에 서 아세트알데하이드가 측정되며 10분 이내에 파과 점에 도달하였다. 흡착제 20 g에서는 실험 시작 후 40 분 동안 흡착반응이 긴 시간 유지되었으며 이후 급격 히 파과점에 도달하였다.

    흡착시간이 동일한 조건에서 흡착제의 사용량이 증 가할수록 파과점에 도달하는 시간은 길어 졌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처리 가스 중 오염물질농도에 따른 적정 흡착제의 사용량을 산정하여 흡착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다량으로 발생되면서도 처리 방안 이 미흡한 폐자원인 폐 불가사리를 활용하여 직화구 이 음식점이나 음식물처리시설 등에서 주된 악취 원 인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대상으로 흡착제를 제 조하여 흡착성능 평가를 진행하였다.

    SEM 분석결과 활성화가 비교적 잘 진행된 조건인 300°C, 400°C에서 탄화한 시료로 화학적 활성화를 진 행하여 표면 개질을 통해 흡착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탄화 온도, 활성화 약품의 농도, 활성화 시 온 도, 교반의 유무 등 제조 조건에 따라 흡착효율, 비표 면적, 흡착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0°C, 400°C 탄화시료에 같은 조건으로 화학적 활성화를 진행하 여 흡착한 결과 400°C에서 탄화한 시료의 제거효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활성화 약품의 농도 또한 1 M 보다 2M NaOH 수용액으로 활성화한 경우 아세트알데하 이드의 제거효율이 더 높게 나타났고, 활성화 시 온 도를 150°C에서, 교반 하지 않고 2시간 동안 활성화한 시료의 아세트알데하이드 흡착성능이 91.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저렴한 원재료인 폐 불가사리를 대량 으로 쉽게 재활용하여 악취저감 뿐만 아니라 폐기물 처리 비용 절감 및 온실가스 저감 등 환경 부담을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이 논문은 인천대학교 2022년도 자체연구비 지원 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Figure

    JOIE-21-4-237_F1.gif

    (a), (b) Purchasing budget and quantity of starfish( Suhyup, 2018;Suhyup, 2019;Suhyup, 2020;Suhyup, 2021;Suhyup, 2022).

    JOIE-21-4-237_F2.gif

    Schematic diagram of experimental apparatus.

    JOIE-21-4-237_F3.gi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s of the starfish adsorbents.

    JOIE-21-4-237_F4.gif

    Acetaldehyde Removal Efficiency by Carbonization Temperature.

    JOIE-21-4-237_F5.gif

    Efficiency of acetaldehyde removal after chemical activation by carbonization temperature.

    JOIE-21-4-237_F6.gif

    Acetaldehyde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NaOH aqueous solution concentration.

    JOIE-21-4-237_F7.gif

    Acetaldehyde removal efficiency by temperature during activation.

    JOIE-21-4-237_F8.gif

    Acetaldehyde removal efficiency of adsorbent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ditions.

    JOIE-21-4-237_F9.gif

    Breakthrough curve of final adsorbent (2M-NSF400).

    JOIE-21-4-237_F10.gif

    Acetaldehyde breakthrough curve according to the amount of adsorbent.

    Table

    Surface area properties and amount of adsorption of starfish adsorbent

    Reference

    1. Choi, Y. J. , Lee, Y. S. , Im, J. S. ,2018. Effect of pore structure of activated carbon fiber on mechanical propertie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9(3), 318-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J. P. , Song, J. H. ,2021. Effect of support pretreatment and relative humidity on acetaldehyde ozonation using manganese catalyst.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 68-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n, S. , Kim, M. S. ,2013. Removal of Cual Ions Using Waste Shell in Fixed Bed. Journal of advanced engineering and technology 6(3), 187-1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ung, S. C. , Lee, S. H. ,2012. Practical Application of Mn-Cu Metal Catalyst for the Removal of Acetaldehyd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8), 201-2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 H. G. , Cheong, K. H. , Lee, H. W. , Lee, J. S. , Moon, D. H. ,2020. Adsorption of Heavy Metals in an Aqueous Solution Using Starfish (Asterina Pectinifera) Bioch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42(5), 267- 27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am, S. K. , Kang, K. H. , Lee, M. G. ,2017. Characteristics of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waste citrus peel by KOH activation.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8(6), 649- 6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öse, T. E. , Kıvanç, B. ,2011. Adsorption of phosphate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calcined waste eggshell.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178, 34-39.
    8. Kwon, E. J. , Kil, T. H. , Woo, J. M. , Yu, Y. K. , Park, Y. S. ,2017.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Biomass Adsorbent from Oak Fallen Leav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ste Management 34(4), 395-4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S. H. , Park, C. J. ,2021. A study of recent research trends on the control of aldehydes in designated odor compounds in Korea.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4), 275-2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J. W. , Choi, S. H. , Kim, S. H. , Cha, W. S. , Kim, K. , Moon, B. K. ,2018. Mineralogical changes of oyster shells by calcination: A comparative study with limestone.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51(6), 485-4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T. J. , Kim, S. C. , Jeon, J. M. , Kim, D. S. and Jo, Y. M. ,2019. Evaluation of odor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 of meat grilling restaurant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8(2), 121-1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Moon, D. H. , Hwang, I. S. , Koutsospyros, A. , Cheong, K. H. , Ok, Y. S. , Ji, W. H. , Park, J. H. ,2018. Stabilization of lead (Pb) and zinc (Zn) in contaminated rice paddy soil using starfish: A preliminary study. Chemosphere 199, 459-467.
    13.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hyup),2018. Available from: https://fei.suhyup.co.kr/fei/416/subview.do
    14.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hyup),2019. Available from: https://fei.suhyup.co.kr/fei/416/subview.do
    15.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hyup),2020. Available from: https://fei.suhyup.co.kr/fei/416/subview.do
    16.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hyup),2021. Available from: https://fei.suhyup.co.kr/fei/416/subview.do
    17.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Suhyup),2022. Available from: https://fei.suhyup.co.kr/fei/416/subview.do
    18. Noh, G. Y. , Kim, D. K. ,2019. Removal of acetaldehyde from gas streams using silica gel as adsorbent.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8(4), 340-3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Park, H. Y. , Lee, J. I. , Nam, K. H. , Jang, M. S. ,2012.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lcium Supplement Manufactured using Starfish. The Korean Society of Food Preservation 19(5), 727-7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Park, Y. S. , Park, C. J. ,2021.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garding adsorbents using waste resources for odor contro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2), 97-1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Shin, H. D. , Jeon, Y. C. ,2012. An Improved Asterias Amurensis Recognition Method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alysis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7(10), 6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Seo, M. H. , Lee, M. S. , Lee, S. Y. , Cho, S. S. , Uhm, S. H. ,2017. A Study on the Removal of Complex Odor including Acetaldehyde and Ozone Over Manganese-based Catalysts.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28(2), 193-197.
    23. Woo, E. J. , Park, C. J. ,2017. On the control of odor and VOCs in a living system with the application of waste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4), 369-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Yunus, Z. M. , Al-Gheethi, A. , Othman, N. , Hamdan, R. , Ruslan, N. N. ,2022. Advanced methods for activated carbon from agriculture wastes; a comprehensiv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alytical Chemistry 102(1), 134-158.